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여우를 보고, 조금만 생각해보기
14일째 달에는 희망이 없다.
보름달은 야위어가지만 14일째 달에는 내일이라는 희망이 있기 때문에 좋아한다는 치요코의 사랑(이름도 얼굴도 모르는 민권운동가[사상가])의 말은 좀 웃겼다. 곧 찾아올 절망을 알고서 빛나는 '내일'을 바라보는 마음을 과연 희망이라 할 수 있을까.

가장 소중한 것을 여는 열쇠로는 어떤 것도 열 수 없다.
영화가 끝날 때까지 이 열쇠로 무엇을 열 수 있는 건지는 나오지 않는다. 단지 '소중한 것'을 연다고만 할 뿐, 결국 치요코는 그 열쇠를 쓰지 못한 채, 영화는 막을 내린다. 영화상에서, '소중한 것을 여는 열쇠'는 '아무 것도 못 여는 열쇠'가 되어버린다. 소중한 것이란 없다. 열쇠를 준 남자를 찾아다니는 자신의 모습을 사랑하게 된 치요코, 그 자신이 있을 뿐이다.


시간은 되돌릴 수 없이 흘러가는 것.
'나는 너를 증오해, 하지만 너무 사랑스럽다.' 처음 이 물레잣는 노인이 등장했을 때, 이게 뭔고 싶었다. 그리고 마지막에 그 정체가 드러났을 때, 나는 숨을 죽여야 했다. 그 노인은 시간이었다. 늙어버린 모습을 그에게 보이기 싫었다, 고 말하는 치요코의 눈에 비친 노인의 모습은 더 이상 무서운 요괴가 아니다. 지나가 버린 시간, 그 자체. 자신의 모습이므로. 시간은 흐른다. 그리고, 되돌릴 수 없다.



약속은 야속하다.
제 2차 세계대전 직후였던 것 같다. 폐허가 된 마을의 한 건물 벽 위에 '그 남자'가 남기고 간 약속이 남아 있었다. 치요코의 모습과 함께 쓰인 문구, 'いつか きっと(언젠가 반드시)'. 이 약속은 너무 야속했다. 언젠가 반드시. 언젠가라는 말은 너무 불확실한 반면, 반드시라는 말은 너무 확고한 것이다. 그 약속을 담은 액자에 비친 늙은 치요코의 모습과, 시간이 흘러도 변함이 없는 그림 속의 치요코의 모습이 함께 화면을 메울 때, 그 약속의 야속함에 슬픔을 느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