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육장 쪽으로
편혜영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사육장 쪽으로> 제목이 풍기는 느낌이 참 묘했다.  참신하다고나 할까?  표지의 일러스트도 그랬고....  내게는 '편혜영' 이라는 작가 역시 신선했다.  이 책은 8편의 단편소설집인데 소풍, 사육장 쪽으로, 동물원의 탄생, 밤의 공사, 퍼레이드, 금요일의 안부인사, 분실물, 첫번째 기념일 이다.  무섭다.  무서운 글이다.  무서워서 무서운게 아니다.  진저리나는 일상들 속에서 느껴지는 공포다.  그러면 책 속으로 들어가 보자.

  '소풍' 은 제목이 역설적이다.  이 작품은 제목부터 독자들을 이야기 속에 끌어넣고 있다.  소풍이라는 단어가 자아내는 경쾌함, 설레임과 같은 감정에 의도적으로 독자를 속이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독자에게 한층 더 깊은 불안감과 배신감을 주기 위함이 아니었을지.  마치 공포영화에서 하는 것 처럼 안심시키고 달래놓고 나서 갑자기 튀어나와 더 놀래킨다던가 하는 것처럼 말이다.  내용에 반하는 제목을 차용함으로 더 극적인 감정을 배가시키기 위해 그랬을런지도.  남자와 여자.  나는 이야기 속 '남자'가 너무 못마땅했다.  그에 태도에 화가 날 지경이었다.  아마도 이 여행을 이 둘의 이별여행이 되었겠지.  이 소설에서 보면 명확하게 무언가를 고해바치지 않는 작가의 태도를 읽을 수 있었다.  공포의 대상, 두려움의 실체를 모른다는 것은 더 한 공포가 아닐까?

  '사육장 쪽으로' 는 표제로 쓰일만했다!  다른 7편의 작품도 좋았지만 가장 일상적이면서 가장 두렵게 만드는 이야기다.  이 작품에서는 작가의 현시대를 꼬집고 어떤 현상에 대해 풍자하고 있다는 느낌이 강했다.  정규속도를 절대 어기지 않고 운전을 하며 열심히 살며 지각 한 번 하지 않는 바람생활의 한 남자.  그는 한 집안의 측윽한 가장이자 줏대없는 인간 군상의 표본이다.  '요즘은 전원주택이 대세야' 라는 말에 엄청난 빚을 끌어가며 마련한 집.  더 섬뜩하고 가엾은 것은 전원주택촌에 사는 그들 모두 같은 부류라는 것이다.  이들은 붕어빵 틀에 찍어낸 마냥 똑같은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 작품 아니라 다른 작품 곳곳에도 인간의 획일화에 대해 꼬집고 있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다.  개에 물린 아들.  그들은 그것을 모두 보고 있었다.  그러나 모른체 했다.  무관심한 우리들의 모습이다.  개에 물린 그의 아들을 싣고 사육장쪽에 있다는 병원을 향해 달려간다.  울부짖는 개소리를 쫓아....  그런데 경악할 일은 개를 잔뜩 실은 트럭이 그의 차와 가까운 거리에서 함께 달리고 있었다는 것.  너무나 일상적이고 담담하다.  그러나 충격적이고 아찔한 느낌을 안겨주는 소설이었다.  

  '동물원의 탄생' 은 쉽게 말해 우리가 사는 세상이 큰 동물원이 되고 인간들이 짐승이 되는 꼴을 비웃는 것이다.  동물원에서 탈출한 새와 늑대로 인해 인간들은 그야말로 동물처럼 변해간다.  오로지 사냥에만 열중하게 된다.  이 모양새가 상당히 어리석어 보이고 우스워 보인다.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은 그게 아니었을까?  "인간들이야 말로 동물이야"

  '밤의 공사' 밤의 공사는 개인적으로 가장 원초적인 공포를 담은 작품이 아닐까 싶다.  늪에 빠져 눈을 뜨고 죽은 아내의 시신을 거머쥐고 살기위해 꿈틀대는 남편의 모습.  생각만으로도 섬뜩하다.  그리고 공사비용을 조금이라도 줄여보기 위해 이런 방법 저런 방법을 다 동원해 아득바득 살아가려는 이 부부의 모습은 측은하기까지 했다.  그토록 매달려 살아보려 했던 삶에서 너무나 쉽게 죽음을 맞이할게 될 때 덧없음, 인생무상이다.    

  '퍼레이드' 놀이공원에서 동물의 가면을 쓰고 퍼레이드를 준비하던 이들.  갑작스런 코끼리의 난동, 사라진 코끼리들.  우연히 발견하게 된 녹색철문.  그 안에 어떻게 들어갔을까?  갇혀있던 코끼리들은 나팔, 큰 북, 트렘펫을 불며 퍼레이드 연습을 하고 있다.  기이하면서 몽환적인 이야기다.  코끼리들은 정말 그 곳에 어떻게 들어간 것일까?    

  '금요일의 안부인사' 김, 박, 조 세 남자는 한 아파트에 사는 남자들.  금요일 밤이면 함께 모여 카드놀이를 하며 어울린다.  모두 불쌍한 남자들, 안타까운 가장들의 모습이다.  딸아이와 함께 살며 회사 부하들에게 찬대받는 김, 기러기 아빠 박, 죽도록 닭을 튀겨야 겨우 생활하는 통닭집 사장 조.  이 이야기는 세 남자의 삶의 처지가 측은하다.  너무 현실적이라서 참담한 이야기들이랄까?

  '분실물' 부정을 요구하는 상사 송.  그에 따르는 박.  송의 지시대로 모든 서류를 꾸민 박은 어느 날 잊어버린 가방으로 인해 마음을 바꾸게 된다는 내용.  늘 순응적인 박이 처음으로 권위에 대항하는 시원한 장면이 아닐 수 없었다.  

  '첫번째 기념일' 기념삼아 증명사진을 찍는 택배배달원.  주인이 오랫동안 집을 비운 곳에 끈임없이 배달되는 택배들을 그는 가로챈다.  주인인 여자와는 곤돌라를 타며 물건의 배상에 대해 협상한다.  작가가 소풍이라는 제목 아래 끔찍한 새벽 안갯길 드라이브를 담았듯 곤돌라라는 낭만적인 곳에 어울리지 않는 암담한 현실을 담았다.  

  이 소설 <사육장 쪽으로>는 나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과 너무나도 닮았기에 무서운 것이다.  예사롭지 않은 글이다.  기이하면서 섬뜩한 이야기들....  공포와 섬뜩함에 극면한 생생한 체험이 아니라 너무나도 묵묵하고 담담하게 일상을 말하고 있어 더욱 그러했다.  공포의 대상이나 실체가 아닌 담담한 일상을 섬뜩하게 만들어 버리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