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도킨스의 진화론 강의 - 생명의 역사, 그 모든 의문에 답하다
리처드 도킨스 지음, 김정은 옮김 / 옥당(북커스베르겐)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리처드 도킨스는 대표적인 진화론자다. 그는 한때 《이기적 유전자》에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이기 이전에 DNA의 발현을 위한 생체 기계에 불과하다는 지론을 폈다. 시간이 좀 지나 어느 인터뷰에서 당시의 논지는 좀 과했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 책은 그가 영국왕립연구소에서 진행하는 대중 과학 프로그램인 ‘크리스마스 강연’에서 강의한 내용을 담았다. 원제는 ‘불가능의 산을 오르다(Climbing Mount Improbable)’이다.

도킨스가 ‘불가능의 산’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세 가지다. 첫째 단번에 뛰어올라 정상에 도달할 수는 없다. 둘째 내리막길은 없다. 종은 더 나아가는 길을 찾기 위해서 더 나빠질 수 없다. 셋째 산봉우리는 하나가 아니라 둘 이상일 수 있다. 세상에는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하나뿐 아니라 훨씬 다양하다.

진화론을 둘러싸고 그간 지적 설계와 자연 선택간의 지난한 논쟁이 있어왔다. 특히 눈과 귀와 심장, 독수리의 날개, 거미의 그물, 이런 것들이 보여주는 ‘불가능한 완벽성’에 대한 입장 차이는 뚜렷하다.

지적 설계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마치 ‘불가능 산’의 깎아지른 절벽을 단번에 뛰어오르려는 것 같은 행동을 보인다. 특히 날개(반쪽짜리 날개가 무슨 쓸모가 있을까?)와 눈(눈은 모든 부분이 제자리에 있지 않으면 결코 작동하지 않으므로, 점진적으로 진화될 수 없다)의 완벽성에 대해서 그러하다.

이에 반해 저자는 진화론은 산 반대편에 있는 완만한 오르막을 한 걸음씩 오르는 것이라고 비유한다. 자연 선택은 이렇듯 천천히 한 번에 하나씩 축적되는 과정이다. 그는 지적 설계자들의 주요 공격 대상인 날개와 눈의 진화 과정을 상세히 언급한다.

도킨스는 부모뿐 아니라 그 종의 다른 일원들과도 다른 괴물 같은 자손이 나오는 ‘대돌연변이(macro-mutation)’가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스티븐 제이 굴드가 주창한 ‘단속평형설(punctuated equilibrium)’과 엄격히 구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단속평형설에 따르면 생물의 계통은 오랫동안 아무런 진화적 변화가 없다가 간간이 폭발적으로 일어나는 급속한 진화를 겪으면서 새로운 종이 탄생한다.

도킨스에 의하면 대돌연변이는 단속평형설과 달리 한 세대 만에 즉각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어떻게 보면 단속평형설 역시 특정 시점에서는 대돌연변이 형태로 발현될 수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두 이론은 급격한 진화론을 설명하는 틀에서 보자면 그 차이는 사소할 수 있다. 대학자 사이에 물러설 수 없는 학문적 자존심 때문일까?

특히 이 책이 지닌 강점은 지적 설계와 자연 선택간의 논쟁 핵심 주제였던 ‘날개’와 ‘눈’에 대한 논지에 있다. 도킨스의 책을 익히 봐왔던 독자라면 4강(날개는 어떻게 진화했을까?)과 5강(눈은 어떻게 진화했을까?)을 먼저 읽어도 좋겠다. 이 부분에 대한 고찰만으로도 일독할 가치는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