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위남 - The Man Behind the Scissor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슈노 마사유키의 동명 원작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입니다. 소설이 얼마전 국내 출간되었는데 마침 영화가 있길래 궁금하기도 해서 별 기대없이, 아무생각없이 시간 떼우기 용으로 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뭐야 이거 재미있잖아! 일종의 반전물로 볼 수 있기도 하지만 사실 반전 자체는 중반정도에 유추가 가능한 반전이었기에 크게 대단한 것은 아니고 외려 추리적으로도 딱딱 들어맞는 전개, 거기에 음산한 음악이 잘 어우러진 잘 만든 웰메이드 추리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원작 소설은 아마도 1인칭 시점이 아닐까 싶은데 텍스트 트릭물의 영화화 성공사례가 아닐 정도로 잘 각색한 것이 마음에 들더군요.

추리적으로 본다면, 일단 전혀 연관이 없는 불특정한 피해자들의 선정 방법이 특이했지만 합리적이었습니다. 범인의 네트워크 만으로 뽑을 수 있는 정보가 한정되어 있을텐데 그 맹점을 잘 파고들었더군요. 그리고 그 외의 몇가지의 단서-버려진 가위의 존재, 피해자들의 상태, 운동화 자국 등-를 공정하게 던져놓고 그 모든 단서들이 영화 안에서 전부 정보로 소모되면서 결말까지 이르는, 한마디로 깔끔한 마무리가 무척 인상적이네요. 억지스러운 점도 별로 없고요. 물론 주인공 캐릭터 설정이 억지라면 억지겠지만....

무엇보다도 도요카와 에츠시의 냉정하고 감정없는 연기가 참 좋았습니다. 정말 "가위남" 이 존재한다면 그처럼 말하고 행동할 것 같더군요. 아베 히로키의 예상외의 모습도 반가왔고요. 몇몇 특수촬영 부분이 눈에 거슬리는 등 저예산으로 제작한 영화 같지만 잘 짜여진 추리물이기에 추천하고 싶습니다.

단, 후반 20여분은 주인공 치카의 거듭나기(?) 와 같은, 스스로의 트라우마를 이겨내는 과정이 무척이나 지루하고 짜증나게 그려지는데 좀 줄였으면 어땠을까 싶네요. 또한 치카가 아무 죄의식없이 앞으로의 인생을 이소베와 함께 살아갈 것 같이 그려지는 엔딩도 좀 찜찜했습니다. 미모의 여고생들로 나오는 피해자들이 하나같이 미모가 아니라는 문제도 있었고, 여주인공 역의 아소 구미코는 뭐 그냥저냥이었지만 중간에 잠깐 등장하는 회상장면의 고교생 복장은 너무 아니올시다 였습니다. 즉, 여자 캐릭터를 보기 위해 보는 영화는 절대로! 아니라는 것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즈베즈다 - The Sta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2차대전을 무대로 한 정찰부대의 활약을 그린 전쟁영화입니다. 러시아에서 만들어진 영화로 그간 미군이나 영국군 중심의 영화에 비하면 상당히 색다른 소재라 재미있게 봤습니다. 소련군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는 "Enemy at the Gate"이후 두번째이지만 러시아에서 만든 러시아어 영화는 처음인 것 같군요.

내용은 "전문가 집단인 소수 특공대의 활약"이라는 전쟁영화의 한 전형을 따라가고 있지만 재미와 액션 위주라기 보다 리얼한 묘사를 주로 하고 있어서 특이합니다. 리얼한 묘사에 더불어 첩보 부대라는 부대 특성 때문에 교전보다는 "회피"하는 전술을 주로 구사하므로 스케일이 최근 영화들에 비하면 그다지 크지는 않지만 초반 늪에서의 은신 장면이나 독일군 트럭을 몰래 타고 수송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정찰 장면 등에서 효과적인 연출로 표현한 긴박감은 대단합니다. 또한 폭격이나 총격씬 등도 적당한 수준으로 멋지게 표현해 주고 있으며 수준 역시 높아서 최근의 대작 영화들에게도 별로 꿀리지가 않네요.

지나친 충성심과 애국심, 헌신하는 조국의 병사들이라는 선전영화 스러운 분위기와 과장된 활약상을 보여주긴 하지만 전쟁영화라면 꼭 등장하는 내용이니 이 부분은 패스. 하지만 여성 통신병 "시마코바" 일병의 존재는 좀 불필요 했다고 보입니다.

그래도 각본 및 촬영, 편집이 상당히 좋고 재미도 있으면서도 적당히 감동도 있는 좋은 영화입니다. 러시아 영화의 저력을 잘 보여주고 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사결 - Duel to the Death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장철 감독의 1970년도 영화입니다. 명성이 워낙 자자하여 한번 보고 싶었지만 기회가 닿지 않던 차에 우연찮게 구해 보게 되었습니다.

일단 당시 영화답지 않은 화면 구성이 놀랍습니다. 장철 감독도 호금전과 더불어 재평가 받고 있는 감독이지만 초반부의 경극 장면과 관옥루의 살해 장면을 교차 편집한 장면이나 여러 액션 장면은 대가의 풍모를 느끼게 합니다.

무엇보다 대단한 것은 액션! 주인공 관소루는 2:8 가름마에 미소를 절대 띄지 않는, 누군가가 표현한 "살벌한 쿨함"으로 무장하고 눈에 띄는 원수의 패거리는 일단 다 죽입니다. (그 당시 중국 치안 상황이 정말 황당한 수준이었나 보더군요^^)

대략 보아도 30~40여명은 혼자 쓸어버리는데 그 살육의 장면을 극대화한 아름다움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것도 정통 홍콩 쿵푸영화의 아류가 아닌 독특한 칼부림 액션으로 표현하여 화면에 피가 난무하는 그야말로 하드고어 액션을 보여줍니다. (특수촬영에 장철 감독이 돈을 더 썼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조금 남습니다)

거기에 마지막에 복수를 완료하고 죽어가는 관소루의 모습까지 겹쳐지며 영화의 화룡점정을 찍어버리네요.

