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 황진이
김탁환 지음, 백범영 그림 / 푸른역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황진이.... 그녀는 내게 누구였을까? 이름난 기생? 그래, 그랬지. 술 마시고 춤추고 시 읊는 기생.
기생. 그런데 솔직히 어감은 좋지 못하다. 단지 단어가 주는 느낌만으로만 그리 생각하는 건 아닌 것 같다. 실제로 단어 실용면에서도 긍정적인 표현에 보다는 부정적인 표현에 사용되고 있다. "그 남자 정말 기생오라비같아" 또 속담으로도 '기생 죽은 넋', '봄바람은 기생철이다' '기생 환갑은 서른', '기생의 자릿저고리' 이라는 말들 모두 기생의 단정치 못한 품행과 단명, 더러움등을 표현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물론 이 책을 읽고나면 기생은 으례 천하고 품행이 단정치 못한 여자다 라고 단정짓거나 그릇된 편견은 갖지 않게 될테지만 말이다. 나 역시 그랬다. 작가의 말에서 참 공감하는 부분이 있었다. "누구나 황진이를 알지만 아무도 황진이를 모른다" 는 말.... 나 또한 '청산리 벽계수야' 로 시작되는 시조와 그녀가 절세 미인이었다는 것이 내가 아는 전부였다.
그런데 책 속에서 만난 그녀는 기녀로 대물림 받은 삶을 억척스럽게도 잘 살아내는 여자였고 아비없는 불쌍한 딸이었고 눈 먼 어미를 둔 안타까운 딸이었다. 시에 능하고 가창력도 좋으며 악기에 능하고 함부로 몸을 휘두르지 않는 지조있는 여자였다. 그리고 나는 황진이가 서경덕의 문하생이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아, 황진이도 황진이지만 이 책에서 또 다른 인물이 매직아이처럼 눈에 들어왔는데.... 바로 서경덕이라는 자다. 이름은 익히 들어왔으나 그에 대해 잘 알지 못했는데 (지금도 역시 잘 알지 못한다만은) 소설 속에 묘사된 바로는 참 올곧은 성품의 스승이었던 것 같다. 그에 대해 묘사한 부분에 있어 그는 참으로 호감이 가는 인간이었다.
이 책은 서찰형식으로 되어있는데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들려주는 이야기라 한결 편한하면서 진심으로 와닿는다. 그리고 화자 '황진이'의 성품이 더 잘 드러난 것 같았다. 문체도 참 탐스러웠다. 문장 문장이 시고 고즈넉한 한 편의 수묵화를 보는 듯했다. 주석이 뒤따를 수 밖에 없는 고어들로 문장이 만들어졌지만 읽기는 쉬웠다. 옛말이라는 것이 참으로 묘미가 있다. 그 뜻을 굳이 알지 못하더라도 그러 그러한 흐름이나 느낌들을 너무 잘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또 흥미로웠던 점은 고서적에서 황진이를 묘사하고 있는 부분들을 발췌수록한 부분인데 황진이야말로 조선시대의 팜므 파탈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 이 책을 닫고 김탁환의 다른 책도 더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