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usic.bugs.co.kr/Info/album.asp?cat=Base&menu=m&Album=3814

처음 나왔을 때, 인터뷰는 거의 무조건적으로 거절하고 메인스트림에 대해선 가차없이 적대적인 시선을 보내는 그들을 보고 시대를 잘못 타고 나왔나 싶었다. 상업적으로나 처세적으로 볼 때 결벽증은 썩 현명한 일은 아니었다. 심지어 그것은 이미 80년대 초에 끝난 트렌드이기까지 했다. 그들이 그런 일종의 애티튜드를 치워버릴 정도의 심정적 여력이 있었다면 대중에게는 자극적인 펑크락으로만 대변되던 홍대 인디씬의 하나의 돌파구가 될 수 있지 않았을까? 진정 제대로 된 밴드가 좀 더 일찍 가요판에 들어서는 계기가 되지 않았을까. 아쉬움.

하지만 어떻든, 그들의 노래는 시대가 요구하는 것이었다.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모던락이 가지는 놀라울 정도의 서정성과 소박함을 일깨우는 부드럽지만 날카로운 감수성의 표현. 그래서 그들은 홍대인디씬의 몰락 이후에도 살아남은 몇 안되는 밴드가 될 수 있었다.

얼마 전에 4집 앨범을 발표하면서 그들은 자신들이 과거에 치기어렸음을 고백했다. 그때는 그러지 않았어도 됐었는데 조금 과하게 결벽적으로 보였던 경향도 있었다고. 하지만 4집 앨범은 그들이 성숙해졌음을 뜻하는 것인지 지루해졌음을 뜻하는 것인지 알 수가 없었다.

그들이 그토록 치기어렸음에도 반짝반짝 빛났던 1집을 듣는다. 뭐라 하든 그들은 훌륭한 밴드다. 4집의 주춤거림에도 불구하고 각각 3년의 간격을 두고 나왔던 1집-2집-3집을 잇는 감각은 여전히 아름답기만 하다. 그래서 그들이 그토록 폐쇄적이었던 것은 오만보다는 수줍음 때문이라고 믿게 만드는 이 소박한 앨범은 여전히 반짝이고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긁적긁적 2005-04-29 20: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솔직한 얘기로 1집 이후 그 보다 더 나은 앨범을 못만드는 대표적인 밴드라는 생각. 내 공부의 친절한 동반자가 되었던게 그네들의 1집이라 그럴지도 모르지만..훗.
 



http://music.bugs.co.kr/Info/album.asp?cat=Base&menu=m&Album=14943

시청각적 측면에서 내 인생 최초의 인식 가능한 충격. 명불허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을산 2005-04-25 09: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고등학생 때는 이게 '금지곡'이었어요. 그래도 불법 비디오로 몰래몰래 돌려 보았답니다. ^^

hallonin 2005-04-25 1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중학교 때 동네 비디오 가게에서 공포영화 칸에 박혀있는 걸 보고 빌려다봤죠. 대우에서 일주일 정도 출시했었다가 판금 조치로 회수되었던 것이 그 비디오가게에 남아있었던 거더군요.
 

 

http://music.bugs.co.kr/Info/album.asp?cat=Base&menu=m&Album=1206

닥터 드레가 세기말 크리스마스 시즌에 내놓은 종합 선물 세트 크로닉 연작. 22트랙이 포진한 과포화 용량의 러닝타임으로 막 자신의 레이블을 출범시켰던 당시의 드레사단의 재정비를 선포함과 동시에 드레 자신의 음악여정의 두번째 분기를 마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music.bugs.co.kr/Info/album.asp?cat=Base&menu=m&Album=8003



http://music.bugs.co.kr/Info/album.asp?cat=Base&menu=m&Album=8002

디스크1은 본작에서 쓰였던 더 필로우즈의 음악들. 디스크2는 음악 및 오리지날 라디오드라마 수록. 전곡이 더 필로우즈의 음악들로 이루어진 프리크리는 음악이 반이라 해도 절대 과언이 아니다. 안 망하는 벅스가 착해보이는 순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긁적긁적 2005-04-13 01: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띠디딩딩딩! 디리딩딩! 디리딩딩! 이렇게 시작하는거였지 아마?

hallonin 2005-04-13 1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더러 어쩌라는 거냐....-_-
 



MD.45 [the craving]

철없던 고등학교 시절, 메가데스류의 음악을 듣고 싶었고, 부클릿이 맘에 들었을 뿐으로 구입했던 이 앨범의 존재는 영 버거운 것이었다. 멍청했던 난 펑크와 브리티쉬 메탈에 대한 경배로 가득한 이 앨범의 스타일을 이해하지 못했었다. 그저 스래쉬 메탈답지 않게 밍숭맹숭한 음악으로 차 있다고 생각했을 뿐이었다. 그래서 머스테인에 관한 것이라면 이것저것 다 모으던 양모씨의 되팔라는 제안에 내 손은 뻔뻔하고 부끄럽게도 스스로의 무지를 선언하는 우매한 실수를 저지르고 만 것이었다.

그이후, 어떻게든 귀에 익숙하게 만들려고 질리도록 들었었기 때문에 이 앨범이 들려줬던 음악들은 뇌 한구석에 박혀있다가 가끔씩 시도때도 없이 튀어나오곤 했었다. 그렇게 오래된 재생기의 영 변변찮은 재생능력은 점점 내가 한 실수에 대한 자각을 갖게 만들어줬다. 오랜 시간이 지나서 난 내가 실수를 했다는 걸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시디로 구할 수 없었다. 1996년 발매라는 제법 오래된 시간과 프로젝트 그룹이었다는 한정성, 무엇보다도 더럽게 안 팔렸다는 사실 때문에 이 앨범의 존재를 기억하는 이조차 찾기가 힘들었다. 재고야 기대조차 안 가는 상황이었고 중고 앨범 시장에 기대를 걸 수밖에 없었지만 여러 중고 앨범 가게를 돌아다녀봐도 이 앨범의 존재를 찾는 건 불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던 중 데이브 머스테인이 이 앨범의 리마스터링 앨범을 내놨다는 것을 알게됐다. 리마스터링이라, 오호, 드디어 구할 수 있겠군... 이러고 있는데 보컬은 머스테인.... 원앨범의 보컬이었던 리 빙의 목소리를 빼버리고 자신의 목소리로 모조리 바꿔버리겠다는 것이었다. 난 들어보기도 전에 실망했다. 머스테인의 목소리로 원 앨범의 보컬인 리 빙의 파워풀한 보컬 스타일을 대체한다는 것은 상상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머스테인은 결국 해냈고 결과는 역시였다. 3번 트랙인 'fight hate'만 들어봐도 머스테인의 목소리는 리 빙의 거친 훅과 샤우팅을 못 따라간다. 나는 결국 당나구를 뒤지기 시작했다. 그 넓은 네트 안에서 단 한 명이 가지고 있는 앨범 zip 파일을 발견하고 다운을 걸어놓길 어언 3개월. 드디어 어제 새벽, 파일 마지막 파트의 전송이 끝났다.

 

좋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긁적긁적 2005-03-25 2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눈물나도록 축하허네.

hallonin 2005-03-26 04: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얼큰한 감동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