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신의 머리일까?
차무진 지음 / 끌레마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뭐니 뭐니해도 여름에는 추리소설 하나쯤은 읽어줄 필요가 있다.  추리소설의 매력은 바로 강한 흡입력이 아닐까?  더위도 못느낄 흡입력 때문에 여름이면 추리소설이 활개를 치는 듯 하다.  <김유신의 머리일까?> 역시 추리소설인데 처음 본 순간 음산한 표지가 왠지 마음에 들었다. (표지는 사실 내용과는 관계가 없는 듯하다)  그리고 '김유신'이라는 역사적 인물을 추리소설의 소재로 썼다는 것이 신선하게 느껴졌다. 

   이야기의 첫 머리에 등장하는 김교수.  왠지 평범한 여자같지 않았던 김교수.  나는 당연히 김교수를 이야기의 핵심 인물로 짐작했다.  그러나 이야기는 다른 곳에서 풀리게 되었다.  김법민과 겐지, 후즈키 등 꽤 많은 인물들이 등장하는데 이 많은 등장인물이 처음에는 다소 혼란스러웠다.  많은 등장인물이 있는만큼 사건의 열쇠를 쥐고 있는 자를 짐작하기가 힘들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어떤 자에게 둔 혐의가 곧 또 다른 자에게 넘어갔고 또 다른 자에게 둔 혐의는 또 새로운 인물에게 넘어가곤 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 최고 문화유적지인 경주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한 봉문에서 아직 비누화가 되지 않은 참수된 머리뿐인 미라를 발견하게 되고 사건이 펼쳐진다.  '과연 이 머리가 누구의 것인가?' 하는 것이 이 소설의 시작이다.  그런데 이 소설은 그 이상의 흥미를 자아내기 위해 기괴한 사건이 일어나는 김법민의 집을 등장시켰다.  이들의 가문에 일어나는 끔찍한 사건들.  개인적으로는 이 부분에 가장 몰입했던 것 같다.  그러면서 끝을 향해 달려가는 반전에 반전들.  정말 흥미진진했다. 

  추리소설이이라는 특성상 많은 이야기를 하는 것은 다른 독자를 위해서 좋을 것 같지 않기에 긴 얘기는 하지 않으련다.  이 소설은 차무진씨의 데뷔소설이란다.  게임 제작자이던 저자가 일을 관두고 집필한 소설이다.  그런만큼 역사적 사실을 차치하고라도 굉장히 많은 공부 끝에 쓴 소설이라는 점과 공을 들여 썼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많은 등장인물을 약간 간소화했다면 더욱 깔끔하게 몰입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개인적인 아쉬움이 남는다.   

  이 책에는 '삼국유사'가 등장하고 현실의 공간과 역사적인 인물이 등장한다.  그렇기에 독자는 사실과 허구를 혼동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이에 저자는 작가의 말에서 '존재하는 김인문 장군과 김유신 장군의 후손들, 그리고 그들의 행적은 이 소설 속의 내용과는 전혀 무관함을 밝힌다(p.451)' 라고 밝혔다.  혹시 있을 유족들의 반발이나 독자들의 이야기 속 진위여부에 대한 논란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 게 아닐까 싶다.  이런 소설을 만날때면 모두 허구라고 치부해버리는 편이 낫다.  이것이 오해를 차단하기에 가장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미치광이 살인마로 인해 이어지는 살인사건들과 범인 추격하는 추리소설이 아니다.  우리나라의 역사적인 인물들이 등장하고 '삼국유사'등 그러한 배경을 펼치고 또한 이것들을 연구하는 역사학자들로 인해 더욱 지적인 이야기가 탄생된 것 같다.  앞으로 이 작가의 소설들이 줄이어 탄생되기를 고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