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발자크와 스탕달의 예술논쟁 ㅣ 범우문고 112
오노레 드 발자크 지음 / 범우사 / 1994년 7월
평점 :
그리 두껍지 않은 책인데 꽤나 오래 읽은 책이다. 솔직히 꾸준히 읽지 않았다는게 정확한 표현이지. 생각보다 별로 흥미롭지 못했다. 발자크의 비평은 스탕달의 '파르므의 승원' 을 소개하는데 지나지 않았다. 줄거리를 짚어주고 인물 캐릭터 따위를 나열하는 일 이상이 아니었다. 비평이라는 것이 언제나 주관적이긴 하지만 객관적인 이유도 없이 내 맘에 드는 글이라고 해서 무조건 극찬할 일은 아니다. 그렇게 하는것쯤이야 무엇이 문제가 될까마는 그런 식으론 적어도 다른 사람들의 이해나 지지를 얻지는 못한다. 분량의 2/3를 차지하는 발자크의 비평은 솔직히 실망스러웠어.
차라리 그 보다는 스탕달이 발자크의 비평에 부친 답신서가 더 나았다. 아니, 나은 정도가 아니라 훨씬 나았다. 길지 않는 편지였지만 스탕달이 어떤 사람인줄 알것 같았다. 소신이 있는 사람이다. 물론 스탕달 자신이 말한 것처럼 그는 교만해 보이기도 했다. 소신있는 사람이다. 그의 확고함은 지켜보는 누군가로 하여금 왠지 모를 믿음을 안겨줄 것만 같았다.
뭐 견줄일은 아니라고 보지만 내 입장에서도 누군가가 나에 글에 대해 '이건 이렇고 저건 저래요' 한다면 '그럴수도 있군요. 역시 당신은 저보다 한 수 위네요. 배울 점이 많아요' 라며 수긍할 것이다. 물론 그것이 내가 용납할수 없는 지적이라 할지라도 고개를 끄덕이고 넘어갔을 때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그런 척 할 것이다. 왜? 그것이 더 겸손해 보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탕달은 그렇지 않았다. 발자크는 스탕달의 글에 대해 몇 가지 아쉬운 점을 지적하기는 했지만 천재적인 작품이라며 극찬했다. 그런 발자크에게 요목조목 짚어가며 답신을 쓴 것을 보고는 놀랐다.
이 책이 흥미로울 수 있었던 것은 스탕달의 답신 때문일 것이다. 아마 이 책에 감히 논쟁이라는 도전적인 단어를 사용할 수 있었던 것도 어찌보면 스탕달의 답신 때문이다.
이 책을 읽고나서 얻은 것이 몇 가지 있다면 이러하다. 첫째, 스탕달의 파르므의 승원을 꼭 읽어보리라 두번째, 글을 쓰는 등 '창조(창작보다 범주가 큰 단어를 굳이 사용하고 싶네)' 를 하는데 있어서도 소신이 있어야 하겠다. 세번째, 작가들의 문체나 기술방식에 대해 좀 따져보며 읽는 눈을 가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