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색의 시간 - 빈센트 반 고흐 편
김충원 지음 / 진선아트북 / 2008년 2월
평점 :
품절


  어린시절을 기억한다.  학교 앞 문구사에서 팔던 색칠공부.  싸인펜으로 굵은 선을 따라 긋고 그 안에 색연필로 칠하며 신나하던 어린 시절을.  이 책은 쉽게 말해 색칠공부 책이다.  색칠공부.  마치 어린이만의 전유물과 같던 놀이.  몇 시간을 혼자 앉아 내가 좋아하는 만화주인공의 드레스며 요술봉을 칠하며 즐거워 하던 놀이.  그런데 어른이 된 지금, 나는 색칠공부 공책을 앞에 두고 앉았다.  한 번 칠해볼까?  

  내가 좋아하는 화가라면 단연코 빈센트 반 고흐다.  그런데 그의 그림을 색연필로 채색해볼 수 있다고?  솔직히 그림을 색칠해본다는 것보다 그저 반고흐라는 점에서.  그래서 나는 이 책을 집었다.  그에 관한 콜렉션에 하나를 추가하는 기분으로.  반 고흐의 그림은 유화다.  (물론 다 그랬던 것은 아니지만 대중들에게 사랑받은 그의 작품들은 모두 유화였다)  두껍하게 발린 그의 유화 물감을 색연필이 흉내낼 수 있다고?  색연필로 채색해 본다고?  그 뿐 아니다.  고흐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은 정말 반갑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뒤에 실린 고흐의 그림 채색이 가능한 부록 때문이다.  오~  이럴 수가....

  김충원씨의 드로잉 시리즈의 인기는 익히 들어왔었다.  그런데 이제서야 왜 그런 사랑을 한 몸에 받는지 알 것 같다.  정보 습득에 지나지 않을 어려운 미술기법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첫걸음을 배울 때 그 부모가 아이의 손을 잡고 한 걸음 한 걸음 걸음을 옮기게 도와주듯 이 책은 어떻게 칠을 하면 되는지 아주 쉽게 일러준다.  어찌보면 그런 기법들이 획일적인 그리기(채색)를 만드는게 아닐까 싶기도 했다.  그러나 이 책은 아주 기본적인 채색기법에 대해 가르치는 교재로 생각해야 할 것이다.  처음 영어를 배울 때 알파벳부터 차근차근 적어보았던 것처럼.  

  실 물감, 붓, 팔레트 이런 것은 미술도구같이 여겨지지만 색연필하면 그저 문구 정도로 밖에 생각되지 않았다.  그런데 이 책을 통해 색연필 또한 아주 훌륭한 미술도구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 책은 그런 면에서 아주 신선하고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색을 혼합할 수 있는 것은 물감뿐 아닐까 생각했었는데....  색연필도 색의 혼합이 가능했다.  오히려 물감이 표현해 낼 수 있는 단적인 혼합색보다 더 깊고 풍성한 색깔이 가능하다는 생각조차 들었다.  물감으로는 몇 십번의 색혼합을 통해 같은 계열이지만 밝고 어둡기가 서로 다른 색을 만들 수 있었다면 색연필은 좀 더 짙게 칠하고 옅게 칠하고의 힘의 강도 조절만으로도 명암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렇게 손쉬운 도구가 이렇게 깊이 있게 표현할 수 있게 한다는 것에 짐짓 놀랐다.  이만하면 색연필을 찬양할 이유가 충분하지 않을까?

  그리고 고흐의 그림을 직접 칠해보면서 마치 고흐의 심정이 되어 보는 듯 했다.  그의 방, 그리고 의자....  그의 선안에 색을 입히면서 고흐는 무슨 생각을 하며 이 그림들을 그렸을지, 또 어떤 부분을 강조하고 싶었을지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어떤 사람과의 추억이 깃든 물건을 보면 그를 떠올리게 되듯이 고흐의 손에서 그려진 선들을 따라 그으며 고흐가 되어볼 수 있었던 것 같았다.  이제는 색연필과 같은 간단한 도구만으로 그림을 그려볼 수 있을 것 같다.  적어도 이 책을 만나기 전보다는 멋지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