책을 지키려는 고양이
나쓰카와 소스케 지음, 이선희 옮김 / arte(아르테) / 201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할아버지의 고서점을 물려받은 고교생 린타로에게 어느날 얼룩고양이 한 마리가 찾아와 말한다. 나와 함께 책을 구하러 가야해. 그렇게 해서 린타로는 영문도 모르는 채 고양이를 따라 책의 미궁 속으로 발을 들인다. 요즘 부쩍 고양이가 등장하는 일본 소설이 많이 나오고 있다. 고양이 여행 리포트, 슬픔의 밑바닥에서 고양이가 가르쳐 준 소중한 것, 세상에서 고양이가 사라진다면, 고양이와 금발머리와 행복의 목욕탕, 고양이가 있는 카페의 명언탐정 등... 아마도 일본인에게 고양이는 가장 사랑받는 동물이기 때문일테다. 고양이는 개와 달리 신묘한 매력을 지녔다. 이 소설에서도 고양이는 주인공 린타로를 판타지 세계로 이끄는 길라잡이로 등장한다. 린타로는 고양이와 함께 책의 미궁을 돌며 여러 유형의 사람을 만난다. 가두는 자, 자르는 자, 팔아치우는 자... 그들은 각각의 방식으로 책을 좋아하지만 그 방법이 비뚤어져 있다. 기 비뚤어진 틈 속에서 린타로는 거짓을 찾고 진실을 말해줘야 한다. 그래야 책을 구할 수 있다. 


소설을 읽으며 겹쳐지는 작품이 있었다. 생텍쥐베리의 '어린 왕자'다. 사실 이 소설은 고양이와 책으로 바뀐 어린왕자다. 고양이와 린타로는 책의 미궁을 돌며, 다양한 유형의 사람을 만나며, 그 속에서 우리는 '왜 책을 읽는 것일까?'라는 근원적인 질문에 도달한다. 정말로 우리가 책을 읽는 이유는 뭘까? 책이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는 뭘까? 읽으면서 스스로를 돌아보게 됐다. 연간 평균 7,80권의 책을 읽지만, 많이 읽는다고 다 좋은 건 아니다. 또 유명 베스트셀러를 섭렵한다고 해서 좋은 것도 아니다. 책의 줄거리와 저자를 줄줄이 꿰고 있다고 좋은 것도 아니다. 중요한 것은 한 권의 책이 삶을 얼마나 가치있게 바꾸느냐다. 그 가치에는 '즐거움'도 포함된다. 재미없는 책을 유명한 고전이라고 해서 억지로 고통스럽게 읽지 말라는 얘기다. 가끔 그럴 때가 있다. 삶의 방향을 잃고 깜깜한 망망대해에 홀로 내던져진 듯한 기분이 들 때. 그럴 때 한 줄기 빛처럼, 혹은 실오라기 같은 희망처럼 나에게 다가와 삶의 나침반이 되어준 책. 그것이 책의 가치이고, 책을 읽는 이유며, 책이 세상에 존재해야하는 까닭이다.


쉽고 재미있게 읽히며 순간순간 책과 사람의 존재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만드는 기분좋은 독서였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무척 좋아할만한 소설이다. 둘러보면 우리는 뒤마, 프루스트, 괴테, 마르케스 등 너무나도 위대한 작가들이 남긴 화려한 책의 성찬에 둘러싸여 있다. 읽어야할 책이 많이 남아 있다는 건 행복한 일이다. 언제고 책장에서 한 권을 꺼내 또 다른 이야기 속으로 마법처럼 빠져들 수 있으니. 무엇보다 이 소설은 얼룩고양이의 매력이 돋보였다. 언젠가 나에게도 얼룩이가 찾아와 함께 책을 구하러 가자고 말해줬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