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치기! - We Shall Overcome Someday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968년이라는 일본에서는 상당히 격동적인 시기를 무대로 하여 재일 조선인들을 스토리라인의 전면에 부각시킨 점이 무척이나 특이한 영화입니다.

하지만 높은 평가를 받을 만한 이유를 저는 잘 모르겠더군요. 결론적으로 말한다면 싸움을 주요 모티브로 한 재일 한국인에 대한 묘사와 스토리의 힘은 "GO"보다 떨어지고 음악을 주요 모티브로 하여 과거의 청춘을 묘사한 이야기는 "청춘 덴데게데게데게" 보다 음악적 효과와 활용이 낮다고 생각되었거든요.

사실 적대하는 두 그룹과 그 사이에 속한 젊은 청춘남녀의 풋풋한 사랑이야기는 쎄고 쎘죠. 설정과 배경이 되는 시대가 독특할 뿐 내용면에서는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에서 한걸음도 진보하지 못한 것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그리고 보는 내내 영화의 메인 테마가 무엇인지 자꾸 헛갈렸고요. 젊은 청춘들의 한때를 그린 것임에는 분명하지만 그 한때의 주요 포커스가 싸움인지, 음악인지, 방황인지 확실히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요컨데 이 영화에서는 음악과 사랑으로 평화를 이루려는 주인공 코우스케와 경자의 이야기, 그리고 조선에 돌아가 축구를 하고 싶어하는 조선인 학교의 짱 리안성과 그와의 사이에서 아기를 가지게 된 모모코의 이야기, 그리고 두 학교의 주먹 전쟁이라는 3개의 큰 축으로 이야기가 돌아가고 있는데 그다지 편집과 내용 정리의 묘를 살리지 못한게 아닌가 싶더군요. 주인공이 누구인지 중심축조차 흔들리고 있는 정도이니 어떻게 보면 당연한 일이겠지만 저는 보는 내내 좀 혼란스러웠습니다. 좀더 이야기의 중심축을 잘 살려나가는 것이 좋았으리라 생각됩니다.

또한 설정 자체도 뻔하지만 주인공 패거리 중의 한명이 죽어서 사건이 급 진전 되는 것도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는 너무 교과서적인 전개로 보이더군요. 최종 클라이막스를 위한 사전 포석으로 이 친구의 죽음을 설정해서 이후 민족간의 갭과 마지막의 큰 싸움, 그리고 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전개로 이어지는데 솔직히 너무 뻔했습니다. 말죽거리 잔혹사 처럼 친구가 그냥 도망간다고 하는 것이 훨씬 현실적이었을 것 같은데 말이죠.

그래도 상큼한 여주인공과 효과적은 음악의 활용, 앞서 말했듯 특이한 시대 배경을 잘 살린 여러 설정으로 평균적인 재미는 선사하는 작품이긴 합니다. 당시의 전공투 상황이라던가 히피 문화, 그리고 조선인 학교의 디테일들과 (일본인 배우들의 한국말 연기는 최악이었지만요) 여러 노래들 등 향수를 자극할 만한 요소들이 많더군요.

또한 마지막에 주인공이 라디오 방송국에서 "임진강"을 포크송으로 부르며 겹쳐지는 여러 인물들의 모습을 그리는 하이라이트 장면은 (뻔하다고는 했지만) 한번 볼 가치가 있습니다. 노래도 좋지만 상황을 다 정리하는 여러 장면들의 편집이 꽤 괜찮거든요. 

덧붙여 재일 한국인들에 대한 새로운 평가와 시각 또한 높이 평가할만 합니다. 여기 나오는 각종 한국인의 수난사는 지금 한국에서도 잊혀진 것이 대부분이기에 더욱 그러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롤드와 쿠마 - Harold and Kumar Go to White Castl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한번 웃고 즐기자는 측면에서 선택한 예전에 보았던 무뇌계 코미디물 "내차 봤냐?"의 감독 대니 레이너의 작품입니다. 스토리만 놓고 본다면 "내차 봤냐?" 못지 않게 황당무계하고 내용도 똑같은 버디무비 형식의 코미디입니다. 전개 역시 중간중간에 여러 사건들이 차례로 벌어지고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며, 마지막에 어쨌건 깔끔하게 해결되며 완벽한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것 역시 같고요.

