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usic.bugs.co.kr/Info/album.asp?cat=Base&menu=m&Album=3814

처음 나왔을 때, 인터뷰는 거의 무조건적으로 거절하고 메인스트림에 대해선 가차없이 적대적인 시선을 보내는 그들을 보고 시대를 잘못 타고 나왔나 싶었다. 상업적으로나 처세적으로 볼 때 결벽증은 썩 현명한 일은 아니었다. 심지어 그것은 이미 80년대 초에 끝난 트렌드이기까지 했다. 그들이 그런 일종의 애티튜드를 치워버릴 정도의 심정적 여력이 있었다면 대중에게는 자극적인 펑크락으로만 대변되던 홍대 인디씬의 하나의 돌파구가 될 수 있지 않았을까? 진정 제대로 된 밴드가 좀 더 일찍 가요판에 들어서는 계기가 되지 않았을까. 아쉬움.

하지만 어떻든, 그들의 노래는 시대가 요구하는 것이었다.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모던락이 가지는 놀라울 정도의 서정성과 소박함을 일깨우는 부드럽지만 날카로운 감수성의 표현. 그래서 그들은 홍대인디씬의 몰락 이후에도 살아남은 몇 안되는 밴드가 될 수 있었다.

얼마 전에 4집 앨범을 발표하면서 그들은 자신들이 과거에 치기어렸음을 고백했다. 그때는 그러지 않았어도 됐었는데 조금 과하게 결벽적으로 보였던 경향도 있었다고. 하지만 4집 앨범은 그들이 성숙해졌음을 뜻하는 것인지 지루해졌음을 뜻하는 것인지 알 수가 없었다.

그들이 그토록 치기어렸음에도 반짝반짝 빛났던 1집을 듣는다. 뭐라 하든 그들은 훌륭한 밴드다. 4집의 주춤거림에도 불구하고 각각 3년의 간격을 두고 나왔던 1집-2집-3집을 잇는 감각은 여전히 아름답기만 하다. 그래서 그들이 그토록 폐쇄적이었던 것은 오만보다는 수줍음 때문이라고 믿게 만드는 이 소박한 앨범은 여전히 반짝이고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긁적긁적 2005-04-29 20: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솔직한 얘기로 1집 이후 그 보다 더 나은 앨범을 못만드는 대표적인 밴드라는 생각. 내 공부의 친절한 동반자가 되었던게 그네들의 1집이라 그럴지도 모르지만..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