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쁜 소년이 서 있다 ㅣ 민음의 시 149
허연 지음 / 민음사 / 2008년 10월
평점 :
나쁜 소년이 서 있다.... 나쁜 소년이.... 나쁜 소년이라. 괜히 센치해지고 싶은 계절, 마음에 드는 시집 한 권 읽고 싶었는데. 때마침, 내 눈에 쏙 들어온 시집이다. 나는 이 시집의 제목에 이끌렸다. 나쁜 소년 때문이었다. 이 시집이 착하고 다정하게 '착한 사람이 서 있습니다' 라며 내게 왔다면 솔직히, 보지 않았을 것이다. 나쁜 소년. 그래, 나는 그를 만나고 싶었다.
뭐랄까? 단도직입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정말 오랫만에 아주 드물게 아주 마음에 쏙 드는 시집을 만났다. 연거푸 두 번을 읽었다. 처음 읽었을 때는, 글이 너무 좋아서. 두 번째 읽었을 때는, 제대로 느껴보고 싶어서.
바싹 말라 있는 글들. 감성이라고는 찾을 수 없는 듯한 글들. 하지만 분명 뜨겁고 몰캉몰캉한 심장을 가진 시인이다. 시어가 아닌 시선으로 말하는 시인이다. 그가 무엇을 바라보는지 알겠고 그가 무엇을 바라는지 알 것만 같은. 그래서 내가 너를 알겠어 라고 감히 말할 수 있을 것만 같은. 말이나 글로 전해주는 시가 아니라 가슴으로 전해지는 시들이었다. 어쩌면 이 시집을 읽고 쓰는 내 이 글은, 한 편의 모호한 시 같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시를 분석하고 그것들을 낱낱이 씹어 삼킨 후 '이 시는 어떤 맛이고 시인이 하고픈 말은 이거였소' 하고 말 할 재량이 없는 나로서는 그저 느낌에 온전히 내게 와서 닿았던 그대로를 말 할 수 밖에 없다.
좀 더 솔직히 고백하자면, 이 사람은 내가 쓰고 싶어하는 글을 쓰고 있었다. 더 쉽게 말해서 그의 글은 딱 내 타입이다. 지나치게 메마르지 않고 그렇다고 지리멸렬하지도 않다. 게다가 독창적인 시선이 담긴 글 말이다. 그리고 또, 억지스럽지 않아야 한다. (뭐 이리 까탈스러워!!) 그런데 허연의 글이 꼭 그랬다. 지나치게 젠 체 하는 시인들과 그들의 글처럼 독자와 단절을 꾀하고(!) 평론가들에게 사랑받기 위한 시가 아니었다. 그렇다고 온통 현란한 미사여구로 정신을 쏙 빼는 글도 아니었다. 현실적인 일상을 작가 자신의 시선으로 담백하게 옮겨낸 시들이었다. 그것이 때로는 암울하고 가슴 갑갑증을 일게 할 지언정 진솔했다. 그가 시를 쓰지 못했던 이유, 무엇일까? 시만이 길이라 생각하고 쓰는 게 피곤치 않았다던 그가 오랫동안 시를 놓아버린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단언하기는 어렵겠으나 나는 그 이유가 진실하지 못한 시를 써내고 또 그렇게 써 낸 것들을 환대하는 세상을 마주하게 되면서 점점 진실함을 잃게되는 자신이 싫어서 그랬던 것은 아닐까 싶다. (모르긴 몰라도 시에 관한 작가의 번뇌를 많이 들여다 본 것 같다.) 아무튼 나는 그의 글에서 '이 사람 솔직하게 말하고 있구나' 하는 것을 느꼈다. 그래서 더욱 이 시들에게 고개를 조아릴 수 밖에 없었는지도.
이 시집에서 나쁜 소년을 만났다. 그 소년은 푸른 새벽 가로등 아래서 주머니에 양 손을 찔러 넣은채 뽀얀 입김을 불어대고 있었다. 그 소년은 세상이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말하고 싶어하지도 않았고 골목길을 접어드는 누군가가 자신의 모습을 보아주길 원하며 그 곳에 서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냥 그 곳에 서 있다. 허기진 자신과 닮은 고양이가 바스락대며 봉지를 뜯는 그 장면을 보고 있을 뿐이다. 나쁜 소년은 나쁜 소년이 아니다. 나쁜 소년같이 보일 뿐이다. 푸른빛을 이야기 하고 있어서. 절망을 노래하고 있어서. 그렇지만 그는 나쁜 소년이 아니다.
이 시집을 딸딸 외고 싶다. 지독하게 질투난다, 이 사람. 속이 메슥댈 정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