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데라토 칸타빌레 ㅣ (구) 문지 스펙트럼 19
마르그리트 뒤라스 지음, 정희경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도입부에 등장하는 젊은 연인들 사이의 살인사건을 제외한다면 딱히 특별할 사건이랄 것도 없고, 극적으로 긴밀하게 구성되어 있지도 않으며, 등장인물들은 하나같이 심심하기만 하고, 대화들이란 것도 횡설수설과 중언부언으로 가득해 보일지 모를 이 소설에서 당신은 무엇을 읽어낼 것인가. 일종의 유한마담인 안 데바레드와 공장노동자 쇼뱅의 입을 빌려 뒤라스는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소리를 들을 것을, 시들어가는 목련꽃이 온몸으로 뿜어내는 어느 봄날의 기운을 해독할 것을 나지막한 속삭임으로 우리에게 권한다. 아이가 피아노를 치기 싫어하는 것도, 살인사건의 실체가 무엇인지도, 안과 쇼뱅이 정녕 무엇을 원하는지도 애써 이해하려고 들지 말라. 다만 까페 안으로 스며드는 아련한 석양의 붉은 빛을, 노을이 별빛으로 변해가는 우수를, 바다에 이르지 못한 채 철책을 벗해야 하는 끝이 보이지 않는 길을, 곡조를 알 수 없으나 자신도 모르는 사이 방향을 잃은 세레나데처럼 입가를 맴도는 소나티네를, 대서양일지 지중해일지, 아니면 우리를 에워싸고 있는 태평양일지, 가깝지만 먼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눈물어린 소금기를, 그리고 천천히 찾아오는 거역 불가능한 계절의 변화를 온몸으로 맡아라. 불가능하다면 그들처럼 포도주가 가져다주는 달콤한 환각과 저릿함에 몸을 내맡겨도 좋을 것이다. 포도주가 당신의 오감을 섬세한 더듬이로 만들어줄 테니.
그때 비로소 알게 될 것이다. 안과 쇼뱅이 왜 그토록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라는 말을 되풀이하며 시간에 집착하였는지를. 사랑의 순간은 섬광처럼 강렬하게 찾아오지만, 그것은 결국 섬광이라는 이름을 지니고 있기에 안타깝게도 우리 곁에 오래 머물지 않는다. 어느 시인의 말처럼 사랑할 시간은 많지 않다. 따라서 대화는 다급해진다. 그러나 그것이 "사랑해요"라는 말을 함부로 뱉을 변명이 될 수는 없다. 사랑이란 안의 것도, 쇼뱅의 것도 아닌 바다와 대기, 바람 속에서 그저 솟아오르는 것이기에, 그들은 사랑한다는 말을 하는 대신, 태양과 공기의 충실한 기호 해독자가 되어야 한다. 그러니 대화가 겉돌고 모호해보일지언정 그들을, 뒤라스를 탓하지 말라. 그들은 어딘가에서 소리 없이 솟구치는 사랑의 기미를 이겨내지 못해, 스스로 통제하지 못해, 그리고 표현하지 못해 더욱 아프고 절절하게 사랑해야 한단 말이다. 그들에게 중요한 것은 대화의 내용 자체가 아니라 "계속하십시오"를 반복하며 밀물처럼 닥쳐오는 무수한 사랑의 기호들을 끊임없이 해독하는 것이란 말이다. 그러므로 뒤라스를 나무라지 말고 당신이 직접 바다와도 같은 그 넓은 대화의 행간에 뛰어들어 몸을 적셔라. 그리고... 사랑하라, 모데라토(보통 빠르기로) 칸타빌레(노래하듯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