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어 어른을 위한 동화 2
안도현 지음 / 문학동네 / 199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도현의 '연어'. 연어라는 짧은 제목이 전해주는 의미가 얼마나 큰지, 상상도 하지 못했다. 연어가 모천 회귀성 동물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알을 낳기 위해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연어와 같이 열심히 삶을 사는 이야기 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내 짐작은 아주 틀린 것이었다. 주인공은, '연어'였다. 그것도 별종, 고운 은빛을 띄는 은빛연어.

연어, 라는 말 속에는 강물 냄새가 난다.
가가 언젠가 썼던 글에서 한번 등장했었던 이 말은 소설의 첫머리를 멋지게 장식한다. 이 글귀를 읽는 순간, 나는 이 책이 마음에 들기 시작했다. 얼마나 멋진가. 얼마나 멋지게, 연어를 표현했는가. 바다에서 사는 시간이 아무리 많은 들, 그들의 생은 강에서 시작해서 강에서 끝나는 것을.

연어를 읽으면서, 나는 이 책과 '오체불만족', '어린왕자'와 작은 공통점을 느꼈다. 무려 두권! 크. 더 친근감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은빛연어는 외톨박이였다. 다른 연어들과는 달리 은빛을 띄는 그의 몸은 시도때도 없이 목숨을 위협하는 물수리나 불곰의 표적이 되기에 딱 좋았다. 무리를 습격의 위협속으로 몰아넣는 그를, 친구들은 따돌렸다. 어느 날. 친구들이 '이 은빛 별종아!'하고 놀리면서 지나갔다. 그가 웃으면서 무엇이라고 대꾸했는지 아는가? '그래, 나는 은빛연어야.' 이 부분을 읽으면서, 남들과 자신이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고 극복한 은빛연어의 당찬 모습에 박수를 보내줄 수밖에 없었고, 순간 머릿속에 떠오르는 사람이 있었다. 오토다케 히로타다. 팔다리가 없는 그에게 언젠가 친구가 '이 팔다리 없는 놈아!'라고 말했을 때, 그는 '뭐야, 이 팔다리 있는 놈아!'하고 되받아치지 않았는가. 이만하면 연상이 될 만도 하지?

어린왕자를 떠올린 곳은, 회의의 세 번째 발언자인 지느러미긴연어의 말을 듣고 은빛연어가 생각하는 부분이었다. '…등굽은연어는 비틀어진 등으로 어떻게든 헤엄을 치려고 한다. 그 고통이 왜 아름다운 것인지, 그 상처가 왜 아름다운 것인지 선생님은 모른다. 선생님은 선생님이니까.' 선생님이라고 불리는 지느러미긴연어는 어쩌면 이렇게 인간 어른과 닮았을까. 마치 어린왕자가 은빛연어가 되어 지느러미긴연어라는 어른을 보고 생각하는 부분인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그런데 어째서 지느러미긴연어는 그런 생각을 했을까. 등굽은연어를 보면서, 생각할 것이 정말로 교훈 뿐 이었더란 말인가. 정말, 이해할 수가 없다.

가슴에 와닿는 말들 중 두가지만 적어보겠다.

'세상에는 언제나 동무들의 숫자보다 적들의 숫자가 많기 때문이다.'

정말로, 정말로 세상에는 친구보다도 적이 많다.… 아- 사실 이렇게 쓰고 싶은 게 아니었는데. 내가 이 글귀를 읽으면서 받은 느낌을 그대로 글로 표현해 내고 싶지만, 잘 되질 않아서 정말 아쉽다. '아, 정말 그래!'라는 탄성과 함께 느껴지는 그 희한한 느낌의 전율이란. 정말 코끝이 찡해지면서, 그 넓은 세상의 심오한 깊이가 책 속에서는 단 한 줄로 표현 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존경심마저 들었다.

'땅은 물을 떠받쳐주고, 물은 땅을 적셔주면서 이 세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은빛연어가 깨달음을 얻으며 좀 더 자란 것이 바로 이 부분이지 싶다. 연어는 땅으로 나가서는 살 수 없지만 땅을 미워해서는 안 되며 물은 땅과 함께 있어야 비로소 존재 할 수 있다는 것은 단순한 사실이지만 이를 인정하는 것은 단순하지 않다. 그 복잡하게 얽힌 상부상조하는 세상을 본 게 아닌가.

인간은 생각하는 생물, 만물의 영장이라고 한다. 그러나 어쩌면 우리는 연어보다도 못한 것은 아닐까. 물론 나도 책은 현실이 아님을 안다. 하지만 연어는 정말로 이런 생각을 하고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알을 낳기 위해, 거친 파도와 무서운 폭포를 거슬러 강으로, 강으로 올라가는 연어. 삶을 살아가는 의미를 확실하게 알고 그 의미를 달성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연어들은 아주 훌륭한 삶의 본보기라고, 나는 생각한다. 또한, 내가 한번이라도 연어보다 나았던 적이 있었는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