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공간 - 우리시대 지성 11인의 삶과 시공간 이야기
황인숙 외 지음, 고종석 엮음 / 개마고원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게된 계기는, 개마고원 사장인 장의덕씨의 한국일보 인터뷰였다. 평소 개마고원 책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주저없이 선택했다. 11명의 기고자는 빵빵했다. 진중권, 홍세화, 이우일, 

김연수,강금실...... 

 이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글은 진중권이 쓴 글이다. 다시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문장 하나를 꼽자면, 이 짤막한 글의 제목인데, 홍세화 가 글의 마지막 문장이다 

 

 기대가 너무 큰 게 탈이었을까? 저자들의 출판사에 경제적으로 보탬이 되고 싶은 마음에 참여한 

이 작업은, 개마고원을 유심히 지켜보는 일개독자의 입장에서도 썩 소장하고 싶다는 마음을 불러 

일으키지 못한다. 이 책의 판매에 기대를 걸었을 출판사 상황에서는, 기대에 못 미친 성과에 실망 

했다는데, 일정 거리를 두고 본 나의 입장에서는 음....  아쉽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자로 산다는 것
시사저널 전.현직 기자 23명 지음 / 호미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시사인 이 1년만에 망할거라고 했던 사람에게 보내는 전직 시사저널 기자들의 투쟁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홀한 글감옥 - 조정래 작가생활 40년 자전에세이
조정래 지음 / 시사IN북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40년 문학에 헌신한, 이제는 노인이 되어버린 하지만 여전히 청년인 사람의 유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르헨티나 할머니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나라 요시토모 그림,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이 책 우선  중간중간에 삽입된 삽화가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얇은 책 두께도 좋다.  

 장점은 딱 거기까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랑은 왜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1년 2월
평점 :
품절


 

 김영하 팬이 아닌데도 어영부영 시간이 지나면 그의 책들을 읽게 된다. 산문집은 대체로 읽을만 

하고, 장편소설들도 나쁘지 않다. 단 유일하게 읽어본 소설집 <오빠가 돌아왔다>는 이건 뭥미 

싶더라.  확실히 김영하 가 인기작가인건 분명하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가 쓴 5권의 장편을 모조리 읽게됬네. 데뷔작은 신선했고, 검은꽃 은 감탄사 

를 자아냈다. 빛의 제국도 읽을만 했는데, 최근작인 퀴즈쇼는 내 또래 이야기 임에도 불구하고 

결말을 봤을때 허무하다. 뭐야 벌써 끝나는 거야? 이제 새로운 시작이 펼쳐질거 같은데 후다닥 

끝장을 본 느낌. 환자가 수술을 해야하는데, 배를 열어 보니 가망이 없어 서둘러 닫은 인상..... 

 각설하고, 아랑은 왜 는 쉣이다. 2개의 이야기 구조인데, 메인테마는 아랑전설에 관한 이야기에 

전혀 집중이 안된다. 생소한 단어가 나오면 사전을 참조하면서 봤는데, 어휘 문제는 아니다. 단지 

이야기 자체가 시시하다.  

옛 추억의 인물 때문에 읽게 된 책, 추억은 추억으로만 남겨둘걸 젠장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고세운닥나무 2009-10-15 12: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퀴즈 쇼>를 읽고선 저도 비슷한 느낌을 가졌어요. 알레고리면에서도 서투르다는 생각을 했구요. 저는 단편이 장편보다는 낫다는 생각을 하는데요. 김영하의 문체가 단편에 더 어울린다는 생각을 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인기작가인 건 맞는데, 평가가 과장된 면도 있다 싶네요.

다이조부 2009-10-15 13:34   좋아요 0 | URL
퀴즈 쇼 가 도입부에는 나름 흥미있었는데, 점점 갈수록 수렁에 빠진듯한

느낌이 들었어요. 어쩌면 신문연재 소설 이어서 마감 이라는 시간제약 탓

일수도 있구나 싶네요. 김영하랑 대학시절 절친이었다는 우석훈씨가 당시에

<88만원 세대> 로 주목을 받았는데, 친구도 20대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게

흥미롭더라구요. 김영하가 고시원 골방에 갇혀버린것 은 아닌가 하는 쓰잘

데기 없는 생각을 해 봅니다.

파고세운닥나무 2009-10-15 14: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가요? 저는 묘하게 <퀴즈 쇼>와 <88만원 세대>를 같이 놓고 읽었거든요. 두 책이 비교해 볼만 하잖아요? 두 사람의 친분에 대해선 처음 듣네요.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다이조부 2009-10-15 15:08   좋아요 0 | URL


우석훈 아저씨 말에 의하면, 대학시절 김영하 가 소설가가 될 거라고 생각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고 하네요. 다들 회사 사장님이 될줄 알았다고 합니다. 두 사람은 학교는

달랐지만, 고등학교 때부터 알고 지냈다고 들었습니다. 공부 곧 잘하는 친구들끼리 모아놓고

군사놀이(?) 같은 걸 했나본데(시대가 5공화국 이었으니까 --) 김영하 가 중대장을

맡았다고 하네요. 몇 년전에 화제가 됬던, 엑스파일 사건으로 유명해진 엠비시 이상호

기자랑, 스무살 때 세상을 등진 고 이한열 씨도 친구라고 하네요.



파고세운닥나무 2009-10-15 16: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사람 모두 연세대 출신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