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면 1
마쓰오카 게스케 지음 / 룩스북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일본에서는 천만부가 넘게 팔렸다고 선전하고 있고 개인적으로 일본産 미스테리 스릴러 물을 좋아해서 구입해 보았습니다.

일단 저자가 실제로 국가자격을 보유한 최면요법 카운슬러이기 때문인지 최면요법이라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굉장히 디테일하면서도 재미있게 풀어나가는 점은 마음에 듭니다. 특히 일반인들이 흔히 알고 있는 "최면術" 이 아닌 최면요법으로서 과학적이고 임상병리학적으로 증명될 수 있는 여러 사례들을 소설의 에피소드들과 결합시켜 재미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뇌수술 후 갑작스럽게 안면 마비가 온 환자의 치료나 외발자전거를 탈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최면 요법 등이 그러하고요, 또한 가위바위보 이론이나 동전 맞추기 트릭과 독심술 등을 실제 응용 가능할 정도로 자세하게 써 놓아서 흥미롭게 보았습니다. 가위바위보 이론은 한번 써먹어 봐야 겠더라고요^^

하지만 이러한 최면요법이나 독심술 같은 부분을 제외한 실제 소설적인 측면으로 보자면 미스테리 스릴러라는 이름을 붙이기가 미안할 정도로 재미가 없었습니다. 사실 스토리를 요약하자면 정말 간단합니다. "주인공 사가과장이 이리에 유카의 정신분열증을 치료하기 위해 노력한다" 가 전부일 정도거든요. 미스테리의 요인이 될 수 있는 두가지 요소, 유카의 횡령사건과 다중인격이라는 요소도 횡령사건은 순전히 심증으로 이루어지는 추론으로 해결되고 다중인격의 치료 역시 앞부분의 장황했던 설정에 비한다면 상당히 간단하게 끝나고 있습니다.

일반인들이 가지고 있는 최면술이라는 것의 나쁜점만 모아서 가지고 있는 지츠소지라던가 사가의 애인 아사히나의 이야기, 사가의 상관 구라이시의 이야기 등은 정말 부수적으로 최면요법을 강조하기 우해 등장하는 사족일 뿐이고 실제 주 스토리하고는 별 상관이 없어서 이야기의 밀도가 많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그리고 최면요법을 과학적으로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노력한 티는 무척 많이 나지만 그로 인해 등장하는 여러 에피소드들 자체도 위의 이유로 실제 스토리에 잘 섞이지 못한 것 같네요. 이럴바에야 "여의사 레이카"나 "사이코 닥터" 같은 정신과의사나 카운셀러가 등장하는 옴니버스 단편 만화보다도 격과 재미가 떨어지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또 외발자전거를 못타는 소녀에게 실시하는 최면요법처럼 최면요법의 효용을 강조해서 오히려 일반인에게 만병통치약과 같은 오해를 불러 일으킬 소지도 다분히 있다고 보이는데 이런 부분은 흡사 최면요법협회에서 홍보용으로 만든 것 같아 보이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미스테리 스릴러"라는 딱지를 붙이는 것은 어울리지 않는 작품이네요. 초반의 이리에 유카의 다중인격이 발동하는 장면에서의 충격은 약간 있지만 그 이외에는 별달리 언급할 내용도 없습니다. 뭐 그래도 소설 자체로는 여러 에피소드들이 다양하게 등장해서 그런대로 읽히는 편이기는 하니 절반의 성공이랄까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츠로 2005-02-22 2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뭐 그런대로 봐 줄만한 작품이기는 했으나 일본에서 천만부가 팔렸다는 것은 믿기지가 않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