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나는 학교에 간다
오토다케 히로타다 지음, 전경빈 옮김 / 창해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오체불만족으로 유명한 오토다케.  그의 신간이다.  

이 책은 읽기 전부터 감동일 수 밖에 없다.  

팔과 다리가 없는 그가 초등학교 교사가 되었단다.  

그는 틀림없이 남들보다 불리한 신체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에겐 팔과 다리를 대신할 강인한 정신력이 있다.  

예전에 나는 TV에서 그에 관한 다큐 프로그램을 본 적이 있다.  

물론 그도 그였지만 그를 대하는 가족과 학교, 

친구들의 따뜻한 시선에 큰 감명을 받았다.

   

이 책....  '장애인으로서의 삶에 대한 희망적 수기' 로 

독자들의 심금을 울리며 사지가 멀쩡한데 감사하며 

주어진 각자의 삶을 더 열심히 살아내게 하는 책이리라.  

그런데 이 책의 주된 골자는 오토다케가 말하는 일본의 학교교육이다.  

물론 오토다케라는 이름만으로도 우리에겐 희망이고 

한 편의 성실한 수기임을 한 시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책에서 오토다케는 사뭇 진지하고 예리한 시각으로 일본의 학교에 대해 말한다.  

이 글을 읽으며 그는 참 진취적이기도 하지만 소신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그는 '교육의 기회는 균등하고 평등하게 주어져야 하나 교육의 결과까지 반드시 평등 할 필요는 없다.' 라고 말한다.  

등수 없는 달리기를 위해 모두가 나란히 손을 잡고 결승지점으로 달리는 운동회의 풍경이나 

성적을 두 가지 단위로만 평가를 하여 학생들간의 우열의 폭을 좁히는 것에 대해서도 일침을 가한다. 

그것은 향후 이와 다른 성적 평가에 대한 충격을 무방비로 겪게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사회의 일원이 되었을 때 실패나 실수를 인정하지 못하게 된다고 말한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나 역시 그와 같은 생각이다. 

 

오늘날 우리들의 어린 학생들은 실수와 실패를 모르고 자라간다.  아니 용납하지 않으려 한다. 

이렇게 실수와 실패를 모르고 자라는 아이들은 작은 일에도 큰 상처를 받고 결국 '하잘 것 없는 인생' 이라고 절망하며

고층 아파트에서 몸을 던지는 것이다.  이는 그들에게 실패와 좌절을 가르치지 않으려는 부모에게도 적잖은 책임이 있다 하겠다. 

실수와 실패도 단련이 필요한 것이고 '오호라~ 하면 되는구나' 하는 것을 일깨워주면 되는 것이지

부정적 감정을 일부러 경험하지 않도록 보호막을 쳐 줄 필요는 없다는 얘기다.

 

무엇보다 이 책은 일본의 학교교육에 대해 구체적으로 들춰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일본이나 한국이나 역시 입시문제등 학교가 안고 있는 여러가지 문제는 별반 다르지 않다고 느꼈다. 

그런데 동일한 문제를 가지고 있지만 우리와 그들의 대처방안은 너무나도 틀리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한국의 학교를 잠시 생각해보자.  

그곳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문제들에 대해 우리는 어떤 방안이 준비되어 있는가? 

나로서는 '우리나라 교육에 있어 이런 점은 내로라 할만하지 않나요?' 하며 그에 대응할 만한 뾰족한 대답을 찾지 못하겠다. 

그저 '요즘 아이들이란' 이라는 말로 일관하며 속수무책하는 꼴이다.  너무 지나친 폄하일까? 

 

그렇다면 한 예를 들어보자. 

등교를 거부(오토다케는 부등교라는 말을 사용하잖다) 하는 학생이 있다면

우리는 그를 어떻게 학교에 품에 다시 안을 것인가? 

첫째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이 담임교사의 전화나 학부모 면담일 것이다. 

둘째 그래도 뾰족한 수가 없다면 정학 혹은 퇴학으로 종결지을 것이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에는 '쇠뜨기 교실' 혹은 '슈레' 라는 프로그램이 있단다. 

이 제도는 학교를 매일 다닐지 하루 걸러 다닐지 등을 본인의 의사에 따라 정하여 등교할 수 있단다. 

그렇다고 무작정 학생들에게 교육의 선택권을 주는 것이 아니라 1주일에 1번 미팅을 통하여 상담을 하고

정상적인 학교 등교가 가능하도록 꾸준히 학생을 조력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런식으로 학교교육 시스템을 혼란하게 하는 것이 효율적일지 올바른 제도인지 의문이 든다. 

그러나 그런 것들을 따져보기에 앞서 우리는 이런 문제를 고심하며

'보다 나아지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노력하고 있냐고 자문해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저자가 장애인인만큼 그들의 시각과 입장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옮긴이 전경빈씨의 입을 빌자면 한국은 2005년 5월의 법개정으로 전체 교원의 2% 이상 장애인을 고용해야 한단다.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2년 내지 4년.  합이 14년 혹은 16년이다. 

그러나 나는 한 차례도 장애인 교사를 본 적이 없다.  교정에서건, 강연회에서건. 

물론 장애인이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하며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끔 하는 기반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도 하거니와

우리는 그들에게 '불완전하다' 는 시각으로 비장애인과의 생활 영역에 들여놓지 않는 것은 아닐까? 

오히려 어느 날 갑자기 불의의 사고로 오토다케와 같이 중증장애인이 된 경우는 

속된 말로 멀쩡히 다니던 학교(뿐 아니라 직장을)를 그만둬야 할 판이다.  이건 결코 억측이 아니리라.

 

이 책은 단순히 오토다케의 눈을 통해 학교교육을 엿보는데 만족하게끔 하지 않는다. 

우리네 모습은 어떠한가를 돌아보게 하고 무언가를 하지 않으면 안되게끔 한다. 

그 무언가가 무엇인지는 나 그리고 여러분 우리 모두의 숙제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