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말고사와 축제로 지친 마음을 달래기 위해 쉽게 읽히는 얇은 책을 잡은 것이 바로 이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이다. 내용은 그다지 '마음을 달랠'만한 요소가 없는 듯하지만, 빨리는 읽혔으니 반은 성공인 셈이다.
그나저나, 오랜만에 서재에 들어오니 내가 요즘 얼마나 책을 안 읽고 있는지, 그보다도 얼마나 글을 안 쓰고 있는지가 통절하게 느껴진다. 반성, 또 반성.
대체 돈을 내고 기린이나 사자를 보는 게 어디가 재미있는 걸까? 동물원은 냄새만 고약할 뿐이다. 나는 자연 보호나 지구의 환경 문제에 관심이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연주의자나 환경 운동가는 아니다. 아키와 둘이서 행복하게 지내고 싶다. 그러기 위해서는 숲도 오존층도 온전하게 남아 있어 주길 바라는, 단지 그것뿐인 것이다. 동물을 보호해야 한다는 생각에는 대체로 찬성이지만 그건 동물들이 불쌍해서라기보다 그들을 죽이거나 학대하는 인간의 난폭함과 거만함에 화가 나기 때문이다. 아키는 그런 부분에 대해서 오해하고, 내가 동물을 좋아하는 상냥한 인간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 (84쪽)
사실 그렇다.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나의 안녕이다. 굉장히 공감되는 부분 아닌가, 음.
“하지만 함께 있으면 그 사람의 나쁜 점도 눈에 보이잖아. 하찮은 일로 싸우기도 하고. 그런 일이 매일 쌓이다 보면 처음엔 아무리 그 사람이 좋았더라도 몇 십 년 후에는 아무 감정도 남아있지 않게 돼 버리지 않을까?”
확신에 찬 듯한 말투였다.
“꽤나 비관적이네.”
“사쿠짱은 그런 생각 안 해봤어?”
“나라면 오히려 긍정적으로 생각해. 지금 누군가를 아주 좋아한다고 하자. 십 년 후에는 좀 더 좋아하고 있어. 마지막에는 싫었던 점까지 좋아하게 돼. 그리고 백 년 후에는 머리카락 한 올 한 올까지 좋아하게 될 거라구.” (86쪽)
“죽어 버리면 모든 게 끝이잖아. 그 다음이 없으면 죽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없어.” (145쪽)
“아키의 생일은 12월 17일이잖아.”
“사쿠짱 생일은 12월 24일이고.”
“그렇다면,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나고 나서 아키가 없었던 적은, 지금까지 단 일 초도 없었어.” (173쪽)
“하늘을 논하지 않던 공자가 제자의 죽음을 접하고는 하늘이 나를 멸망시켰구나, 하고 통곡했다고 전해지고 있지. 불생불멸을 설도하던 홍법대사 쿠카이도 제자의 죽음에 자신도 모르게 눈물을 흘렸다고 해.” (19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