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보고 놀라지 마시라
케빈 마이클 코널리 지음, 황경신 옮김 / 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오토다케 히로타다,  닉 부이치치.  이 책의 저자 케빈 마이클 코널리 역시 그들과 같은 장애인이다.  다른 점이 있다면 오토다케와 닉은 사지 모두 없는 반면 케빈은 양팔이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큰 장애가 있지만, 긍정적이며 일반인들과 다르지 않게 살아가고 있다는 점이다.  

  이 책 <나를 보고 놀라지 마시라>는 표제처럼 장애인인 케빈을 보며 놀라는 세계인들의 모습이 담겨있다.  처음엔 책 속 곳곳에 사진이 무엇인가 했는데 케빈이 자신을 쳐다보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의 발인 스케이트보드를 타고 가며 그들이 눈치채지 못하게 찍은 사진이란다.  사진 속 인물들의 표정은 비슷하다.  그 누구도 웃지 않으며 약간 놀란 듯한 혹은 힐끔거리는 또 혐오감을 느끼는 표정들.  하루에도 몇 십 번 누군가로 하여금 그런 시선을 받는 케빈은 어떨까?  또한 그의 높이에서 바라본 모습들은 일찍이 내가 보지 못한 세상이었다.  땅과 가깝고 수많은 무릎들에 둘러싸인 세상.  

  케빈은 자신의 출생 당시의 상황부터 차분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아이를 갖고 그 과정에서 어떤 장애의 가능성도 발견하지 못한 채 출산한 아이었는데 두 다리가 없다는 사실은 너무나도 끔찍한 현실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장애를 극복하고 누구보다 삶을 긍정적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면 그들에게는 부러우리만치 좋은 가족들이 있다.  지독하게 개성있는 생김새로 태어났다고 말해주는 사람들.  남들과 다를 뿐 틀린 것은 아니라는 격려.  케빈에게도 그랬다.   

  이 책과 오토다케 히로타다의 <오체 불만족>을 읽으면서도 느낀 일인데 각 나라의 장애인을 위한 복지 상태를 알 수는 없지만 최소한 우리나라보다는 낫다는 생각을 매번 하게 된다.  오토다케 히로타다 역시 사지가 없지만, 수영을 할 수도 있다.  만약 우리나라의 수영장 어느 곳에 사지가 없는 장애인이 입장하려 한다면 모든 과정이 일반인의 그것과 같이 순조로울까?  모르긴 몰라도 방송국의 카메라를 대동하지 않고라면 힘들지 않을까 싶다.  마찬가지로 케빈은 스키 대회에서도 수상한 적이 있는데 다리가 없는 자가 우리나라 스키장에 가서 스키를 타겠다고 한다면 쉽게 허락할까?  모두 같은 뜻으로 거절할 것이다.  '위험할 수 있어요'  또 한 마디는 속으로 삼킬 것이다 '다른 사람들이 거부감을 느낄 수 있어요'  그러나 이들에게는 이런 스포츠를 지원해주고 지도해주는 코치들이 있었다.  나는 이것이 몹시 부러웠다.  비록 내가 장애인은 아니지만, 만약 내가 장애인이라면 이런 것은 엄두도 내지 못함은 물론 누가 볼세라 칩거하며 지냈을 것이다.  

  그들은 모든 것을 스스로 판단하기 전인 아기 때부터 부모로 부터 '넌 할 수 있어' 라는 메시지를 받으며 성장했을 것이다.  실제로 이 책에서는 폭우로 부엌이 물에 잠겼다는 말에 케빈의 엄마는 "괜찮아.  집이 몽땅 잠긴 것도 아닌데 뭐"(p.12) 라고 말했다고 한다.  케빈의 어머니의 이런 낙관적인 성향이 양육과정에도 분명 중요하게 작용을 했을 것이다.  그렇기에 망설임과 주저함이 없는 것이다.  그리고 케빈의 삶은 비장애인과 다를 것이 하나도 없었다.  그는 사랑을 하기도 하고 여행을 할 수도 있었다.  그들이 할 수 없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어느 누구도 할 수 없는 것일 것이다.  케빈의 가슴 아프고 애틋한 사랑의 이야기에는 내 마음마저 아련해왔다.  그리고 그의 스케이트보드 아래에는 '다리가 없는 사람의 스케이트보드입니다.  훔쳐가지 마세요" 라고 적어두었단다.  이 역시 그동안 그가 얼마나 많은 스케이트보드를 도둑맞았으며 그로 인해 난감한 상황들을 많이 만났음을 뜻한다.

  케빈이 가장 분노했던 대목은 자신에게 적선하는 자들에게 있었다는 것은 주목해야 할 점이다.  비장애인은 장애인을 보면 안타깝고 측은한 마음을 갖게 된다.  그리고 금전적으로 도움을 주거나 그들에게는 비장애인에게 보다 더 편하고 수월한 과정을 제공한다.  그런데 케빈은 그들에게 화를 내고 있었다.  그는 장애를 가진 것이 동정받아야 할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저 신체가 다를 뿐인데 건강한 신체를 갖지 않은 이들을 무조건 동정하고 특별한 시선을 보내는 일이 그들에게는 무관심만큼이나 상처가 되는 것을 똑똑히 보았다.  그들에게 선행한답시고 그들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불손한 행동은 조심해야 할 것 같다.  

  케빈은 장애인이 아니다.  도리어 사지가 멀쩡하지만 스스로 아무것도 못한다고 최면을 거는 자가 진짜 장애인 아닐까.  케빈에게 메일을 보냈다. '나는 당신을 동정하지 않아요. 왜냐하면 당신과 우리는 같기 때문이예요.  누구도 완벽하게 행복한 사람은 없어요.  그러나 우리는 지금 행복하잖아요.  당신은 여행 마니아 같은데 기회가 되면 한국에도 놀러오세요' 라고.  그 어디선가 책에서 만난 모습 그대로 스케이트보드에 몸을 얹고 자유롭고 거리를 활보하고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