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얼마만큼의 애정
시라이시 가즈후미 지음, 노재명 옮김 / 다산책방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나는 사랑이야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영화든 소설이든 드라마든 그것들의 허황된 느낌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런 것들의 사랑은 언제나 멋져보이고 화려하게 포장되어 있어 현실과 적잖은 이질감이 느껴진다고 해야할까? 그래서인지 드러내고 핑크빛을 띄우는 소설들은 선택하는 일은 거의 없다. 그런데 이 책 '얼마만큼의 애정' 을 냉큼 집어든 것을 보면 예외는 있는 것인가 보다. 무엇보다 나는 이 책의 표제가 주는 묘한 느낌에 이끌리어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다.
이 책은 기존에 접해왔던 로맨스물들과는 달랐다. 먼저,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은 아키라와 마사히라라는 주인공들이 등장한다. 스낵바의 호스티스인 아키라와 작은 키가 콤플렉스인 마사히라. 누가 보아도 사랑스럽고 멋있어 보이는 캐릭터들이 난립하는 로맨스와는 달리 일상에서 만나기 쉬운 그들의 사랑이라 더욱 공감이 갔던 것 같다.
어쩌면 나는 눈물을 한 움큼 쏟아내는 슬픈 사랑이야기가 원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사랑은 안타깝게도(?) 슬프지는 않았다. 단지 안타까울 뿐이었다. 정해진 운명이 있고 어떻게든 그것을 따르도록 되어있는 삶이라니.... 운명에 순응하며 고분고분하게 살아가야 하는 인생, 그것을 이탈하지 않고 살아가야 하는 인생은 참으로 안타깝지 않은가. 어디까지나 인생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서 살아가는 방식도 또 사랑하는 방식도 틀리겠지만 나는 삶이란 스스로 인생을 만들어가며 살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 그렇게 살고 있는 중이라고 믿고 싶다.
실제 이 책에서처럼 나는 주변에서 결혼을 앞두고 점술가로 인해 헤어지는 경우를 한 번 보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한 번 보았다. '아내가 남편을 잡아먹을 팔자야' 라는 한 마디 말에 갈라서게 된 연인을 보았고 '둘이 결혼하면 둘 다 죽어' 라는 말을 듣고도 지금까지 결혼해서 잘 살고 있는 부부도 알고 있다. 우리는 인생에서, 아니 사랑이라는 영역에서 얼마나 많은 부분을 '운명' 이라는 이름을 빌어 그것들을 지켜왔을까? '너와 나의 만남은 운명이야' '하늘이 맺어 준 인연' 이라는 말들로.... 연인이란 사랑할 운명이기에 서로 함께하는 것이 아니고 앞으로 있을 서로의 인생을 함께 나누고 싶어서 서로를 선택하는 것이 아닐까? 그런 면에서 이 사랑은 안타까웠다. 너무나도 피동적인 삶의 자세와, 사랑의 자세가 안타까울 뿐이었다. 아키라와 마사히라의 갈등과 번민은 운명에 묶이었던 사슬을 풀어내는 과정이 아니었을까? 그리고 나서야 서로 사랑으로 인해 사랑할 수 있게 된게 아닐까 싶다.
어쩌면 운명이라는 것은 지금 자신 앞에 만들어 놓은 상황과 상태에 대해 자위하고 이루지 못한 것들에 대해서는 미련을 버릴 수 있도록, 피동적인 삶에 안주하기 위해 스스로 만들어낸 변명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