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람과 그림자의 책 ㅣ 뫼비우스 서재
마이클 그루버 지음, 박미영 옮김 / 노블마인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셰익스피어의 미발표작에 관한 이야기? 400년간 감춰졌던 진실? 셰익스피어의 미발표작을 파헤친 소설이라는 점은 나의 환심을 사기에 충분했다. 영국의 자존심이라는 셰익스피어. 아마 셰익스피어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의 4대 비극 《로미오와 줄리엣》,《베니스의 상인》,《햄릿》,《맥베스》 역시 전세계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작품들이다. 그런 그에 대해 좀 더 알 수 있게 되리라는 기대감에 선택한 책이었다.
정말 오랜 시간을 어렵게 읽었다. 책을 처음 받고 두께에 놀라기도 했었지만 스토리에 집중하기 힘들었던 것 같다. 무엇보다 한 순간 이야기의 끈을 놓아버리면 그걸 다시 잡기가 참으로 힘든 책이었다. 내게는 유난히 고도의 집중력이 요구되었던 책이다. '어찌해서 이리도 더디 읽히나' 싶을 정도였다. 물론 집중력 혹은 흡입력 따위로 이 책을 논할 수는 없겠지만 나에게는 몹시 현기증 나는 책이었다.
마치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 하다. 개성이 뚜렷한 인물들.... 그리고 장면이 전환되는 두 개의 교차화면. 이 책에서는 리처드 브레이스거들의 서신이 그 중 하나요,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쫓는 과정이 또 다른 화면인 셈이다. 이 둘이 절묘하게 만나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있다. 순차적으로 교차되는 이 이야기 구성은 이야기에 자신을 몽땅 빠드린 사람에게는 긴장감을을 더하고 나같이 허덕이는 독자에게는 잠시 쉬어갈 수 있도록 해준 것 같다.
이 책은 셰익스피어의 가치와 위상을 드높이는 책이다. 셰익스피어를 사모하는 자들은 '지구상 어딘가에 그의 미발표작이 숨겨져 있을지 모른다' 고 믿고 싶을 것이다. 이는 간절한 소망이자 열렬한 애정이다. 이 작품의 저자인 마이클 그루버 역시 같은 입장이 아닐까? 셰익스피어를 추앙하는 자들 그리고 저자 뿐 아니라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쫓는 스토리 속 인물들 역시 셰익스피어의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 이런면에서 이 책은 셰익스피어를 향한 큰 애정을 담은 책임에 분명하다. 그리고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에 좀 더 들여다 보기를 원하는 책이리라. 사실,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몇 작품 접해 보았으나 그에 대해서는 이리 무지했나 싶을 정도로 아는 바가 없었다. 이 책은 그에 대해, 그의 작품에 대해 좀 더 알도록 독자를 선동하고 있다. 책을 다 읽고 난 후, 나 역시 셰익스피어라는 인물과 그의 작품에 전과 다른 깊이의 관심을 갖게 된 걸 느낀다.
그런데 이 이야기는 모호한 부분을 가지고 있다. 어찌 생각하면, 셰익스피어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밝혀내지 않고 있는지도. 왜냐면 한 시대를 살다간 실존인물과 역사적 배경을 다루었기 때문인데 우리는 이런 부류의 글들을 접할 때 어느 부분까지를 진실로 믿어야 할지 혼란해진다. 실존인물이거나 사실에 기반을 둔 소설이나 영화 따위를 접할 때는 일단 모두 픽션이라고 생각하고 읽는 편이 차라리 편하다. 이는 잘못된 정보를 차단하는데 있어서는 도리어 안전할 수 있다. 그런데 어찌보면 이 책의 매력이 바로 이 점일지다. 실존인물을 다루었다는 점, 이 모든 것이 픽션이겠지만 왠지 논픽션일 것만 같은 기대감을 갖게 한다는 것을 보면 이 소설은 소설의 의무를 충실히 하고 있다. 그리고 역시 많은 독자들에게 읽힐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
셰익스피어. 이 책 <바람과 그림자의 책> 뿐 아니라 비슷한 시기에 그를 다룬 또 다른 소설이 출간된 것으로 알고 있다. 왜 그토록 그와 그의 작품을 찬양하는 것일까? 그는 영원한 시대의 화두이자 인류의 자랑이 아닐까? 그런 그런 기리는 이런 기념비적 작품이 계속 이어지기를 소망한다. 아, 하나 더! 조금 더 욕심을 내보자면, 정말 어딘가에 그의 미발표된 희곡이 존재한다면, 아니 존재하기를.... 그리고 그것이 발견되어 세상의 빛을 보기를 꿈꿔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