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리와 늑대 눈높이 어린이 문고 23
진 크레이그헤드 조지 지음, 유기훈 그림, 작은 우주 옮김 / 대교출판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시작하자마자 우리는 곤경에 처한 에스키모인인 줄리, 아니 미약스를 발견하게 된다. 그녀는 친구가 있는 샌프란시스코로 가던 길에 조난을 당해서 북극 한복판에 떨어져 있는 상황이다. 그녀는 당장 잘 곳은 커녕 먹을 것조차 제대로 마련되 있지 않은 상태고 북극의 날씨는 더없이 춥다. 극한의 상황에서 그녀는 살아남아야 한다.

시작부터 꽤 살벌한 동화 [줄리와 늑대]는 그때까지 겪어본 적이 없는 상황에 처한 미약스가 자연과, 특히 늑대와의 교감을 통해서 어떻게 살아남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그렇기에 생각외로 긴장감이 도는 전개 속에서 그녀는 어렸을 적 아버지와 함께 돌아다니면서 체득한 에스키모 사람들의 지혜를 활용하기 시작한다. 그녀는 그 오래된 지혜들을 통해 늑대 무리와의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함으로써 결국 그들과 같은 일원으로 인정받기에 이른다.

이 이후부터 우리는 소녀와 늑대들 간에 싹튼 우정을 확인할 수가 있다. 그리고 그 과정이 보여주는 양상은 자연을 존중하는 법, 자연과 하나가 되는 법에 대한 이야기들이다. 그래서 죽음과 가까이 간 장소, 너무도 괴로웠던 상황은 늑대들과의 우정과 자연과의 동화를 통해 서서히 바뀌어 나가고 이약스는 그제껏 느껴보지 못했던 따스함과 충만한 정서를 느끼게된다. 그에 반해서 미약스가 북극 한복판에 떨어지게 된 이유, 그리고 미약스의 소중한 것들을 앗아가게 되는 것은 현대문명에 의해서다.

실로 작가가 지향하는 자연에 대한 애정과 그 반대쪽에 서는 문명과의 대립각은 이야기 전체를 꿰뚫고 있다. 자연과 하나가 되어 살아가는 지혜들에 비추어 볼 때 문명은 진보와 발달이라는 고상한 옷을 입은 야만이며 미약스를 끊임없이 위협하는 것들의 본질이다. 서구문명의 유입과 함께 미약스가 살던 땅은 근본에서부터 흔들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샌프란시스코라는 달콤한 가면을 쓴 문명은 늑대들을 사냥하는 비행기로 드러나서 미약스를 위협한다. 인간은 자연과 멀어지고 자연은 인간을 홀대하기 시작한다.

어째서 이 이야기의 제목이 '미약스와 늑대'가 아니라 [줄리와 늑대]일까. 이 불길한 제목에서부터 이 이야기는 좌절의 이야기임이 암시된다. 그러나 그 좌절이 이제는 너무도 자연스러운 것이 되버린 것이기에 집으로 돌아가는 '미약스'의 발걸음은 그리도 슬퍼 보이는 것이리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날개 2005-10-26 16: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립니다..^^*
좋은서평 이벤트에서 우수리뷰로 뽑히신걸~

hallonin 2005-10-26 19: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이쿠 좋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