하지만 이 작품은 유색인종으로 미국에서 살아가는 것에 코미디의 촛점을 맞추고 있어서 나름 진지한 구석도 있다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물론 백인들에게 괄시받는 동양인이라는 설정은 진부할 수도 있지만, 이 작품에서 백인들은 하나같이 주인공들을 무시하는데 그 과정은 정말 와 닿더군요. 주인공들이 추구하는 오직 하나의 목표가 "White Castle" 이라는 것 역시 진부하지만 핵심적인 설정일테고요.

무엇보다도 두 주인공 중 한명이 한국계이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단순한 코미디물만이 아니라 한번쯤 생각해 보게 하는 작품으로 다가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한국계가 각본에 많은 입김을 불어 넣었을 것 같은데 주인공 해롤드의 성격이나 설정이 정말로 전형적인 한국인 같아 보입니다! 야채가게 주인이 아니라 투자회사에서 근무하는 수재로 모든일에 깔끔 및 정확성을 요구하고 일에 매달리는 모습, 소심한 모습 등이 굉장히 리얼합니다. 물론 진짜배기 한국인 입장에서는 부담스럽고 과장된 측면도 분명 있지만 불편할 정도는 아니라 생각되네요. 하지만 그에 비해 인도계인 쿠마는 강한 캐릭터 성을 지니는 해롤드에 대비되는 인물이기 때문에 관습적으로 캐릭터화 되어있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그 중에서도 의학의 천재지만 마리화나에 환장한 인물이라는 설정은 좀 지나치지 않았나 싶고요.

미국에서야 이국적이면서도 색다른 소재로 인기를 끌었을 작품이지만 그래도 단순히 웃고 즐기는 코미디로서가 아니라 한번쯤 생각해 볼만한 작품이 아닐까 싶네요. 영화를 보고나니 여러가지 어려운 과정을 거치고 계실 이민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차별이란 없어져야 될 것인데 유머의 소재로까지 쓰일 정도라는 것이 씁쓸하긴 합니다만....

PS : 천재소년 두기 하우저로 나왔던 배우 닐 패트릭 해리스의 연기변신(?)도 볼거리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카이 하이 - Sky High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인크레더블즈" 처럼 슈퍼 히어로 가족을 소재로 한 실사 영화입니다. 가족영화의 명가 디즈니 답게 적당한 유머와 재미, 액션을 갖춘 괜찮은 가족 영화로 슈퍼 히어로의 팬인 저는 무척 재미있게 감상했습니다. 히어로물의 팬에게 선물과도 같은 히어로반과 조수반의 여러가지 기발하고 재미있는 능력 및 설정들이 볼만하며 조수반의 활약으로 이루어지는 마지막의 해피엔딩까지 제 취향에 꼭 맞는 작품이었습니다.

또한 가족영화 답게 능력을 깨닫지 못한 윌과 부모와의 갈등 등 시시콜콜한 요소들 역시 재미난데 캡틴 코맨더 역의 커트 러셀은 근래 본 것중에서 최고의 적역을 아주 잘 소화해내고 있더군요. 각성한 윌의 정신적인 성장을 다루는 영화의 전개 역시 가족 영화에 걸맞는 구성이라 생각되고 마지막의 아주 약간의 반전도 마음에 들었습니다.

출연진도 꽤 화려한 편이라 학생들 역은 다들 잘 모르는 배우들이긴 하지만 커트 러셀을 비롯하여 제트 스트림역은 여러 영화의 조역연기가 기억나는 켈리 프레스톤이었고 원조 원더우먼 린다 카터의 출연 및 샘 레이미 감독의 페르소나인 부르스 캠벨의 체육선생인 "소닉 붐" 역 도 기억에 남네요.

