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판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읽은 [기억] 을 통해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환생에 대한 독특한 사상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가을의 초입에 만난 [심판]은 희곡이며, 죽음 뒤의 세상을 이야기 합니다.

주인공 아니톨 피숑은 판사 였으나 지나친 흡연으로 폐암 선고를 받고 성공가능성이 1/6 인 수술을 받다가 죽게 됩니다. 이제 심판을 받는 피고인이 되어 법정에 선 아나톨이 처음 자신이 죽었다는 것을 인지 못하고 수술이 성공한 것으로 오해를 하는 장면은 웃기지만 결론을 아는 독자에겐 슬프게 다가왔습니다.

아나톨 피숑의 수호천사이며 피고인 측 변호사인 카롤린과 전생에서 그녀의 남편이었던 베르트랑은 검사 입니다. 재판관으로 등장하는 가브리엘 등 4명이 주로 등장하며 이제 막 죽음을 거쳐 천국에 도착한 아나톨을 심판하기 위해 모였습니다.

아나톨의 전생의 선택에 의해 일부 설계 된 자신의 삶을 본인의 자유의지에 의해 바꾸며 살아 온 아나톨을 향해 재능낭비라며 잘못 되었다고 지적하는 베르트랑 검사의 말들을 듣고 있던 아나톨은 충격을 느끼지만 불확실한 배우라는 직업보다는 전문성과 금전적인 안정이 보장 되는 직업으로 판사를 선택 했을 뿐인데 마치 선로를 탈선한 기차처럼 잘못 되었다고 지적을 받다니...

하지만 아나톨의 선택으로 인해 다른 이들의 인생들도 달라집니다. 배우가 아닌 판사를 선택하면서 원래 배우인 아나톨에게 반하여 결혼할 사람의 운명까지도 선로에서 이탈하거나 잘못된 선택을 하게 합니다.

제일 마음에 와닿은 문장은

아나톨 : 부모도 선택할 수 있나 보죠?
카롤린 : 물론이예요. 우리는 누구나 태어나기 전에 자기 부모를 선택했어요. 그렇기 때문에 그들을 정말로 원망할 수는 없어요.
- p.177

였습니다.

‘삶의 형‘을 선고 받은 아나톨이 다시 태어나는 과정에서 느껴지는 긴급한 상황이 눈에 보이는 듯 전개 되지만 맨 마지막 결정의 순간 삐긋하는 재미와 짜증의 콜라보 극을 보게 됩니다.

한편, [심판] 곳곳에 보이는 남자와 여자의 역활 등에 대한 고정관념들이 이 작품이 5년전의 작품임을 깨닫게 합니다.

다시 태어난다면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 다시 생각해 보고 현생에서의 선행들이 내세의 삶에 큰 영향을 준다는 메세지는 새롭게 다가옵니다.

희곡 형식이지만 소설처럼 재미있게 읽혀 좋은 경험을 했습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 받고 작성한 개인적 리뷰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