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의 사전 - 브리태니커와 구글에도 안 나오는 인류 지식의 최신 보고서
카트린 파지크.알렉스 숄츠 지음, 태경섭 옮김 / 살림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인간의 지적 욕구, 앎에 대한 욕심은 무한할 것이다.  그렇기에 무언가를 깊이있게 파고들게 되며 그렇기에 연구라는 것을 통해 밝혀내려는 것이겠지.  나 역시 이 책을 통해 내가 모르고 있는 것들에 대해 알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였다.  <무지의 사전>  가만보면, 참 아이러니한 표현이 아닐 수 없다.  '무지'라는 것은 쉽게 말해 '아는 것이 없다'는 뜻이고 '사전'은 '어떤 대상이나 실체에 관해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개념으로 풀어 해설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볼 때 이 책은 모르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책이라는 뜻이다.  모르고 있는 것에 어떻게 설명을 해준다는 것일까.  나는 이 표제 때문에 도리어 이 책에 호기심이 일었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이 책은 쉽지 않다.  어렵다.  어려운 것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을 것 같다.  용어등이 지나치게 전문적이고 학술적이어서 어려운 경우와 쉽게 풀어 설명하고 읽기 편한 단어를 사용하여도 설명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해 사전 지식이 없을 시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이 책은 후자에 속한다.  (그렇다고 반드시 후자에 속한다고 보기는 어려울 듯....  각주가 필요한 전문용어들도 어렵사리 볼 수 있었으니)

  이 책은 감각, 사물, 인간, 동물, 우주, 현상 총 6개의 chapter로 무지의 영역에 대해 다루고 있다.  솔직히, 난 이 책이 내게 뭔가 쇼킹한 것을 말해주리라 기대했다.  그러나 그리 놀라울만한 이야기들을 담고 있지는 않았다.  다시 말하자면, 호기심과 의문의 영역을 풀어 다룬 것이 아니라 이 책이 말하고자 했던 대로 무지의 영역에 대해 다루고 있기에 그야말로 알 수 없는 것들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이 또한 '이것은 이러하기 때문에 이러하고 저것은 저러하기 때문에 저러하다' 라는 식이 아닌 '이것은 이러하고 저것은 저러해' 그냥 그런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실지 나같이 성격급한 독자는 뭔가 찜찜한 기분이 들기도 할 것이다.  '그래서 뭐가 어떻다는 거야?' 하고 인과관계를 밝히고 싶어질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은 나같은 독자에게 서문에서 충분히 경고하고 있다.  오류가 있을 수도 있으며 의문에 의문을 갖고 그 의문의 끝을 발견할 수 없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고.  결국 그 어떤 것도 밝혀지지 않은 것들, 단지 추정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 명확한 답을 얻길 바래서라던가 지식문답 정도의 내용을 기대한 독자라면 흡족하지 않을게다.

  그러나 이 책은 어떤 대상이나 현상 혹은 실체에 관해 무한히 의문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역설하고 있다.  의문에 의문을, 또 그 의문에 의문을 품어가다 보면 결국 이 세상 모든 것은 미지의 것이고 무지의 대상들인 것이다.  지금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것들 역시 그토록 오래전에는 그 인류들이 풀지 못했던 숙제였기도 할 것이다.  이 책이 말하고 있듯 백년이나 아니면 그 보다 더 오랜 시간이 흐른 뒤 이 책을 다시 들추어 보게 된다면 '그 때는 이것이 왜 이런지 몰랐었단 말이군' 하며 비웃게 될런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럴 수 있게 되려면 의문의 것을 향한 누군가의 연구와 끊임없는 관심과 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이 책은 그런 자세를 갖기를 독려하고 있는게 아닐지.  어쩌면 안다는 것과 모른다는 것은 어떤 경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닮은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결국 절대 안대고 말 할 수 있는 것도 절대 모른다고 말할 수 있는 것도 없다는 것이다.

  호기심으로 집어들고 호기심으로 한 장 한 장을 넘겨갔듯 이 책을 덮고 난 지금도 여전히 호기심이 남아있다.  아무도 밝히 풀어내지 못한 그런 것들에 대해.  그것은 이 시대를 사는 인류의 몫이 아닐까.  미지의 영역, 무지의 영역 중의 소수를 선대에서 밝혀내어 하나의 진실, 진리로 우리게 전해 왔듯 우리 역시 후대에게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들의 답을 전해 주어야 하지는 않을지.  얽히고 설킨 실타래의 매듭을 풀려면 인내심과 지구력이 있던가 하다못해 가위라도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우리들 역시 어떤 것에 대해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며 의문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의문에 의문을 갖고 그 모든 의문 끝에 또 다른 의문이 있을 때까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