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탈진 음지 - 조정래 장편소설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1년 7월
평점 :
조정래 씨의 장편소설이다. 오래전, 조정래 씨의 대하소설 <태백산맥>, <아리랑>을 인상적으로 읽었다. 이번에 그의 신간이 발표되었다는 소식에 덥석 집었다. <비탈진 음지>라는. 그런데 책을 읽다 안 사실인데 이 <비탈진 음지>는 처음에는 중편으로 지어졌단다. 그리고는 다시 살을 덧붙여 장편으로 썼단다. <비탈진 음지> 장편을 읽고 보니 중편은 과연 어떤지 읽고 싶다. 추후 중편도 읽어볼 작정이다.
얼마나 오랜만에 정말 읽을만한 소설을 읽었는지 모르겠다. 간단히 말해서 '문학다운 문학'이었다. 이야기는 1960년대 농촌 인구의 서울 상경에 대해서다. 우리 땅안에서 일어난 '아메리칸 드림' 이랄까? 그러나 서울 상경이 모든 이들의 꿈을 실현시켜주지는 못했다. 도리어 도시 빈민이 늘고 농촌이 붕괴된 원인이 되기도 했다. 이 소설은 농촌에서 무작정 상경한 봉천 영감의 이야기자 우리네 할아버지, 할머니의 이야기였다. 타향살이의 설움과 고단한 일상들 속에서 펼쳐지는 빈부 격차, 잘 살아보고자 하는 한 인간의 발버둥이 가슴 먹먹하게 담겨 있었다. 그러나 이 이야기를 비단 과거로만 치부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아직도 'in서울'의 꿈이 많은 젊은이들에게 있고 그들 중 몇은 뜻하는 대로 살기도 하지만 또 몇은 힘겹고 고단하게 하루하루를 겨우 살아가고 있다.
복천 영감의 삶은 정말 눈물겨웠다. 아내를 잃고 큰아들의 생사도 모른 채 무작정 서울에 올라와 지게가 박살 나고 리어카를 도둑맞던 그 순간은 참 안타까웠다. 그리고 복천 영감의 잘 자란 두 아들, 딸이 참으로 듬직했다. 아비를 극진히 생각하는 그 모습이 참으로 착했다. 마지막 복천 영감이 다리를 잃게 된 장면은 참 마음이 아팠다. 드라마를 보면 남녀주인공의 해피엔딩을 염원하는 마음처럼 복천 영감에게 복권이라도 당첨되기를 바랐건만 그에 삶은 안타깝고 아팠다. 어쩜 그리도 복이 없는지, 어쩜 그리 운이 없는지 말이다. 다리를 잃은 복천 영감의 모습은 우리 사회다. 한쪽 다리를 잃어 쩔뚝이며 겨우 걸어나가는 이 나라, 이 땅의 모습이었다. 위태롭고 아찔한 우리 사회다. 잘 사는 사람이 늘어가지만 여전히 이 땅의 한 곳에는 또 다른 복천 영감이 살고 있다. 싸워야 하고 이겨야 하고 그래야 끝내 몇 푼 챙길 수 있는 삶. 완전해 보이지만 다리를 하나 잃어 어두운 이면을 가지고 있는 이 나라의 모습이다.
시인 릴케는 '굶주리는 사람이 단 하나만 있어도 그건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고 했다고 한다. 이 사회는 길거리에서 신문지를 이불 삼아 잠을 청하는 이들에게 차갑지만 하다. 한겨울의 추위보다 더욱 냉하고 차다. 가지지 못한 자들의 설움은 그저 목구멍 안에서 삭을 뿐이다. 피가 솟고 칼칼해진 목으로 육자배기를 더는 올리지 못하는 복천 영감의 끊어진 목소리와 같다.
저자는 '이 책을 읽을 필요가 없는 날이 하루 빨리 오기를 고대한다' 고 했다. 두 다리를 가지고 꼿꼿이 선 자처럼 한 다리를 잃은 이도 균형을 맞추어 잘 설 수 있는 의족이 필요하다. 잘려나간 다리로도 곧게 설 수 있는 의족 말이다. 그들이 바로 설 수 있는 그날까지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 내 배가 부르고 내 등이 따수워도 주리고 추운 자들이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이 땅의 비탈진 음지에도 볕이 들기를. 희망이 움트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