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미학론
이상우 지음 / 시공사 / 1999년 7월
평점 :
절판


언젠가, 아주 오래 전에 <화하미학>이라는 책을 들고 끙끙댔던 생각이 난다. 당시 하일지의 '소설에 있어서의 거리 이론'에 관한 책을 읽으며 그가 어딘가에서 잠깐 언급한 <화하미학>을 기억해냈다. 그 때 사서 들기는 했으나 다는 못읽었다. 중국의 미학책은 확실히 기반공사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서양의 미학책들은 그런대로 끝까지 읽어 나갈 수 있었는데 유독 <화하미학>은 읽히질 않아서 아직도 숙제처럼 책꽂이에 꽂혀 있다. 그걸 보면 아직도 아득하다. 동양의 미학. 그것은 과연 있었을까?

우리나라 사람, 서울대 미학과를 나와서 북경대 가서 박사를 받았단다. 그 박사학위논문의 결론부분을 2년 동안 수정 보완한 책이 이것이란다.

읽는 도중에는,

'스스로 많은 질문을 하지만, 그리고 그 답을 찾아가지만, 정작 확실한, 저자의 확신이 들어있는 답은 없다. 계단 하나하나가 질문이라면 올라서게 하는 힘이 답일 것이다. 그러나 답이 없고, 결과적으로 계단을 오르지 못해야 맞는데, 에스컬레이터인지, 이 사람, 잘도 끝까지 가고 있다. 도대체 이 계단들을 어떻게 이 사람은 넘어서는 것일까?'

라고 써놓았다.

그러나 가장 나중에, 그러니까 끝까지 읽고는 다시 이렇게 썼다.

'빈 계단들을 불안해 하면서 넘고 보니 대답의 산이 있다.  어디서 많이 본 것, 자주, 아니 귀가 닳도록 들었던 것, 그러나 지금의 내 것은 아닌 것을 이 자는 가득 쌓아놓았다. 경청할 만하고 배울 만하다!

일단, 이렇게, 위험함에도 불구하고,  제 속에서 캐낸 답을 내는 사람을 본 것도 오랜만이다.

손쉬운 직관이 아니라, 탈도 쓰지 않고, 탐구와 지성으로 노력한 결과물이 분명하여 나는 끝에 다다라 즐거움을 느낀다.'

'경계'라는 말이 화두처럼 느껴지는 시대이기도 해서 이 책이 다루는 '경계'를 그것과 연관시킬 뻔 했으나, 후훗.. 애저녁에 그런 경계는 아니다. 여기서의 경계란 경지의 다른 말이라고 해도 된다. 벌써부터 좀  뻔해 보이지만. ^^;

밑줄친 부분은 참 많다. 그 중, 지금 딱 열어서 나온 것.

-만일 구할 것이 있고 원하는 바가 있다면, '나'의 마음은 전도된 현상들의 무수한 유희를 만들어낼 것이다. 만일 세상에 복福을 누릴 만큼 누렸음을 알고, 세상의 화禍를 겪을 만큼 겪었음을 알며, 전도된 현상들의 유희를 할만큼 하였음을 깨닫는다면, 바로 '나'의 마음은 여여如如한 본래의 곳으로 돌아가 망발하지 않으니 일체의 것이 적적寂寂하고 청정淸淨할 따름이다.

;'경계'를 세 수준으로 가르고 그 세 경계의 다름을 설명하는데 내게 다가오는 것은 '아름답게 살고자 하라'는 것이었다. 노장과 불교를 훑으며 저자는, 자신은 불교의 견해에 동의한다고 밝힌다. 모든 사건이 일어나는 궁극적인 이유는 망발妄發이랜다. 무엇이 아름다운 것인가를 따지면 그 망발의 부재, 바로 저 여여如如한 무대無待의 경지이니, 내 느끼기로 동양의 미학은 윤리학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것이다. 예술은 그야말로 術이기 때문이다.

-전략....뒤샹Duchamp의 '변기'를 예술작품으로 볼 것인가 아닌가? 하는 문제 그리고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모든 괴이한 행위같은 것들은 인간과 예술의 문제를 탐구하는 철학이나 미학에서 물어질 필요가 없는 것으로, 이런 사건들을 기록하기 위하여 특별히 마련된 기네스북Guinness Book과 같은 책에서 거론되는 것이 더 어울린다고 생각된다. 인간에 관한 문제이든 예술에 관한 문제이든 의미있는 것은 정의의 문제가 아니라 자격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세계에 대한 객관적인 파악을 '나'의 이성에 호소함으로써 나타내려고 기획되었던 추상예술은, '나'의 합리적 이성을 최고의 위치에 두게 되는 것이므로 그 탄생 자체가 '총체적 미감(; 말 그대로 우리 전존재로서의 미감-shosha)'의 발현을 차단하고 있는 것이다.(p. 167)

;위험하다, 이 신념은. 이것도 분명 '나'가 아닌가. 그러나 무대無待의 경계를 최고미학으로 삼았다는 측면에서 그는 옳다고 느낀다.

나는 '나'를 중시하나 나의 '자격'에 관한 신념은 없다. 그래서 타자인 '나'를 보며 그 자격을 판단하는 '나'로 하여금 자격을 갖추도록 단련하고 있다. 그렇게 '나'의 문제는 도덕적 측면이 된다. '나'를 중시하나 결국 '나'는 '無我'로 가기를 원한다. 그것이 자격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 지점이 '키치'가 극복되는 지점이라는 것을 요즘들어 느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