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당신의 친구가 될 식물을 찾아 주는 식물 사진관 - 포토그래퍼의 반려식물도감
이정현 지음 / 아라크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변에서 흔히 만나는 식물들도 있고, 꽃집에 들러 이리저리 찾아봐야 하는 식물들도 있습니다. 집에서 함께 생활하는 반려식물도 있고, 도저히 자신 없어 데려오지는 못하고 지나칠 때 마다 애잔한 눈빛으로 아쉬움을 달래야 하는 식물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정현 포토그래퍼는 예쁜 사진으로 식물들을 키우고 있습니다.

표지에 보이는 하얀 배경 속에 노란꽃이 핀 다육이는 리틀장미 입니다. 학명은 Echeveria prolifica ‘Little Rose‘ (p.287)

사진 속 식물들에 대한 이야기 뿐만 아니라 식물들 사진을 찍기 위한 환경에 대해서도 초보자들을 위해 하나하나 설명을 해 줍니다. 빛에 의한 피사체의 느낌이 달라지는 것, 배경에 따른 포커스 잡는 방법 등을 배우며 식물을 키울 마음의 준비를 시켜줍니다.

하나의 식물을 설명하면서 관련 된 여러가지 이야기들이 딸려와 지루함이란 없이 즐거운 사진 감상과 조금은 식물 키우기 똥손을 벗어날 팁들을 얻어 갑니다.

사실, 다육이를 키우고 있음에도 왜 ‘다육‘이라고 부르는지 궁금해 본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그 정체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다육은 많을 ‘다‘와 고기 ‘육‘을 쓰는 한자어라고 합니다. 고기가 많다니, 식물에게 이게 무슨 소리인가 싶지만 다육식물의 오동통한 싶 모양을 생각하면 납득이 가기도 합니다. (p.181)

결국 다육식물은 잎이나 줄기, 뿌리에 수분을 저장하고 있는 식물을 말한다고 하니 아하! 그럴 듯 합니다.

[식물 사진관] 속의 식물들을 보며 키우고 있는 선인장과 같은 종류로 보이는 사진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완벽히 같은 종류는 아닐지라도 조금더 잘 카울 수 있는 노하우를 배운 것 같아 엄마 된 마음의 뿌듯함을 느낍니다. 스투키, 산세베리아, 금사철 등 함께 좁은 공간에서 키우며 반려식물이 주는 위로를 받을 때가 많습니다. 식물은 말을 할 수 없지만 따스한 그 빛깔로, 자라며 바뀌는 모양으로 다양한 표현들을 하고 있습니다.

친구가 될 식물들을 찾아 주는 [식물 사진관] 꼭 같이 읽어봤으면 좋겠습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고 작성한 개인적 리뷰입니다.

#식물사진관 #포토그래퍼의반려식물도감 #이정현 #아라크네출판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법정에 선 수학 - 수학이 판결을 뒤바꾼 세기의 재판 10
레일라 슈넵스.코랄리 콜메즈 지음, 김일선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제목으로 알 수 있듯이 수학이 판결을 뒤바꾼 세기의 재판 10가지에 대한 이야기가 실린 [법정에 선 수학]은 처음에 생각했던 내용과 많이 달랐습니다.

10가지 사건 케이스마다 수학이라는 이름의 통계적 확률이 얼마나 결백한 사람을 범인으로 만들 수 있는지 말해주었기에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도 그런 오류들을 범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되었습니다.

CASE 02. UC버클리 성차별 사건을 읽으며 1970년대 여성이 수학과에서 정년이 보장 되는 교수로 승진하는 데에 여러장애물이 있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것도 대학이라는 집단에서 남성과는 다른 기준으로 교수 임용을 승인 했다는 점에 놀라고 말았습니다. 왜 여성이라는 이유로 남자 승진 대상자들과 달리 더 많은 공로를 인정 받아야 가능했는지, 그것을 바로 잡고 결국 정교수 자리에 오른 제니 해리슨의 용기와 타당성 증명에 박수를 보냅니다.

CASE 06. 샐리 클라크 사건의 경우 아이의 엄마가 자녀들을 살해했다는 누명으로 오랜 세월 고통 받다가 결국 무죄 선고를 받았지만 보상 받지 못한 세월은 어떻게 할 것이며 샐리를 범죄자로 만든 확률의 오류는 세상에 널려있다는 문제점을 발견합니다.

CASE 01. 찰스 폰지 사건처럼 다단계를 이용한 사기 사건이라면 범인이 특정 되어 있고 그의 말에 기하급수적인 보상을 믿은 투자자들이 사기를 당했으니 불법 일지라도 피해자들에게 약간의 투기적 목적성이 있었음을 감안하면 속인 찰스 폰지도 나쁘지만 속은 투자자들도 100% 옳은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탈리아에서 미국으로 이주하는 배에서 내리며 2달러 50센트의 돈으로 시작해 1907년 공황의 시대에 갭투자를 했던 찰스 폰지의 대담한 행동들을 읽으며 지금의 현대사회에도 사람들의 심리를 이용한 이런 종류의 다단계 사기는 여전히 되풀이 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처음 투자금액의 두배를 이익으로 돌려받고 더큰 이익을 위해 다시 투자하는 방식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혹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기, 성차별, 살인, 강도, 유언장 위조 등 수많은 범죄에 얽힌 수학의 개입으로 인한 판결의 문제들을 살펴보고, 결국 뒤바뀐 판결을 이끌어 낸 사건들과 아직도 미결로 남은 사건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수학적 근거가 아무리 확실하더라도 일반화의 오류로 무고한 부모가, 이웃이, 일반인들이 범죄자가 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입니다.

책을 읽으며 영화 <금발이 너무해>가 생각 났습니다. ‘금발‘이라는 이유로 지능이 떨어지는 사람으로 오해를 받는 주인공처럼 세상을 바라보는 우리의 눈에 겹쳐있는 고정관념의 틀이 틀릴 수 있음을 꼭 명심해야겠습니다.

서평단으로 선정 되어 작성한 개인적 리뷰입니다.

#법정에선수학 #재밌는수학이야기 #아날로그 #글담출판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