넌 동물이야, 비스코비츠! 민음사 모던 클래식 29
알레산드로 보파 지음, 이승수 옮김 / 민음사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민음사의 모던 클래식 시리즈들을 좋아하기도 하지만 이 책은 참 호기심이 일었던 제목이다.  <넌 동물이야, 비스코비츠!>  이 책의 표제는 책의 내용을 한꺼번에 집약하고 있는 듯 하다.  동물들의 이야기, 수많은 비스코비츠들의 이야기이니 말이다. 

  알레산드로 보파의 소설은 처음이다.  그건 당연하다.  이 소설이 그의 발표된 첫 작품이기 때문이다.  생물학을 공부하고 동물유전학 연구소에서 일한 자답게 이 소설은 모두 동물들이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20개의 짧은 이야기들의 모음집인데 이 이야기들의 주인공은 모두 비스코비츠다.  그러나 모든 비스코비츠들이 다르다는 것이 이 책의 매력이 아닐까 싶다.  동물이라고 해서 코끼리, 사자, 호랑이처럼 우리가 1분 안에 떠올릴 수 있는 동물들이 아니다.  그 동물들은 겨울잠쥐, 사마귀, 사슴, 개, 달팽이, 되새, 엘크, 쇠똥구리, 돼지, 쥐, 앵무새, 전갈, 개미, 카멜레온, 늑대, 기생충, 상어, 벌, 해면동물, 세포다.  역시 생물학을 전공한 자답게 참 다양한 동물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런 동물들에 관해 이야기를 쓰려면 최소한 그들의 생태에 관해 아주 잘 알고 있어야 할 것이다.  그 점에서도 이 책은 놀랍다. 

  그리고 동물들이 등장하는 이야기지만 이 책은 브레멘의 음악대 같은 책이 아니다.  철학적이기도 하고 유머러스하기도 하고 섬뜩하기도 하고 재미있기도 하다.  동물들이 등장하지만 인간의 삶과 다르지 않은 모습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새삼 인간 역시 동물이며 이들과 다르지 않은 삶을 살고 있으며 이들 역시 정말 이야기처럼 그렇게 살아가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단지 그들의 삶과 우리의 삶이 서로 깊이 있게 소통하지 못하는 이유는 종과 종 사이의 언어의 장벽 때문이 아닐까 싶었다.  만약 동물들과도 이야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면(단순히 교감의 차원을 넘어 완벽한 소통을 하게 된다면) 더욱 다양한 세상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리고 동양에 머물렀던 적이 있어서 그런지 동양적인 사상에 대해서도 많이 엿볼 수 있었다.  이를테면 환생같은(환생을 직접적인 소재로 삼지는 않았지만 '다시 태어난다' 등의 대화들을 나누었다.)  그리고 家(집 가)에 대한 해석도 정말 놀라운 발견이었다.  宀(집 면) 아래 豕(돼지 시)들이 모여 사는 것이 집이라는 해석은 정말 신선했다.  한자들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 의미들이 기가 막힐 때가 있다.  이 역시 서양인인 저자가 발견했다는 것이 참 재미있었다. 

  비유, 풍자도 잘 살아 있는 작품이었다.  비유는 이 작품 그 자체다.  인간의 삶을 동물을 빌려 비유하고 있다.  풍자 역시 인간 삶에서의 배신과 생존 방법들을 교묘히 묘사하고 있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짧은 이야기들은 인간의 인생사를 함축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  이 이야기는 동물이 주인이지만 분명 인간의 이야기다.  그의 재기 발랄함이 이야기 속에 멋지게 녹아들어 읽기 쉽고 의미 있고 재미있는 이야기들의 모음이 만들어진 것 같다.  앞으로도 그의 이야기들을 더 볼 수 있기를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