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선기자 정문태 전쟁취재 16년의 기록
정문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국제분쟁 전문기자이자 아시아네트워크(Asia Network)의 편집장이기도한 한겨레21의 정문태기자가 그의 지난 취재 기록들을 모아 책을 한권 냈다. 아시아네트워크가 한겨레21을 통해 출판한 [우리가 몰랐던 아시아]와 궤를 같이하는 이 책은 ‘아시아의 작은 나라의 비주류 언론사’에 소속된 한 기자가 작성한 ‘전쟁기록’을 통해 CNN같은 미국 언론을 중심으로 하는 주류 언론들이 보여주지 못하는/않는 아시아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책에 대한 적확한 서평은 인터넷을 뒤지면 금새 찾을 수 있을 '전문 서평가'들의 글을 통해 얼마든지 얻을 수 있을 테니, 난 그저 사사로운 느낌들을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적확한 서평’이라는 표현의 의미는 '저자가 의도한 책의 핵심과 그것에 대한 보편적인 감상을 모호하지 않은 어휘로 효과적으로 드러냄'을 의미한다. 이 글의 목적은 그것이 아니다.
이 책은 크게 두가지로 채워져 있다. 그 두가지 중의 하나는 개념이며, 나머지 하나는 현실이다. 문자를 통해서든 사진을 통해서든 어쨌거나 현실을 차가운 언어로 표현하는 언론인이어서 그런지 저자는 전선/종군기자, 평화, 비폭력, 중립, 시위, 테러 등의 표현들을 자신의 방식으로 새롭게 규정하는데 많은 페이지를 할애한다. 그런데 그것이 재미있는게, 규정이 무척 '뜨겁다'. 예컨대 ‘평화는 힘센 놈들이 만들어낸 거짓말이었다. 비폭력은 그놈들이 뱉어낸 거짓말에 쳐준 맞장구였다’, ‘그 ‘중립’이란 말은 백인,기독교,자본주의, 서양중심주의로 무장한 국제 주류언론들이 떠받드는 신줏단지였다’ ‘테러리스트란 미국에 해로운 행위를 하는 개인,집단,국가다’ 와 같은 식이다. 전선의 '냉랭함'이 그 안에서의 생존의 유일한 길임을 알고 있는 그가 내리는 이 뜨거운 규정은 일견 모순된 듯 하면서도 어찌보면 필연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잔뜩 달아오른 총구에서 뿜어나오는 공포스런 서늘함 처럼 말이다.
아무튼 이런 식의 재규정이야 자료집이나 대자보를 만들 때 글 쓰면서 이미 많이 경험했던, 세상을 바로 보기 위한 의식화의 기본단계이지만 이 책 속에서 그러한 규정들의 울림이 더욱 크게 다가오는 것은, 그러한 인식이 머릿속에서가 아닌 빗발치는 총탄 속에서, 미국이 뿌려댄 집속탄에 의해 치유할 수 없는 상처를 입은 아이들 사이에서, 목숨을 건 저항군들의 투쟁에 동행하는 가운데 획득된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생과 사의 갈림길에서, 그의 사유의 틀인 동시에 그가 생산해내는 '개념'들과, 이미 그곳에 주어진 잔혹한 현실은 때로는 격렬하게 부딪치거나 때로는 융합하며 기자이자 동시에 한 인간인 ‘정문태’의 생을 유지시키고 있었다. 그래서 그의 표현들은 절실했으며, 딱딱한 그의 기록들은 어떠한 문학작품보다도 아름다운 문장이 되고 있었다.
