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탁의 밤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4년 5월
평점 :
절판
오스터의 소설을 읽으면 언제나, 삶이란 얼마나 빽빽하고 빡빡한 것인가 하고 느끼게 된다. 오스터는 누구보다 '우연'을 좋아하고, 그것을 소설의 주된 기법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결국 얽히고설킨 그 질긴 우연들로 오스터가 말하고 싶어하는 건 바로 지독한 '필연'인 것 같다.
그 엉켜버린 필연들을 한겹으로는 표현할 수 없어서, 오스터는 세겹이나 되는 장치를 소설에 심어 놨다. 오스터가 쓴 'Oracle night' 와 이 책의 주인공 닉 보언이 쓰는 소설 제목 'Oracle night'. 다시 그 책 속에는 실비아 맥스웰이라는 작가가 쓴 'Oracle night'이 존재한다.
신탁. 곧 운명이란 정말 결정된 것이고, 어떤 거대한 힘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는 것일까? 그것을 듣지 않았다면, 그것을 쓰지 않았다면, 그것을 말하지 않았다면 운명은 바뀌었을까? 그것을 듣고, 쓰고, 말하는 것 자체도 이미 결정된 일일까?
오스터는 그렇다고 말하는 것 같다. 이 소설의 구조 자체가 그렇게 말하고 있다. 주인공 시드니가 병원에서 퇴원하는 장면으로 시작해서 다시 병원으로 가는 장면으로 끝나는 수미상관 구조는 닫힌 세계 속에 갇힌 운명의 소용돌이를 상징하는 것 같다.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결국 제자리로 돌아올 수밖에 없는 운명 말이다.
그래서 이 소설에서는 아무도 밖으로 나가지 못한다. 죽거나 (존 트로즈와 제이콥 트로즈) 다치거나 (그레이스) 구조될 기회를 완전히 박탈당한 채 존재 자체가 삭제되어 버린다(닉 보언). 각각 다른 차원의 세계에 속해 있으면서도 비슷한 운명을 지니고 교묘하게 스치는 인물들. 질식할 정도로 치밀한 구조.
읽으면 읽을수록 오스터라는 사람 참 무섭다는 생각이 든다. 작품의 연대순을 따져 보진 않았는데, 오래 전에 읽은 <미스터 버티고>나 <거대한 괴물>, <문팰리스>, <스퀴즈 플레이>에서는 뭔가 삶에 대한 희망이 좁쌀알만큼이나마 느껴졌었다.
오스터의 작품을 읽고 약간 소름끼친다고 느끼기 시작한 건 <뉴욕 삼부작>을 읽고난 뒤부터였다. 해가 들지 않는 뉴욕, 내내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뉴욕, 낮이 오지 않는 밤의 뉴욕. 이 암울함이 정신을 깊숙이 파고드는 느낌이 마약같은 환각작용을 일으킨다고나 할까. 끊을래야 끊을 수 없게 만드는 절박한 중독성.
원서 커버를 보고 나니, 한 가지 아쉬운 점이 남는다.
블루 노트는 소설에서 중요한 상징물인데, 국내 판본에서 그걸 살렸더라면 더 좋았을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