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무슨 책 읽고 계세요?
당신을 뒤흔드는 소설
-
-
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김별아 지음 / 문이당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연극배우 김호정씨가 출연한다고 해서 보고 싶었던 연극 <미실>을 놓치고 아쉬워하고 있을 즈음 소설 <미실>이라는 책을 알게 되었다. 헌책방에서 운좋게 발견해서 집에 모셔두고선 한참 시간이 흐른 후에야 읽게 되었다. 빨간색 표지의 이 책은 우리집 책장에 샨사의 <측천무후>와 홍석중의 <황진이>와 나란히 함께했는데, 불꽃처럼 정열적으로 살다 간 그녀들의 이야기는 빨간 표지와 잘 어울렸다.
책장을 넘긴지 얼마되지 않아 나는 미실의 매력에 흠뻑 빠져들었다. 그녀는 아름답고 탐스러운 아이였다. 타고난 운명과 미색은 그녀의 삶을 평범하지 않게 만들었다. 그 잔인한 현실 앞에서 사랑하는 이를 잃었고, 그 현실에 그저 순종하고 받아들이기보다는 자신의 야망을 이루기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냉혈 인간이 되고 말았다. 그것은 단순한 자신의 욕망때문이 아니라 그러할 수 밖에 없는 운명 앞에서 그녀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몸부림이 아니었을까. 그런 그녀에게 돌을 던지고 욕할 수가 없었다. 참을 수 없는 연민이 느껴져 슬퍼졌다. 그녀가 욕망하던 권력을 손에 쥐었지만 그런 그녀도 철저하게 고독한 한 인간일 수 밖에 없는 것을. 결국 한 줌 흙으로 돌아가는 것을.
책을 읽는 내내 나를 감탄시킨건 미실이라는 인물 자체보다 그녀에게 몰입할 수 밖에 없게한 작가의 표현력이다. 작가의 아름답고 풍부한 어휘와 화려하고 수려한 문장은 나를 숨막히게 했다. 우리말이 이렇게 아름답구나. 어려운 표현들이 많았지만 문맥의 흐름으로 상상하면서 단어 하나하나 문장 하나하나 꼭꼭 씹었다. 그리고 우스개 소리 하나. 나는 주로 출퇴근길 지하철에서 책을 읽는 편인데, 그녀의 대담하고 섬세하고 아름다운 성적인 묘사 부분을 읽을 때면 얼굴이 간혹 불거질 때가 있었다. 누가 내 책을 훔쳐보는 것도 아닌데, 마치 몰래 야한 소설을 읽다가 들킨것처럼 말이다. 이 순간 느껴지는 짜릿한 쾌감이란, 말로 표현하기 힘들다.
<미실>을 읽으면서 나는 적지 않은 문화적 충격을 받았다. 내가 교육받았던, 옳은 것이라 믿고 있었던 기존의 성윤리가 와르르 무너지면서 잠시 혼란스러웠다. 이래도 되는 것일까? 이것이 용인되었던 그 사회는 과연 제대로된 사회였을까? 조금은 찜찜한 마음을 지울수 없었는데, 그것 또한 그 시대의 하나의 문화적 산물로 받아들여야한다는 생각을 했다. 지금의 나의 기준으로, 나의 잣대로 그들이 잘못되었다고 심판할 수는 없지 않은가. 지금의 나의 잣대 또한 조선왕조 600년 동안 뿌리내린 유교적 전통의 결과가 아닐런지.
소설 <미실>은 그 동안 역사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던 미실을 재발견했다는 찬사와 함께 너무 미화시킨게 아닌가하는 우려를 낳았다. 소설 속의 그녀를 통해 미실을 평가할 수 없겠지만 한 사람의 미실을 만날 수 있어 기뻤다. 또다른 책에서, 연극에서, 영화에서, 드라마에서 혹은 내 마음 속에서 또다른 모습의 미실을 만날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한 인물에 대한 천편일률적인 평가보다는 다양한 평가가 있을때 그 인물은 더욱 빛이 나는 법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