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태자비 납치사건 1
김진명 지음 / 해냄 / 200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래전 책이다.  김진명이라면 역사와 이 나라의 굵직한 책을 써낸 작가다.       

  황태자비 납치사건.  이 책은 두 권으로 되어있는데 읽히는 속도로 보자면 한 권 분량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읽힌다.  추리소설과 같은 일면이 박진감도 있고.  민비시해 사건을 바탕으로 일본의 역사왜곡교과서를 규탄하는 내용이다.  임선규와 김인후의 황태자비 납치사건.  자국의 비굴했던 역사적 과오를 씻는 방법이라고 하기엔 조금 설득력이 부족한 듯....  또한 국익을 우선으로 해야 할 황태자비가 국적을 잊은 듯 오로지 도덕과 양심에만 쏟아붓는 태도는 한국인인 나에게도 별 감동은 없었다.

  작가는 일부 양심있는 일본인들의 목소리를 담기에 모두가 존경하는 황태자비를 거론함이 그림이 괜찮았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실제로 모든 과오를 오로지 양심 하나에 맡긴 채 나라의 잘못을 순순히 시인하고 고백하는 일은 쉬울 것인가?   그 과정에서 황태자비의 고민이나 번민이 없다는 것이 의아할 정도다.  어쩌면 소설 속의 황태자비는 단지 우리가 바라는 이상적인 일본인상일지는 모르나 현실에는 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나에게, 또 우리에게 당신은 이 나라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내 나라의 왕비가 벌거벗겨져 짓눌린 역사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이 있는가?  독도영유권 주장, 왜곡된 교과서....  그것들을 대하며 단지 냄비처럼 쉬 달아올랐다 쉬 식어버리지 않는가?   우리나라에 대해 그리고 가까운 나라 일본에 대해 많이 생각하게 한 책이다.

  단지 소설로서의 아쉬운 점이 있다면 가부키 극장에서 어떻게 황태자비를 그렇게 감쪽같이 납치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  어쩌면 작가도 그에 대한 뾰족한 방책은 없지만 무조건 '치밀하고 대범한 납치범'임을 피력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었는지도.  또한 납치수법, 수사과정에 있어 기술한 부분들에 허술한 부분들이 많은 것 같았다.  황태자비 납치에 있어 수사방법에서 결정적인 다나카 경시정.  그는 이 일을 해결하는데 있어 거의 신과 같은 존재다.  사건을 수사하며 추리해 가는 과정은 이해가 가지만 모든 것을 직감과 느낌으로 수사해 나가고 그것이 맞아떨어진다는 것은 조금 엉뚱한 설정이다.  정확하고 예리한 수사과정을 제시하기 보다는 베테랑 형사를 등장시켜 사건을 자연스럽게 풀어가는 것이 작가에게는 쉬웠을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소설로서의 재미도 있었고 또한 '양국간의 역사 바로잡기가 시급하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