그다지 큰 제작비를 들이지 않은 어떻게 보면 소품같은 영화이고 때문에 액션 장면의 박력은 대작 히어로물에 비해 떨어지는 편이며 좀 아동 취향에 가까운 영화라고도 할 수 있지만 슈퍼 히어로물의 팬이라면 꼭 봐야할 기발하면서도 재미난 영화라는 생각이 드네요.

이 영화를 잊혀진 Side Kick들에게 바치며, 나름대로 히트 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제발 속편이 나와주었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밴디다스 - Bandida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간만에 본 영화네요. 프랑스, 멕시코, 미국의 합작 제작 영화로 뤽 베송이 각본을 썼습니다. 음악도 에릭 세라가 맡았고요. 무엇보다 포스터가 마음에 들어서 보게 된 영화입니다.

그런데 3개국 합작이긴 하지만 제가 보기에는 멕시코 자금이 제일 많았던 것 같습니다. 내용만 딱 봐도 알 수 있겠지만 멕시코의 두 젊은 미녀가 악덕 미국 은행의 끄나풀과 한판 승부를 벌이는 "ViVa Mexico!"라는 주제의 영화거든요. 요새 미국내에서도 급증하고 있는 라틴계 미국인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작전일까요?

하여간 영화는 위의 내용을 가지고 그야말로 공식대로 흘러갑니다. 두 젊은 미녀의 은행강도를 시작하게 된 원인, 그리고 특훈을 거쳐 은행강도계의 떠오르는 별(?)로 부상하고 두 미녀 모두 마음에 드는 전문가 남성을 멤버로 끌어들여 마지막 최후의 한탕... 이라는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 전개거든요. 2명으로 축소된 미녀 삼총사 같은 느낌이 들더군요.

그래도 각본이 뤽 베송인 탓인지 의외의 디테일이 꽤 많아서 뻔한 장면의 연속임에도 크게 지루하지는 않았습니다. 예를 들면 두 미녀가 각각 특기가 있다는 것 역시 뻔하지만 (마리아는 말을 잘 다루고 명사수, 사라는 유럽에서 교육을 받고 와서 똑똑하며 단검 던지기의 명수라는 설정) 그런대로 설득력있게 표현되고 있어서 크게 위화감이 들지는 않거든요. 또한 은행강도 쟝르(?) 영화답게 나름 재미난 아이디어를 도입하고 있는데 폐쇄된 은행에서의 변장을 통한 잠입과 탈출이라던가 압력 감지장치가 설치된 은행을 돌파하는 장면은 상당히 기발했습니다.

하지만 영화 처음부터 등장해서 뭔가 대단한 변수를 만들어 낼 것 같았던 남자멤버 퀀틴의 활약과 비중이 애매하다는 것은 의아하더군요. 설정과 캐릭터만 본다면 맥가이버같은 활약을 보여줄 것 같았는데 말이죠. 막판에 두 미녀를 놔두고 떠나는 모습 역시 전형을 깬 파격적인 부분이긴 했지만 싱거운 느낌이 더 강하고요. 그리고 아무래도 여성이 주인공인 탓에 액션이 좀 약하다는 것은 어쩔 수 없었겠지만 미녀로 잘 알려진 두 라틴계 미녀를 더블로 포진시킨것에 비한다면 영화에 섹시함이 거의 없다는 것은 개인적으로 제일 아쉬운 부분이었습니다....

뭐 이것저것 따지자면 문제점도 많고 무엇보다도 은행강도들이 조국을 구한다는 말도 안돼는 해피엔딩 등 설득력은 제로에 가까운 스토리라인이지만 한여름 아무생각없이 웃으면서 즐기기에 적당한 영화였다 생각합니다. 대작들 틈바구니 속에서 여름 흥행을 잡기에는 2% 정도(?) 부족해 보이긴 하지만요. 결말에서도 속편을 암시하긴 하지만 아마도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밴디다스 - Bandida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9세기 멕시코의 한 마을, 미국 은행에 고용된 악당의 농간으로 땅을 잃게 된 마리아 (페넬로페 크루즈), 그리고 마을 은행장의 딸로 유럽에 유학갔다 잠시 귀국한 사라 (셀마 헤이엑) 는 각각 아버지가 살해된 것을 목격하고 마을의 은행을 털어 복수를 꿈꾼다. 한편 사라의 아버지 살해사건 조사를 맡은 미국 경찰요원 퀀틴마저도 그녀들의 정의에 설득되어 같이 강도행각에 나서게 되며 멕시코 총독은 연이은 은행강도 피해 때문에 금괴를 통째로 수송할 계획을 세우게 된다. 멕시코의 돈과 땅을 빼앗아가는 미국 강도에 대항한 그녀들의 작은 저항이 성공할 수 있을까?