하지만 그의 글은 미문이되, 그것이 담고 있는 현실은 여전히 공포스러웠다. 그의 ‘발에 차이는 사실’들은 너무도 끔찍했다. 책의 마지막에 부록으로 담겨있는 그의 취재도를 보면 코소보, 르완다, 아프가니스탄, 버마, 라오스, 캄보디아 등등 지도는 분쟁을 의미하는 무수한 빨간색 표시로 뒤덮여 있다. ‘2년 8개월에 걸친 인티파다로 팔레스타인 땅에서는 2,286명이 목숨을 잃었고 중상자 2만 2,611명이 발생했다’, ‘미국은 1964년에서 1973년에 이르는 '비밀전쟁'기간 동안 라오스에 200만톤에 이르는 폭탄 700만개를 뿌려댔다’. 모든 전쟁은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과거'와 '현재'로 인하여 죽어가고 있었다. 그리고 종교/민족갈등이라는 주류 언론들에 쳐 놓은 장막 뒤에 숨어서 그 분쟁을 미국이라는 악의 축이 조종하고 있었다.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벌이는 그들의 서슴지 않는 살인행위는 나의 인식의 범위를 넘어서 잔혹했다.(미국의 침략사를 제목으로만 모아도 A4용지 한 페이지가 나온다) 그런 끔찍한 모습들을 읽으며 문득 나는 '알아야 할 것'들이 정말 많다고 생각했다. ‘헐리우드 영화 킬링필드’는 진실을 죽이는 또 다른 만행이라는 것, ‘발리에서 생긴 일’은 미남미녀들의 사랑놀음 뿐만이 아니라는 것, 등등.
그런데 그러한 개념과 현실을 바라보며 나는 처음에는 격렬한 분노를 느꼈으나, 그것이 절정에 도달한 어느 순간, 내가 품고 있던 분노는 순간 공허해졌다. 저자의 표현을 빌리자면 그것은 ‘그들은 내 생각이나 글과는 이미 다른 차원에서 살아가고 있는 존재이기 때문'이었다. 나의 안온한 일상에 비추어 보았을 때 책 안의 처절한 게릴라들의 삶은 내게 너무도 먼 존재였던 것이다. 억압받는 바로 옆의 외국인 노동자와의 연대도 해내지 못하는 내게 있어서 이 책이 교양 이상의 무엇이 될 수 있을까 하는 자괴감이 문득 날 스쳐지나갔다. 각자의 치열함이 있는 것이겠지만, 그저 ‘각자’라고 이야기할 수 만은 없는 것이지 않은가. 나는 내게 질문했다. 여전히 이 나라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무수한 전쟁 속에서 너는 무엇을 할 것인가. 하지만 여전히 대답은 나오지 않았다.
책을 읽다보니 드문드문 여성에 대한 표현이 눈에 걸렸다. 그것은 재작년 부터 작년 초에 이르기까지 선정적인 언론이 두 중학생의 죽음을 ‘꽃다운 소녀들의 숭고한 죽음’으로 묘사한 것과 궤를 함께하는 것일텐데, 희생양으로서의 약한, 그래서 더 슬픈 여성의 이미지를 책에서 군데군데 강조하고 있다. 원래 그것이 불쾌한 보수민족언론 한겨레의 마인드일텐데, 그래도 저자의 일터가 전장이며, 마초 생산의 온상지인 군대와 잇닿아 생활한다는 점에서, 그의 그러한 인식의 한계를 ‘존중’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어느정도 ‘이해’할 수는 있을 것 같다. 그렇지 않아도 저자는 ‘타이가’에 관한 장에서 ‘전사’로서의 여성에 대한 자신의 편견을 반성하고 있었다. 비록 그가 자신의 오류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남자 못지않게, 아니 그보다 더 투철한 정신을 바탕으로 남자 이상의 전투력을 보이는 여성들'이었다는 점이 씁쓸하긴 했지만 말이다. 문득, 그에게 있어서 만큼은 '시민권'이라는 것이 공허한 개념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다 읽고 잠시 멍하니 앉아있다가 다시 책의 표지를 넘기자 항상 그러하듯 저자의 소개가 눈에 들어왔는데, 문득 그것이 잘못된 것임을 깨달았다. 난 생각했다. 정문태 기자가 만난 중요한 사람들은, 혹은 그를 중요하게 - 저명한 전선기자로서 - 만드는 사람들은 아프가니스탄의 마수드나, 버마의 보먀처럼 ‘전설적인 지도자’가 아니라, 라오스의 비극을 말없이 표현하는, 언제 폭발할지 모르는 커다란 포탄 위에 쪼그려 앉은 소녀나 코소보 해방군으로 활동하다 전사한 아버지의 사진을 목에 걸고 울고 있는 소년이라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