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afroking.com/

온다! 또 온다....-_- 그러나 또 놓칠 가능성이 농후. 금전적인 문제도 그렇거니와 무엇보다도 현상황에서 올나잇은 무리....

돈도 없고 시간도 없으면 그냥 그의 음악이나 들으면서 낱낱이 분해되는 비트의 세계 속에서 감동의 눈물이나 흘리자꾸나....

 



http://music.bugs.co.kr/Info/album.asp?cat=Base&menu=m&Album=156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니앨범인 <smells like teen spirit>을 처음들었을 때가 기억난다. 상당히 괜찮다는 느낌. 그러나 그즈음을 전후로 하여 이들이 슬슬 해외토픽란의 단골인사가 되어가면서 알게된 이들의 퍼포먼스에 대해선 그다지 지지할 수가 없었다. 솔직히 그건 어지간히 유치하게 보였기 때문이었다. 파티의 개념조차 알지 못했던 당시의 나에게 있어서 미라는 것은 검은 정장과 흰 와이셔츠의 극단적인 모노톤이 만들어내는 억압된 페티시즘이었다(따라서 내가 매트릭스를 처음 접했을 때 느꼈던 흥분 또한 그것의 연장이리라).

'beautiful people'을 처음 들었을 때의 흥분을 잊을 수가 없다. 배철수의 음악 캠프에서 흘러나오던 그 노래는 내 심장을 드럼 비트와 같게 만들고 주문처럼 코러스를 영어로 읊조리게 만들었다. 그것은 잉베이 맘스틴과는 다른 의미에서 매우 스피디했으며 메탈리카보다는 다른 의미에서 육중했다. 전작의 'fuck frankie'를 재미삼아 흥얼거리며 'sweet dreams'의 애절함을 즐기던 나에게 이 밴드는 이 앨범에서 자신들이 아주 제대로 된 메탈밴드이며 내가 들었던 어떤 종류의 음악보다 거칠은 세계를 들려줄 수 있다고 유혹하고 있었다. 나는 라이센스로 발매되면서 아트워크가 모조리 잘려버린 이 앨범을 두근거리며 카세트 테이프로 구입했다.

정작 앨범은 'beautiful people'처럼 귀에 착착 감겨오는 곡이 없었다. 내가 기대했던 자리를 채운 것은 마릴린 맨슨식의 띠꺼운 발라드들과 그때까지 들은 앨범들 중에선 최고치라 할만 한 소음에 가까운 절규를 목구멍이 터지라고 불러대는 곡들이었다.

나는 점점 이 앨범이 맘에 들었다. 나는 이 모든 노래들을 늘어지기 직전까지 듣고 또 들었었다.

그리고 친구가 이 앨범을 팔라고 했을 때, 나는 주저없이 팔았다.

어째서? 나는 그들이 싫증이 났다. 그들은 언제부턴가 똑같은 음악을 하는 그저그런 밴드로 인식됐고 내 관심에서 서서히 멀어졌다. 그것은 메탈의 극단적인 영역이 어디인지를 추구하는 것이, 그런 등수놀이 비슷한 게임을 한다는 것이 바보 같은 일이란 걸 깨달은 뒤 부터일 것이다(무슨 트라우마가 나에게 이런 인식의 전환을 가져왔는지는 확실치가 않다). 정작 이들은 그런 극단적인 테크닉의 실험따위는 신경도 안 쓰는 이들이었는데 말이다. 난 모든 긍정을 추구한다면서 얕고 뻔한 부정을 저질러버린 꼴이었다.

언제부턴가, 나는 이 앨범을 다시 듣기 시작했다.

아무리 이펙터라지만.... 이젠 못 부를 것 같다-_-

http://music.bugs.co.kr/Info/album.asp?cat=Base&menu=m&Album=60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들어 느끼는 거지만 신해철이 영국에서 만들어낸 이 앨범을 너무 과소평가하고 있었던 듯 싶다(그리고 충분히 과소평가 당했다고 생각한다). 뭐라 해도 엠비시 음악프로... 그 머신지는 잘 기억이 안 나지만 거서 컴백공연이란 걸 했을 때 엉거주춤한 자세로 서서 좌우로 뒤뚱거리며 '니가 진짜로 원하는 게 뭐야'를 외치는 그의 모습은 나름대로 심히 민망했었으니까. 일렉트로닉과 넥스트 때의 음악적 방향선, 스스로 프로그래시브 메탈이라고 불렀던 그 영역을 일치시키려는 시도는 이전에도 이후로도 신해철의 음악들에서 꾸준히 이어지는 것인데 그 이전으로도 이후로도 이 모노크롬에서만큼의 절묘한 일치점을 보여준 것은 없다고 본다. 앨범 전체적으론 신해철이 가진 얇고 날카로운 보컬이 알렉트로닉 장르를 메탈 사운드를 다루듯 운용하는 스타일과 어우러져서(크리스 산가라스를 선택한 것은 그런 특성의 극대화를 노린 것으로 매우 효과적인 조합이었다) 특유의 날선 느낌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고 그 안에서 소위 한국적인 감성과의 소통을 고심한 결과는 이후 김동률 2집과 같은 간접 프로듀싱 앨범들에서 응용되어 드러나는 바, 그 긴장감들을 즐기는 재미가 쏠쏠하다.

 

http://music.bugs.co.kr/Info/album.asp?cat=Base&menu=m&Album=9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프트 펑크를 듣는 것은 언더월드와는 또다른 의미에서의 혹사다. 휘몰아치는 비트와 이펙트의 세계 속에서 길을 잃고 마조히즘적 쾌감에 빠지게 만드는 언더월드와는 달리 다프트 펑크는 무척이나 부드럽게, 그리고 끝없이 유혹한다. 플로어에 몸을 내동댕이 치고 콘크리트 벽을 부숴라 두드리게 만드는 언더월드의 파열적인 거칠음이 없는 대신 다프트 펑크는 우리를 단순 반복 운동의 기계 부품으로 만든다. 위험하다.

 

http://music.bugs.co.kr/Info/album.asp?cat=Base&menu=m&Album=205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민학교 3학년 때인가 4학년 때인가에 처음 들었을 때처럼, 아직도 윤상은 후회에 대해 노래한다. 더 아름답게, 매혹적으로, 언제나 지난 시간을 관조하는 듯한 노회한 가사는 그가 만들어내는 소리 속으로 묻혀버린다. 아득하게.

 

http://music.bugs.co.kr/Info/album.asp?cat=Base&menu=m&Album=88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