70년대 영화다운 닭살스러운 장면이 곳곳에서 묻어나는 것과 ("음식이 다 식어요" "난 식은것을 더 좋아하오") 약간은 허접한 촬영 방식이 옥의 티지만 이 영화는 당시 무술 영화의 "에너지"를 느끼게 하는 데에는 부족함이 없습니다.

묘한 에너지와 "무릇 남자는 강해야 한다!"라는 남자다움을 극한으로 강조하는 고전! 오히려 저는 최근의 세련되고 특수효과 남발한 중국산 무협보다는 이 영화가 더욱 마음에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복수 - Vengeanc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장철 감독의 1970년도 영화입니다. 명성이 워낙 자자하여 한번 보고 싶었지만 기회가 닿지 않던 차에 우연찮게 구해 보게 되었습니다.

일단 당시 영화답지 않은 화면 구성이 놀랍습니다. 장철 감독도 호금전과 더불어 재평가 받고 있는 감독이지만 초반부의 경극 장면과 관옥루의 살해 장면을 교차 편집한 장면이나 여러 액션 장면은 대가의 풍모를 느끼게 합니다.

무엇보다 대단한 것은 액션! 주인공 관소루는 2:8 가름마에 미소를 절대 띄지 않는, 누군가가 표현한 "살벌한 쿨함"으로 무장하고 눈에 띄는 원수의 패거리는 일단 다 죽입니다. (그 당시 중국 치안 상황이 정말 황당한 수준이었나 보더군요^^)

대략 보아도 30~40여명은 혼자 쓸어버리는데 그 살육의 장면을 극대화한 아름다움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것도 정통 홍콩 쿵푸영화의 아류가 아닌 독특한 칼부림 액션으로 표현하여 화면에 피가 난무하는 그야말로 하드고어 액션을 보여줍니다. (특수촬영에 장철 감독이 돈을 더 썼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조금 남습니다)

거기에 마지막에 복수를 완료하고 죽어가는 관소루의 모습까지 겹쳐지며 영화의 화룡점정을 찍어버리네요.

70년대 영화다운 닭살스러운 장면이 곳곳에서 묻어나는 것과 ("음식이 다 식어요" "난 식은것을 더 좋아하오") 약간은 허접한 촬영 방식이 옥의 티지만 이 영화는 당시 무술 영화의 "에너지"를 느끼게 하는 데에는 부족함이 없습니다.

묘한 에너지와 "무릇 남자는 강해야 한다!"라는 남자다움을 극한으로 강조하는 고전! 오히려 저는 최근의 세련되고 특수효과 남발한 중국산 무협보다는 이 영화가 더욱 마음에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간 - Lagaan: Once Upon a Time in India
영화
평점 :
상영종료


TV에서 보게된 인도 발리우드 영화입니다. 처음에 별 생각없이 봤는데 의외로 진지한 스포츠물이라 몰입해서 흥미진진하게 보았습니다. 예전에 정말 낯설게 보았던 "춤추는 무뚜"보다는 우리에게 친숙한 영화적 문법이 더욱 많이 도입된 편이라 크게 어려움없이 볼 수 있었다 생각되네요.

억압받는 식민지 주민들이 스포츠를 통해 승리와 환희를 느낀다는 이야기는 그동안 많이 있어왔습니다. 이 작품을 보면서는 특히나 우리나라 영화 "YMCA야구단"이 많이 연상되더군요. 하나씩 팀원을 모아가는 과정, 경기 규칙을 가르치는 미녀라는 설정이나 천민과 상위 계급이 대립하지만 평등하다는 사실을 일깨우는 장면 같은 것은 정말 똑같다고 보이거든요. 시기상 "YMCA..."쪽이 많이 참고하지 않았나 생각도 되지만 "YMCA..."도 어느정도 실화에 근거한 만큼 유사한 설정에서 오는 공감대가 비슷한게 많았다라고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어느나라나 생각하는 건 다 비슷한가봐요^^

발리우드 영화답게 중간중간 음악과 춤을 곁들인 뮤지컬 장면이 계속 이어지는 것도 흥겨움을 더해주고요. 개인적으로는 부반과 카오리, 엘리자베스 3명이 동시에 등장하는 사랑의 세레나데 장면의 편집과 촬영은 베스트로 꼽고 싶군요.

아쉽게도 제가 크리켓을 잘 알지 못해 가장 중요한 클라이막스인 크리켓 시합 장면에서의 몰입이 초반에 약간 힘들었지만 보면서 어느정도 룰도 깨우쳐 가니 더욱 재미있게 즐길 수 있었습니다. 특히 영국인들은 크리켓을 "즐기지만" 주민들은 그야말로 사력을 다하는 모습을 대비시켜 보여줌으로써 이야기의 완성도와 가치를 더욱 높였다고 생각합니다.

주인공 부반역의 아미르 칸은 현재 인도 최고의 스타라는데 그에 걸맞는 마스크와 완벽한 눈빛 연기를 보여주며 영화에 힘을 더 실어줍니다. 다른 조연들의 개성넘치는 연기도 물론 좋고요.

엘리자베스와 부반의 사랑 이야기는 지나친 사족이라 생각되고 거의 4시간에 가까운 상영시간은 지나치게 길어 중간중간 조금 지루하기도 했었지만 특이하고 이색적인, 이국적인 문화에 더불어 정통 스포츠물로의 가치까지 있어 흥미진진하게 볼 수 있었던 독특한 작품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