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트라베이스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유혜자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좀머씨 이야기' 로 우리나라에 소개되어 명성을 얻은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희곡과 같은 소설이다.  요즘 서점가에는 그의 신간 '향수'로 도배되다 시피하고 있기도 하다.  아직 '향수'는 못 읽어봤는데....  향수는 어제 주문해 두었으니 조만간 읽을 수 있겠구려~ 

  콘트라베이스는 두어번 읽었다.  연극인 이정훈의 모노드라마 '콘트라베이스' 를 보기전에도 읽었었고....  읽을 때마다 콘트라베이스의 굵직한 음과 잔향이 느껴지는 듯 하다.  이 글을 읽고는 관현악단의 웅장한 연주 중에서 유독 콘트라베이스의 음색을 쫓고 연주자를 관심있게 봤던 기억이 있다.

  역시 글이라는 건 차(茶) 와 같다.  처음 우려낸 차와 두어번 우려낸 차의 맛이 같으면서도 미묘한 차이가 있듯이 말이다.  이 책은 처음 읽었을 땐 난해했고, 읽기를 거듭할 수록 매력적이다.  '좀머씨 이야기' 가 어른을 위한 동화같은 책이라면 '콘트라베이스'는 참으로 예술적이다.  쥐스킨트의 음악적 지식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한 가지 의문점....  쥐스킨트는 콘트라베이스를 연주할 수 있을까?  만약 YES 라면 다방면에 소질이 있다고 말하고 싶고 No 라고 대답을 한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찌 그리 콘트라베이스 주자와 같은 묘사를 할 수 있는지 말이다.

  색바랜 니트에 은둔작가로 더 유명한 파트리크 쥐스킨트.  역시 그만큼이나 베일에 쌓인 오묘한 작가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