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레이 러브스토리, 라고 표지에는 적혀 있었지만, 그것은 써내려간 방식을 말하는 것이지 소설의 내용을 말해주는 건 아니다. 자고로 릴레이란, 한 주자가 다음 주자에게 바통을 넘겨주면서 이어지는 것일진대 <냉정과 열정사이>에서 아오이와 쥰세이 사이에는 어떤 의미에서든 '넘겨주고 넘겨받는' 행위는 없다.

아오이의 이야기가 Rosso라는 이름을 달고 나온 것은, 그녀가 이름부터 시작해서 풍기는 분위기까지 푸른 색채를 띄고 있지만, 그 마음속에는 정열이 숨쉬고 있다는 것을 말하려고 하는 걸까. 묘하게 어울리는 아오이와 붉은 기운 속에서, 나는 이런 생각을 했다. 에쿠니 가오리의 풍경은, 내가 지금껏 읽어본 두 소설만 보면, 굉장히 맑으면서도 허망하다. 목욕을 좋아한다는 설정은 항상 그녀의 여인들을 깨끗한 이미지로 지켜주며, 서늘한 정신세계는 작품전체에 한적한 공간의 여유와 가벼운 냉기를 불어넣는다. 그런 모습은 <냉정과 열정사이>에서도 여과없이 보여졌다. 담담하고 조용한 미소의, 시원스런 목덜미가 느껴지는 아오이. 직장은 있었지만 대개 책을 붙들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서 더욱더 무료해 보이는 아오이. 그 무료함이 위태로움을 낳는, 그런 여자였다.

쥰세이에게는 Blu도 어울린다. 무언가에 열정을 드러낼 수 있는 열기의 색깔도 어울리겠지만. 그는 아오이보다 '인간적'이기 때문에 어떤 색과도 그럭저럭 들어맞는다. 그가 복원사이기에 가진 색감있는 눈동자가 그렇게 만드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쥰세이의 이야기는 아오이의 이야기보다 더 편하게 읽을 수 있었다. 적어도 쥰세이에게는 부서져내릴 듯한 가느적한 외견이 없었고, 열중하는 일도 있었다. 나는 냉정보다 열정을 더 갈구하는 사람인가.

나는 내심, 아오이는 마빈과의, 쥰세이는 메미와의 생활에서 행복을 찾아 잘 살길 바랬다. 그리고 둘은, 서로를 그저 추억이라고만 생각하면서 피렌체의 두오모에서 만나는 것이다. 그리고 가벼운 이야기를 나눈 후, 다시 그들의 삶으로 돌아가는 것. 그게 내가 원하던 거였다. 하지만 그렇게 안 된 건 말할 것도 없다.

<냉정과 열정사이>라는 제목(원래는 <냉정과 정열의 사이>라지만.)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냉정과 열정, 그 사이에는 무엇이 있을까. 우선 떠오른 것은 아오이와 쥰세이였다. 하지만 그뿐이 아니었다. 냉정과 열정 사이에는 사람들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모두 냉정과 열정 사이에 살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