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를 키운 건 8할이 나쁜 마음이었다
이혜린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통 싫다는 표현의 글인데 왜 즐겁지? 이런 기분이 드는 책을 만났습니다. 바로 이혜린 작가님의 [나를 키운 건 8할이 나쁜 마음 이었다] 입니다.

첫 챕터 제목은 ‘사람이 싫다‘
다양한 사람들의 행태 고발에 가까운 이 글들을 읽으며 격하게 공감을 한 나머지 나도 ‘날 키운 건 8할이 나쁜 마음이었구나‘ 싶었습니다. 2020년의 실태 일 수도 있지만 요즘 시간 내서 사람을 만나보면 딱히 얼굴 볼 이유가 있었나 싶어집니다. 각자 핸드폰 슬쩍슬쩍 들여다보고 내가 올린 카페 사진이나 글에 좋아요♡ 누른 사람들 확인하느라 대화도 잘 안 이어지는데...정말 언컨텍트가 대세인데...가끔은 서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것이 아닌 대화 상대로 소환 된 느낌이 들때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 단칼로 거절하는 법을 쌈박하게 표현해 속이 후련한 건 그야말로 득템 입니다.

p.49

5년 만에 연락해
모바일 청첩장 보내주면


뭐 어쩌라고.
축하한다, 꺼져.

시원한 이 한방에 속이 뻥! 뚫렸답니다.

나쁜 마음 8할이 이번엔 ‘회사가 싫다‘로 옮겨 갑니다.
라떼는 말이야~로 시작 되는 상사의 넋두리를 들어주는 척 하는 부하직원이었다가 이제는 내가 꼰대가 되어가고 있다는걸 실감하는 나이의 저에게 충격도 주고 요즘 세대들을 이해하게 하는 팁도 얻을 수 있는 재미난 챕터 였습니다. 특히 ‘나는 내가 많이 먹어서 살이 찐 줄 알았다....사표 하나 냈을 뿐인데.....세상에 허리 라인이 달라졌어...‘ (p.142)를 읽고 자신감 업해서 다이어트의 적은 회사 출근 인건가~~하다 보니 재택근무 한달 만에 5 킬로그램 찐자는 아무 말 안하는 것으로 결론을 냈습니다.

세번째 챕터 ‘네가 싫다‘를 읽으며 그 상대방에 콕 집어 남편을 넣었을 뿐인데 망했구나....과거의 나...그래도 그 시절 사랑에 폭 빠졌을 때의 내 자신을 회상하며 즐거웠으니 만족합니다.

그러다보면 마지막 챕터 ‘내가 싫다‘를 만납니다. 시대에 순응하며 사는 내 자신이 싫다고 하지만 작가님의 글에도 저는 고개를 끄덕일 뿐 입니다. 제일 씁쓸했던 글은 ‘포기부터 배운 건 내 결정 아니었나.‘ (p.226) 였습니다. 도전하라고 하지만 미리 겁먹고 한계치를 두고 더이상 앞으로 나가길 거부 했던 것도 나 자신 이었고 부당한 상황을 보고도 두려워 나서지 못한 것도 결국 제 자신의 선택이었음을 작가님의 뼈 때리는 글 한 문장에 깨닫게 됩니다.

나쁜 마음 8할은 저에게 솔직한 그 모습이 그저 부러울 뿐인 속풀이 글들이었습니다. 외부의 시선을 의식하며 나를 포장하고 있었지만 내면에 어둠이 없는 사람이 어디있겠습니까...

참 다행입니다. 남을 시기하는 마음, 질투 하는 마음, 가끔은 미운 마음까지도 나를 키우는 자극제가 되어 줄 것을 확인 했기 때문입니다. 시원한 한방이 펑펑 날라와 내 인생의 주인공은 ‘나‘ 인데 언제까지 주인공을 살리기 위한 소품처럼 살꺼냐고 친절하지 않은 조언을 해 줘서 자신감이 올라갔으니 말입니다.

힘든 시기에 희망을 이야기 하는 책들도 좋지만 솔직한 책들도 현실 직면을 위한 도구로 옳바른 선택이라는 희한한 위로를 받으며 나쁜 마음이 무슨 의미인지 생각해 봅니다.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개인의 리뷰 입니다.

#나를키운건8할이나쁜마음이었다 #이혜린_지음 #소담출판사 #소담출판사_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판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읽은 [기억] 을 통해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환생에 대한 독특한 사상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가을의 초입에 만난 [심판]은 희곡이며, 죽음 뒤의 세상을 이야기 합니다.

주인공 아니톨 피숑은 판사 였으나 지나친 흡연으로 폐암 선고를 받고 성공가능성이 1/6 인 수술을 받다가 죽게 됩니다. 이제 심판을 받는 피고인이 되어 법정에 선 아나톨이 처음 자신이 죽었다는 것을 인지 못하고 수술이 성공한 것으로 오해를 하는 장면은 웃기지만 결론을 아는 독자에겐 슬프게 다가왔습니다.

아나톨 피숑의 수호천사이며 피고인 측 변호사인 카롤린과 전생에서 그녀의 남편이었던 베르트랑은 검사 입니다. 재판관으로 등장하는 가브리엘 등 4명이 주로 등장하며 이제 막 죽음을 거쳐 천국에 도착한 아나톨을 심판하기 위해 모였습니다.

아나톨의 전생의 선택에 의해 일부 설계 된 자신의 삶을 본인의 자유의지에 의해 바꾸며 살아 온 아나톨을 향해 재능낭비라며 잘못 되었다고 지적하는 베르트랑 검사의 말들을 듣고 있던 아나톨은 충격을 느끼지만 불확실한 배우라는 직업보다는 전문성과 금전적인 안정이 보장 되는 직업으로 판사를 선택 했을 뿐인데 마치 선로를 탈선한 기차처럼 잘못 되었다고 지적을 받다니...

하지만 아나톨의 선택으로 인해 다른 이들의 인생들도 달라집니다. 배우가 아닌 판사를 선택하면서 원래 배우인 아나톨에게 반하여 결혼할 사람의 운명까지도 선로에서 이탈하거나 잘못된 선택을 하게 합니다.

제일 마음에 와닿은 문장은

아나톨 : 부모도 선택할 수 있나 보죠?
카롤린 : 물론이예요. 우리는 누구나 태어나기 전에 자기 부모를 선택했어요. 그렇기 때문에 그들을 정말로 원망할 수는 없어요.
- p.177

였습니다.

‘삶의 형‘을 선고 받은 아나톨이 다시 태어나는 과정에서 느껴지는 긴급한 상황이 눈에 보이는 듯 전개 되지만 맨 마지막 결정의 순간 삐긋하는 재미와 짜증의 콜라보 극을 보게 됩니다.

한편, [심판] 곳곳에 보이는 남자와 여자의 역활 등에 대한 고정관념들이 이 작품이 5년전의 작품임을 깨닫게 합니다.

다시 태어난다면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 다시 생각해 보고 현생에서의 선행들이 내세의 삶에 큰 영향을 준다는 메세지는 새롭게 다가옵니다.

희곡 형식이지만 소설처럼 재미있게 읽혀 좋은 경험을 했습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 받고 작성한 개인적 리뷰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