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중훈(칠수), 안성기(만수) 주연의 영화로 더 알려진 <칠수와 만수>. 영화를 본 기억은 없지만 공연 소식을 들었을때 왠지 모르게 끌리는 연극이 있는 법. 그런 연극은 그냥 봐줘야된다. 책이든, 영화든, 사람이든 꽂히는 Feel은 완전 소중한 감정이기에.

연극의 초연 배우는 20여년 전의 문성근(칠수)과 강신일(만수). 지금 중년의 그들을 상상하면 별로 어울릴 것 같지 않지만 그들에게도 피끓는 청춘이었던 때가, 대학로에서 굶주리며 연극 무대에 섰던 때가 있었을테니까. 그들의 20여년 전 무대는 어땠을까? 그들만의 칠수와 만수. 그 시대의 칠수와 만수가 궁금해진다. 

2007년에 다시 올려진 <칠수와 만수>는 2007년 트랜드에 맞게 재구성되었다. 전체적인 줄거리 구조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배우들의  에피소드들은 시대의 변화에 맞게 각색되었다. 중간중간 유머가 지나쳐 개그가 되어버리기도 했지만 무거운 주제의 연극에 한 방씩 터트려주는 웃음은 바로 약방의 감초. 고층빌딩 페인트공인 칠수(전병욱)와 만수(김문성)는, 여동생의 화상 수술을 해주기 위해, 시골에 형님의 합의금 마련을 위해 생활 전선에서 하루벌이를 하는 우울한 인생들이다. 힘겹지만 그래도 한 줄기 희망을 가지고, 답답하지만 건물 옥상에서 시원하게 오줌 한 줄기 갈기는 것으로 웃으면서 하루를 마무리한다. 하지만 세상은 그들을 가만히 내버려두지 않는다. 그저 옥상에서 소리 한 번 질렀을 뿐인데 세상은 그들이 생각하기 편한 방식대로 두 사람을 몰아세운다. 자살기도에 협박범으로까지. 두 사람은 자신들의 의도와는 전혀 상관없이 맞닥뜨린 현실 앞에 그만 굴복하고 만다. 보고나서 이 먹먹한 느낌. 이 불편한 느낌 때문에 다시 이곳을 또 찾게 되겠지. 보고나서 느끼는 이 불편한 느낌은 사실주의적 연극이 주는 최대 단점이자 장점이다.

너무 무겁지 않을까. 너무 고리타분하지 않을까. 신인배우의 연기가 어설프지는 않을까. 조금 걱정하고 갔었는데, 배우들의 열연 속에 나머지 둘은 어느 정도 묻어간 듯한 느낌이다. 5점 만점에 별점 4점 주고 싶다. ★★★★☆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7-07-25 15: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연극이나 뮤지컬을 본지도 굉장히 오래된 것 같네요.^^; 얼마전까지만 해도 한달에 한편정도는 본것 같은데..
그동안 그래도 연극에 대해서 조금 안다고 생각했었는데.. 이 작품은 처음 접해보는 군요. 머릿속으로 무대를 혼자 상상중입니다.^^ 대본이라도 찾아서 읽어봐야 겠네요.ㅎㅎ

Hani 2007-07-25 22:39   좋아요 0 | URL
저도 몇 달동안 못보다가 오랜만에 본 작품입니다. 연극 좋아하시면.. 좋은 작품도 추천 부탁드려요^^

비로그인 2007-07-26 2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갑자기 연극이 무진장 보고 싶어지는군요.^^ 저는 아마추어 연극도 종종 보러다니거든요.ㅎㅎ 좋은 연극 찾아내면 꼭~~ 알려드리겠습니다.

Hani 2007-07-26 23:45   좋아요 0 | URL
저도 8월에 볼만한 연극 찾아봐야겠어요. 저도 괜찮은 연극 보게 되면 알려드릴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