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타는 소녀들
C. J. 튜더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전 마녀로 몰려 화형 당한 두 소녀의 유령이 출몰하는 작은 마을. 그곳으로 부임한 신부와 그녀의 딸. 모녀는 작은 마을 특유의 텃새와 따가운 눈초리를 느끼며 그곳 생활에 적응해 나간다. 그런데 한밤중, 아무도 없는 교회에서 낯선 그림자가 서성이고, 불에 탄 냄새가 진동한다. 숲으로 가는 길쪽에선 머리 없는 여자 귀신이 나타났다 사라진다. 이 마을에는 도대체 어떤 무서운 비밀이 숨어 있을까?


C.J.튜더의 신작 공포소설 '불타는 소녀들'을 읽었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스티븐 킹의 느낌이 물씬 나는 공포 스릴러인데, 역시 다른 게 있다면 킹의 소설에선 쉽게 찾아볼 수 없는 '미스터리'를 깔고 간다는 것이다. 킹의 소설은 거의 모두 초자연적 현상이 벌어지고 그 공포가 마지막에 가서도 공포로 끝난다. 튜더는 초자연적 현상과 인간의 범죄를 교묘하게 뒤섞어서 라스트에 이르면 공포 현상은 사소한 배경으로 밀려나고 범죄의 내막이 크게 드러나는 구조를 선호한다. 이번 작품 역시 그러한 플롯이다. 초중반까지는 마을을 지배하는 불가해한 공포를 긴장감 넘치게 그려내다가 후반부는 '악의 실체'가 밝혀지며 그때까지 풀어놓은 모든 복선이 회수되는 추리소설의 묘미를 선보인다. 이 작가는 언제나 최종 라스트에 몇 개의 작은 반전과 커다란 반전을 동시다발적으로 쏟아내는데 이 작품 역시 그러한 묘가 빛을 발한다.


데뷔작 '초크맨'과 후속작 '애니가 돌아왔다'까지는 킹의 색깔에서 거의 벗어나지 못했는데 세 번째 작품 '디 아더 피플'에서부터 노선이 바뀌고 있다. 내가 느낀 바로는 '킹+할런코벤'의 조화로 노선을 바꾼 것 같다. '디 아더 피플'에서부터 할런 코벤의 느낌이 강하다 싶었는데, 이번 작품에서도 역시 중후반부 내달리는 스토리는 전형적인 할런 코벤식 범죄 스릴러와 닮았다. 때문에 이 작가의 소설은 재미있긴 하지만 '킹과 코벤'을 많이 읽은 독자에겐 다소 익숙하고 식상한 느낌 또한 드는 게 사실이다. 물론 이것이 치명적인 단점이라고 볼 순 없다. 아마도 아직 튜더는 공포 스릴러 작가로서 성장하는 단계에 있고, 다음 혹은 다다음 작품부터는 더욱더 자기만의 색깔을 찾아내리라 생각한다.


할런 코벤의 소설 속 미스터리는 모두 과거에 숨겨져 있다. 즉 과거가 안고 있는 비밀이 후반으로 갈수록 하나씩 터져 나오는 구조다. '불타는 소녀들' 역시 그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마녀사냥 때 화형 당한 두 소녀 유령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비밀스러운 마을이 감추고 있는 과거는 과연 얼마나 무섭고 추악한 것일까! 튜더 여사 특유의 감칠맛 나는 필력이 가독성을 높이고 특히 장르소설, 장르영화 등 대중문화 코드를 깨알같이 쏟아내는 대목들이 미스터리 팬으로서 즐거웠다. 여름밤에 읽기 좋은 으스스한 공포 소설임엔 틀림없다.


-> 개인적으로 책속 딸 캐릭터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 사이다인 척 하는 고구마라 전형적인 민폐 캐릭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