간만에 본 영화네요. 프랑스, 멕시코, 미국의 합작 제작 영화로 뤽 베송이 각본을 썼습니다. 음악도 에릭 세라가 맡았고요. 무엇보다 포스터가 마음에 들어서 보게 된 영화입니다.  

그런데 3개국 합작이긴 하지만 제가 보기에는 멕시코 자금이 제일 많았던 것 같습니다. 내용만 딱 봐도 알 수 있겠지만 멕시코의 두 젊은 미녀가 악덕 미국 은행의 끄나풀과 한판 승부를 벌이는 "ViVa Mexico!"라는 주제의 영화거든요. 요새 미국내에서도 급증하고 있는 라틴계 미국인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작전일까요?  

하여간 영화는 위의 내용을 가지고 그야말로 공식대로 흘러갑니다. 두 젊은 미녀의 은행강도를 시작하게 된 원인, 그리고 특훈을 거쳐 은행강도계의 떠오르는 별(?)로 부상하고 두 미녀 모두 마음에 드는 전문가 남성을 멤버로 끌어들여 마지막 최후의 한탕... 이라는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 전개거든요. 2명으로 축소된 미녀 삼총사 같은 느낌이 들더군요. 

그래도 각본이 뤽 베송인 탓인지 의외의 디테일이 꽤 많아서 뻔한 장면의 연속임에도 크게 지루하지는 않았습니다. 예를 들면 두 미녀가 각각 특기가 있다는 것 역시 뻔하지만 (마리아는 말을 잘 다루고 명사수, 사라는 유럽에서 교육을 받고 와서 똑똑하며 단검 던지기의 명수라는 설정) 그런대로 설득력있게 표현되고 있어서 크게 위화감이 들지는 않거든요. 또한 은행강도 쟝르(?) 영화답게 나름 재미난 아이디어를 도입하고 있는데 폐쇄된 은행에서의 변장을 통한 잠입과 탈출이라던가 압력 감지장치가 설치된 은행을 돌파하는 장면은 상당히 기발했습니다. 

하지만 영화 처음부터 등장해서 뭔가 대단한 변수를 만들어 낼 것 같았던 남자멤버 퀀틴의 활약과 비중이 애매하다는 것은 의아하더군요. 설정과 캐릭터만 본다면 맥가이버같은 활약을 보여줄 것 같았는데 말이죠. 막판에 두 미녀를 놔두고 떠나는 모습 역시 전형을 깬 파격적인 부분이긴 했지만 싱거운 느낌이 더 강하고요. 그리고 아무래도 여성이 주인공인 탓에 액션이 좀 약하다는 것은 어쩔 수 없었겠지만 미녀로 잘 알려진 두 라틴계 미녀를 더블로 포진시킨것에 비한다면 영화에 섹시함이 거의 없다는 것은 개인적으로 제일 아쉬운 부분이었습니다.... 

뭐 이것저것 따지자면 문제점도 많고 무엇보다도 은행강도들이 조국을 구한다는 말도 안돼는 해피엔딩 등 설득력은 제로에 가까운 스토리라인이지만 한여름 아무생각없이 웃으면서 즐기기에 적당한 영화였다 생각합니다. 대작들 틈바구니 속에서 여름 흥행을 잡기에는 2% 정도(?) 부족해 보이긴 하지만요. 결말에서도 속편을 암시하긴 하지만 아마도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 

PS : 간만에 보는 셈 셰퍼드의 모습은 반가왔습니다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