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데없이 불편한 마음이 가득.  

쓸데없이 불편한 고민이 가득.  

치워버리자, 버려버리자. 영화나 보자.  

 

<키친>, <세븐 파운즈>, <타이드랜드>,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다우트>,  

<그는 당신에게 반하지 않았다>, <레볼루셔너리 로드>, <다크 나이트>, <오이시 맨>,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 <말리와 나>, <하이 스쿨 뮤지컬: 졸업반>, <블레임: 인류멸망 2011>, 

<레이첼, 결혼하다>, <인터내셔널> 

  

라는데.  

뭐냐, 이 오스카 포스는.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Hardboiled Oz 2009-02-09 1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떠나고 싶은 여자와 남고 싶은 남자. 레볼루셔너리 로드에 살고 있는 한 부부의 이야기인 <레볼루셔너리 로드>를 보고 내 미래의 이야기인 것만 같아서 마음이 섬뜩해 주룩 눈물이 흘러라.

Hardboiled Oz 2009-02-09 1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평단도, 관객도 그리고 우리 언니도 한 목소리로 재미없다를 외치던 <세븐 파운즈>는 아예 포기를 하고 그저 4K 디지털 시스템이 무엇인지, 메가박스 동대문 점은 어찌 생겼는지 궁금해서 찾아갔던 길이었던지 의외로 예상보다 좋았다. 더는 살 수 없어서, 더는 살고 싶지가 않아서 치밀하게 자신의 마지막을 준비했던 남자의 이야기라니. 박스젤리피쉬 장면에 다소 이 감독은 사실 이 보다는 좋은 영화를 만들 수 있는 감독이 아닐까 생각했다.

Hardboiled Oz 2009-02-09 14: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더 리더>를 보면서 일상과 역사를 어떻게 조합하여 이야기를 만드는지에 대한 진부하지만 울림을 읽을 수 있었다. 케이트 윈슬렛이 상을 받을 만 했다 싶더군.

Hardboiled Oz 2009-02-12 0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말했잖아, <다크 나이트>가 IMAX에서 재개봉하면 꼭 볼 거라구. 하여, 봤다. 왕십리 CGV IMAX관 D열 정중간의 좌석에서 보는 <다크 나이트>는 전혀 새로운 영화였다. 첫 장면에 머피가 나온 걸 기억조차 못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았다. 그나저나 고등학교 3년 동안 다녔던 왕십리 역은 십수년 전의 그 왕십리 역이 아니더라.

Hardboiled Oz 2009-02-12 1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슬럼독 밀리어네어>!!

Hardboiled Oz 2009-02-13 1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뒤늦게 <귀향>. 처음부터 그런 이야기일 거라고 무의식 중에 생각하고 있었던 모양이다. 누가 누굴 죽여도 놀라지 않고, 누가 누구의 아이라도 놀라지 않고.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이 그렇지 뭐. <내 어머니의 모든 것>의 연장선.

Hardboiled Oz 2009-02-21 21: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혀 생각치도 못한 이야기였다, <다우트>는. 이동진 기자의 말대로 2월엔 진지한 헐리우드 영화를 만날 수 있어 좋다. 헐리우드에서 만들면 적어도 매끈매끈 하기는 하니까. 이번 아카데미 시상식의 영화들이 아주 마음에 든다.

Hardboiled Oz 2009-02-23 14: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음에 깃든 의심이란 놈은.

Hardboiled Oz 2009-02-23 2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얼라이브>의 작가 출신인 존 패트릭 샌리 감독은 오랜 시간 묵혔다가 꺼내놓은 간장의 냄새를 맡은 것처럼 오래도록 잊지 못한 각인을 새겼다. 감정이 시키는 일에는 장담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그랬잖아요. 내가.

Hardboiled Oz 2009-02-24 15: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 잠시 "오센"의 오센상과 같은 마음이었어. 그렇게 지킬 것이 있기는 하지. 하지만 이 드라마는 기존의 일본 드라마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소 억지스러우리만큼 우기기라니.

Hardboiled Oz 2009-02-24 15: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라스트 프렌즈"의 우에노 주리에게는 감정이입이 힘들었고, 나가사와 마사미는 내가 알고 있던 누군가와 너무도 닮아있었다. 에이타 보는 낙으로 그나마 끝까지 볼 수 있었던 듯. 나가사와 마사미는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에서도 <눈물이 주룩주룩>에서도 싫더니만 역시나 그녀의 생김새를 내가 좋아하지 않는 모양이다.

Hardboiled Oz 2009-03-04 14: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드라마 하나 보기가 이렇게 시간이 오래 걸리다니. <화려한 일족>과 <어레스티드 디벨롭먼트>에 빠져 허우적.

Hardboiled Oz 2009-03-12 15: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화려한 일족>은 그 명성과는 달리 내게는 그다지 재미 없더라.

Hardboiled Oz 2009-03-23 09: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레이첼, 결혼하다>를 혹자는 홈비디오에 담긴 미국 가정의 허상이라 했으나. 가족의 행복은 죄다 허상이므로 홈비디오에 담긴 가족 잔혹극이라 칭하고 싶다. 앤 헤서웨이, 이제 더 이상 아이돌이 아니겠어.

Hardboiled Oz 2009-04-08 11: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쩌자고 땅 다지듯이 해피엔딩인 것인가, <키친>. 제목이 같다는 이유로 요시모토 바나나의 <키친>이 떠올라서 꼭 보고 싶었으나.

Hardboiled Oz 2009-04-29 1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저 이스탄불이 나온다는 이유만으로 <인터내셔널>.

Hardboiled Oz 2009-04-29 14: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잠깐, 언제부터 슐레마니예 모스크 지하가 지하물 저장고가 된거?! 큭큭 슐레마니예에서 그랜드 바자르로, 이집션 바자르로. 맞아, 그랜드 바자르에선 길을 잃기 쉬워.

Hardboiled Oz 2009-09-10 14: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저 가볍게 볼 요량으로 <하이 스쿨 뮤지컬: 졸업반>을. 요즘 떠난다 생각하니 머리가 너무 아팠거든. 뭐 그런대로 신나긴 하더라만. 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