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파바로티 - 신화가 된 마에스트로, 루치아노 파바로티의 삶과 열정
알베르토 마티올리 지음, 윤수정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파바로티 타계소식을 접한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1년이 지났다니.  파바로티 서거 1주년을 맞아 출간된 책이라는 말에 집어든 책이다.  그렇다고 파바로티에게 특별히 관심이 있는 것은 아니다.  내가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순전히 오페라에 대한 관심 때문이었다.  오페라의 굵은 획이었던(어쩌면 여전히 그러한) 그를 통해 오페라의 뒷 이야기들을 더 들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양장표지를 넘기자 첨부된 그의 CD.  책을 읽기도 전에 그 CD를 플레이어에 얹었다.  목소리라는 것은 참 많은 것을 말해주는 것 같다.  그 사람의 특별한 음색 뿐 아니라 작게나마 추억, 인생, 삶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싶다.  이미 별이 되어버린 자의 목소리를 듣는 일은 특히나 더 그러하다.  무한한 그리움을 쏟을 수 있는 통로같은 것이라고나 할까?  그의 육성을 단 한번도 들은 적이 없지만 나는 알지못할 아련함을 느껴야 했다.
 
  내가 오페라를 처음 접한 것은 고등학교때였는데 '람메르무어의 루치아'를 노래하는 마리아 칼라스의 목소리를 듣고부터였다.  그 전에도 오페라 아리아를 우연히 듣게 된 일이 있었지만 지금 생각하면 그때서야 말로 진짜 맛을 본 게 아닌가 싶다.  가요와의 사뭇 다른 창법에 그토록 끌려보긴 처음이었던 것 같다.  그 때부터 미친듯이 마리아 칼라스를 찾아다녔고 그녀의 음반부터 시작해서 콘서트 실황을 보고 그러다 오페라 공연을 찾아다니게 되었는데 오디오가 아닌 내 눈앞에서 펼쳐지는 오페라는 또 달랐다.  소름이 끼치고 몸이 쭈뼛거릴만큼 짜릿한 소리와 극적인 무대는 완전 나를 사로잡았던 것 같다.  나의 오페라 사랑은 그때부터였다.  내가 이 책 빅파바로티를 선택한 이유 역시 또 다른 들여다보기를 통해 오페라를 알고 싶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럼, 이 책을 들여다 보자.  이 책은 파바로티에 대한 일화, 그의 인생을 담고 있는 책이다.  더불어 오페라에 대해 더 알기를 기대했던 내게 그의 음악 이야기는 아주 즐거웠다.  내가 그에 대해 알고 있었던 것이라고는 플라시도 도밍고, 호세 카레라스와 함께 세계 3대 테너로 불리었다는 점, 이탈리아 출신의 테너라는 점.  그리고 오페라 명반을 통해 그의 노래를 몇 번 들은 것이 고작이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 테너 파바로티는 물론 인간 파바로티를 알 수 있었던 것 같다.  한 사람의 일생에 대해 제 삼자가 클로즈업으로 서술한 책에 있어서는 거의 절대적인 극찬이 기본이다.  어찌보면 지나치게 영웅시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말이다.  그러나 이 책은 전혀 그렇지 않았다.  이 책은 파바로티의 복잡한 여자관계와 그가 악보를 읽지 못한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거침없이 말하고 있다.  물론 그것을 종합하여 보면 그 역시 우리와 같은 평범한 인간이었으며 그런 중에도 끈임없는 노력으로 오페라의 황제가 되었다는 내용이긴하지만 말이다.  무엇보다 솔직하게 서술되었기에 믿음이 가는 책이었다.
 
  또 이 책은 오페라는 물론 파바로티, 그리고 그 외 여러 성악가들과 지휘자들에 대해서도 엿볼 수 있게 한 책이었다.  '오페라 is....' 이런 식의 깔끔하게 정리된 그저 삼키기만 해야 할 정보가 아닌 무대 뒤의 한담이나 막 뒤에서의 이야기들을 보는 일이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이 책은 나를 파바로티 옆에 세워두고 시종일관 그를 관찰하도록 해주었다.  그런데 나는 파바로티의 공연을 실제로 보지도 못했고 또 앞으로 그럴 기회는 결코 없으리라는 생각에 적잖이 절망했다.  (내가 알기론 우리나라에 세 번인가 내한했던 것으로 안다.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여전히 노래하고 있는 파바로티를 만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것은 또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인지.  그리고 이것은 여담이지만 파바로티가 비워둔 3대 테너의 자리를 메꾸어줄 한 사람은 과연 누가될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