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드디어 읽었다. 프랑스 이야기일 줄 알고 잡았는데 웬 상하이... 상당히 고통스러웠다. 너무 고통스러워서 그냥 글자만 읽고 넘겼다. 배경지식을 쌓은 후 제정신으로 다시 읽어보고 싶은 작품 리스트에 추가 되시겠다.
"나도 전에 무심코 거울을 들여다보고 통 내 얼굴같이 보이지 않았던 적이 있었지……."
그의 엄지손가락은 마치 추억의 가루를 털어내기라도 하려는 듯이 오른손 손가락들을 조용히 매만지고 있었다. (57쪽)
아내가 자기를 고통스럽게 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새삼스레 깨달았던 것이다. 그러나 몇 달 전부터, 메이의 얼굴을 바라보건 말건 이미 메이라는 여자를 보는 것은 아니었다. 때때로 그 어떤 표정들을 포착했을 뿐……. 그들을 마치 애들처럼 서로 뭉치게 하던 그 경련적인 사랑의 도취, 삶과 죽음에 관한 그들의 공통적인 견해, 그리고 둘 사이의 육체적인 결합 등, 이 모든 것도 우리들의 눈동자가 충만하게 즐겨온 모습들을 결국은 퇴색시켜 버리는 저 숙명 앞에서는 정녕 허무할 뿐이 아닌가! (63쪽)
사물도, 행위조차도 실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닌가. 그 모든 것은 한갓 꿈이다. 우리가 이 꿈에 힘들 주기 때문에 그 꿈이 우리를 억누르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꿈이기에 그것을 부정할 수도 있다……. (222쪽)
그 순간 그들은 죽음이 갈라놓은 것 이상으로 서로 동떨어져 있었다. 그 눈이며 입이며 관자놀이……, 애무를 받아온 그 모든 자리가 마치 죽은 여자의 그것처럼 보였다. 저 두드러진 광대뼈며 긴 눈까풀도 지금은 오직 낯선 딴 세상의 것일 뿐. 가장 깊은 사랑의 상처는 가장 격렬한 증오를 낳게 마련이다. (258쪽) [에서 261쪽까지 장면]
자기 운명이 얼마나 일반 사람들에게는 무관심한 것인가를, 그리고 자기 운명은 오로지 자기에게만 중요한 것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느끼고 어처구니가 없었다. (37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