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수금 아침 8시 스탠딩 미팅 시간. 팀장님의 전달 사항과 1분 스피치로 진행된다. 팀장님의 전달 사항이 맨날 지나치게 길어져서 1분 스피치의 시간이 되면 사람들의 집중력과 체력은 한계에 이를 때가 많다. 이런 분위기에서 1분 스피치를 진행해야 하는 발표자는 심적 부담을 더 느낀다. 자칫 준비한 주제가 호응까지 없으면 썰렁하기 이른데 없다.
지난 수요일 내가 발표할 차례가 되었다. 그나마 호응도가 좋은 웰빙, 연예, 재테크로 갈까 하다가 최근에 읽은 책들을 소개하기로 마음 먹었다. 무슨 책을 소개할까? 후보에 오른 책은 세 권. <바람의 화원>, <친절한 복희씨>, <88만원 세대> 였다. 시간의 제약상 3권을 다 얘기하기는 무리라고 판단하고 2권만 선택하기로 했다. 개인적으로 <친절한 복희씨>를 <바람의 화원>보다 재미있게 읽었지만 최근 정조대왕 열풍으로 인한 대중적인 호응을 생각해 <바람의 화원>을 미리 낙점하고 나머지 2권 중에 고심했다.
우리 팀 20여명 중에 '88만원' 세대가 누구인지 알고 있는 사람은 몇 명이나 될까를 생각해보았다. 많아야 5명 이내. 평균 연령 30대 초중반. 20대는 달랑 4명. 모두 대기업의 정규직 근로자. 한 달 임금 88만원을 상상하기 힘든 사람들. 별로 궁금해하지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도 느끼지 못할 것 같았다. 나 또한 처음엔 그랬으니까.
그래서 소설 2권으로 가자고 마음 먹고 출근했다. 그런데 계속 마음 속에서는 <88만원 세대>를 외치고 있었다. 팀장님의 얘기 중간중간에 팀원들의 표정을 살폈다. 어제 다들 일찍 퇴근했는지 눈망울이 초롱초롱하다. 그래 까짓거 한 번 얘기나 해보자 마음 먹었건만 팀장님의 얘기는 끝날듯 하면서도 오래 진행되었고, 그들의 초롱초롱한 눈망울은 금새 반쯤 감겨 있었다. 그래서 '88만원 세대' 얘기는 꺼내보지도 못하고, 준비한 소설 이야기도 반으로 축약해서 서둘러 끝낼 수 밖에 없었다.
내가 너무 소심했나? 그들은 너무 과소 평가한 것일까? 끝나고나서 왜 그렇게 허탈하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