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무슨 책 읽고 계세요?
여름나기를 위한 시원한 책읽기!
-
-
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이 소설을 광고에서 보았을때 사회의 통념을 뛰어넘는 발칙한 제목이라고 생각했다. 아내가 바람피웠다도 아니고, 일부일처제의 한국사회에서 아내가 결혼을 하다니. 책의 처음부터 끝까지 흥미진진했으며 중간중간 터져나오는 실소를 참을 수가 없없다.(그 웃음 뒤에 씁쓸함도 남았지만) 또 축구게임에 비유한 이 소설은, 축구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지만 월드컵 시즌이라 축구에 대한 상식과 축구와 축구 선수들에 얽힌 에피소드를 읽으면서 즐거움이 더 컸다. 내 남자친구가 이 소설의 제목을 듣고는 제목이 이상하다고 갸우뚱하더니 대충의 줄거리를 듣고는 화들짝 놀라며 던진 한 마디. "읽지마" (평소 ~하지 마라체를 쓰는 일이 드문 사람인데, 혹 이 소설이 나의 결혼관에 무슨 큰 영향을 줄 것처럼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 난 그 모습에 장난기가 발동해서 끝까지 다 읽고 빌려줄테니 꼭 읽어보라고 권했다.
소설은 읽는내내 손에서 책을 놓기 싫을만큼 재미있었지만 책장을 덮는 순간 허무감이 밀려왔다. 소설 속 인아라는 여성은, 기존의 결혼관을 부정하고 두 남자를 남편으로 둘 만큼 당당하고 매력적인 여성이지만 현실에서 인아처럼 살고 싶다고 생각한 여성은 많지 않을 것 같다. 그녀의 도발적인 선택에는 감히 내가 할 수 없기에 박수를 보내며 후련해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은, 기존의 결혼관에 대한 딴지는 될 수 있어도 행복한 결혼에 대한 대안이라는 측면에서는 공감을 얻어내기에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나또한 인아가 매력적이었지만 인아의 선택이 유쾌했지만 나의 선택은... No 이다. 만약 일처다부제가 사회적으로 인정된다면 어떨까 상상해 보았다. 언뜻 잘 상상이 안 된다. 그래도 나의 선택은.. No이다. 왜냐하면 나는 인아처럼 두 남자를 동시에 사랑할 수 없기에, 덕훈과 재경처럼 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에 다른 사람이 차지하고 있는 것을 참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한 사람이 두 사람을 동시에 사랑할 수 있을까? 정말 누군가를 사랑한다면, 두 사람을 동시에 사랑하는 그이의 사랑도 인정해야 하는 것일까? 그럼 사랑이란 대체 무엇일까? 질문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여기에 정답은 없다. 각자의 사랑에 대한 기준이 다른 뿐이지.
나는 두 사람을 동시에 사랑할 수는 없는 사람이다. 영화 <글루미 선데이>의 여주인공은, 한 남자의 열정과 한 남자의 안정을 사랑한다. 이 소설 속의 인아의 사랑은 내가 생각하기에 좀 모호하다. 인아는 덕훈과의 사랑을 타인과의 사랑이라면, 재경과의 사랑은 그를 통해 알게 되는 자기에 대한 사랑이라고 했다. 두 남자가 만약 똑같은 사람이라면 그녀들은 그 남자 둘다를 사랑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녀들이 사랑한건 한 사람의 전체가 아니라 한 사람의 이것과 한 사람의 저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나에게는 한 사람의 이것과 한 사람의 저것을 사랑하는 마음 대신 한 사람을 이것과 저것으로 구분하지 못하는 사랑하는 마음을 가졌기에 애초에 불가능하다.(혹시 그렇게 믿고 싶은 것일까ㅋㅋㅋ)
정말 내가 그이를 사랑한다하여도 나는 두 사람을 동시에 사랑하는 그이를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덕훈은 이해하지 못했지만 인아를 사랑했기에 그녀의 제안을 수용했지만 나는 하지 못한다. 타자에 대한 사랑 이전에 나자신에 대한 사랑이 더 크기 때문일 것이다. 내 가슴과 머리로 이해되지 않는 사랑인데 쿨한 척 멋있는 척 하면서 진정한 사랑이냐 아니냐를 논할 자신이 없다.
그럼, 사랑이란 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소유란 말로 구속하고 싶지 않지만 소유의 개념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도 못하고, 나 자신을 죽이면서까지 한 사람만을 위하겠다고 부르짖을 수도 없다. 결론을 내리고 싶은데, 잡을려고 할수록 더 모호해지고 달아나기만 한다. 누군가 명쾌한 해답을 제시해 주지도 못한다. 사랑은 무엇이다, 무엇무엇하는 것이다, 무엇무엇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얘기하지 싶지 않다.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사랑"이라는 단어를 떠올렸을때 생각나는 한 사람이 있다는 것. 그 하나만으로 충분하다. 굳이 설명하려고 애쓰지 않을테다. 설명할 수 없는 그것이 나에게 사랑이라면 나는 그저 계속 사랑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