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즈버드 - 그 사람의 1%가 숨겨진 99%의 진심을 폭로한다면
피에르 아술린 지음, 이효숙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그 사람의 1%가 숨겨진 99%의 진심을 폭로한다면....' 나의 호기심을 부른 카피다. 사람들은 공인의 사생활과 실체에 관심을 갖는다. 예쁜 외모처럼 성격도 착한 A양인지. 꽃미남 B군이 주말에 무엇을 했는지. 이 책 <로즈버드> 역시 그것들이 궁금한 독자에 의해 펼쳐졌다. 물론 이 책에서 다룬 인물들은 TV 스타들은 아니다. 전 세계를 무대로 세간의 관심을 끌었던 자들이다. 러디어드 키플링,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레이디 다이애나, 파블로 피카소, 피에르 보나르, 파울 첼란, 장 물랭이 그들이다. 물론 이 들 중에서는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한 사람들도 있었다. 그들의 로즈버드를 다룬 책이다.
개인적으로는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과 피에르 보나르의 전기가 인상적이었다. 자신만의 접이식 의자를 가지고 다니며 미술관에서 예술작품을 감상하는 그를 묘사한 장면이 참 인상적이었다. 너무나 진지했다. 고야의 '1808년 5월 3일'을 보며 눈물 흘리고 몇 시간이고 그 의자에 앉아 그림을 바라보았다니. 나는 무언가에 미친듯이 빠져있는 사람이 좋다. 그런 사람들은 묘한 호기심을 불러 일으킨다. 제 아무리 휴대용 의자라 하지만 항시 지니고 다니기에는 힘들었을텐데 일평생을 그것과 함께 했다니 참으로 대단한 열정의 사람이다. 좌)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그리고 다른 한 사람. 피에르 보나르. 늘 자신의 작품을 미완성으로 생각했던 화가. 완벽
하길 바랬기에 이미 마쳐버린 자신의 작품에 몰래 덧칠을 해왔던 화가. 보나르만큼 완성에 대해 집착했던 예술가가 또 있었을까? 그는 미술관에서 자신의 그림을 수정하다 여러 차례 적발되곤 했단다. 몰래 주머니에서 물감과 붓, 팔레트를 꺼내 아무도 모르게 그림을 고쳤다니. 게다가 그는 그의 작품에 '완성' 을 의미하는 서명 또한 꺼렸단다. 완벽주의. 스스로에게는 참으로 피곤하겠지만 그로 인해 비로소 제대로 된 작품이, 멋진 성과가 나오는 것은 아닐지. 우) 피에르 보나르
이 책은 이 두 명의 호기심가는 인물을 알게 해준 책이다. 그것만으로도 내게는 큰 성과다. 무언가 더 알고싶은 그들이 생겼기에 말이다. 그러나 이 책은 상당히 읽기 힘들었던 책이다. 나는 이 이유가 저자 '피에르 아술린'이 독특한 기술법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간 접해온 전기와는 분명 달랐다. 전기를 위한 문장으로는 지나치게 감성적이고 문학적이었기 때문이다. 은유와 비유, 모호한 해설들. 솔직히, 그 때문에 적잖이 불편한 느낌이 들었다. 그러나 그것이 또 이 독특한 전기만의 매력이라면 매력이랄까?
이 책을 읽기전에는 '대중에게 각인된 그들의 이미지와는 다른 모습들' 을 볼 수 있으려니 했다. 그러나 특별히 그러한 점은 없었다. 7인의 사소한 일화를 보여준 전기집. 이는 그들의 삶의 모습과 열정을 다시금 들추어 보인 책이었다. 그러면서 드는 생각. '역시 뭔가 남다른 구석이 있는 자들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