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
김훈 지음 / 푸른숲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 방식으로 평가를 한다고 해도 지금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들 중 김훈을 빼놓고 얘기를 한다는 것은 일부러 빼놓지 않고서야 가능하진 않을 것 같다.

 

그의 글에 매혹되고 매력을 느끼고 있으면서도 그의 글에 담겨진 시선과 관점에 대해서는, 은연중에 느껴지는 그의 생각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해가 되면서도 무작정 동의하지도 못하겠고 생각의 거리를 진지하게 따져보고 여러 방식으로 검토해야 할 점들이 많다고 생각하면서도 그의 글이 이 시대에 대한 중요한 질문들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것 자체에 대해서 부정하고 싶은 생각은 없기에 그를 추켜세우게 되는 것 같다.

 

어떤 식으로든 김훈은 이 시대를 대표하는 중요 작가 중 한사람이라는 것은 분명한 것 같다.

 

그런 김훈의 작품들 중 다른 작품들에 비해서는 조금은 소박한 소품과도 같은 모양새를 갖고 있는 ...’는 한편의 우화이면서도 항상 그렇듯 삶을 관찰하고 거기에 자신의 생각을 집어넣는 김훈 특유의 구성을 잃지 않고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명확하게 어떤 지역인지에 대해서(수몰이 예정된 지역이라는 것과 바닷가라는 점을 빼놓고는 되도록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어떤 시대인지에 대해서 설명해주지 않으며 진행시키고 있는 ...’는 그래도 어쨌든 비교적 최근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몇몇 소품들(휴대전화, 자동차 및 기타 등등)을 등장시키고 있기는 하지만 아마도 현재와 과거를 겹쳐놓도록 의도하면서 불필요하게 어떤 시대인지를 알려주려고 하질 않고 있다는 느낌을 들게 만들었다. 우화 같으면서도 무척 현실적인 분위를 만들려는 의도였던 것 같다.

 

개를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기존 김훈의 작품들과는 조금은 다른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좀 더 온화하고 낭만적인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고 있다) 어김없이 김훈이 갖고 있는 냉소와 허무가 느껴지기도 하고 인간 세상에 대한 차가운(혹은 날카로운) 시선으로 쳐다보고 있기 때문에(그러면서도 환멸의 시선을 갖지는 않고 있다) 김훈의 작품답지 않으면서도 여전히 김훈의 시선과 관점을 잃지 않기도 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단순히 개의 입장에서 자신에 대해서 말하고 있고, 개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기는 하지만 어쩐지 그저 개의 입장에서가 아닌 좀 더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들을 혹은 김훈이 생각하는 요구사항들을, 그게 아니면 김훈이 생각하는 (그게 옳건 그르건 맞던 틀리던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이게 되는 혹은 받아들여야만 하는) 세상의 법칙을 알려주려고 하는 듯이 느껴지기도 했다.

 

그런 식으로 생각해야만 온갖 것들에 눈치를 살피는 개의 본성과 이유들에 대해서 그리고 주인에 대한 개의 여러 입장과 생각들에 대해서 그리고 그 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에 대해서 왜 그렇게 상세하게 설명을 해주는지를 조금은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 같다.

 

또한 언제나처럼 육체에 대한 집착과 냄새에 대한 풍부한 표현(집요할 정도로 냄새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있다)과 같이 김훈의 작품들에서 자주 접해왔던 관심들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점도 흥미로운 부분이기도 했다.

 

김훈은 다른 작가들이 다뤄내지 않는 것들에 대해서 무척 상세하게 관심을 기울이는 경우가 있다. 물론, 반대로 다른 작가들은 김훈이 놓치거나 무관심한 것들에 대해서 열중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다만, 김훈의 관심이 좀 더 눈길을 끌게 만드는 무언가가 있다.

 

이렇듯 ...’는 지금껏 김훈에게서 느껴지지 않던 모습들을 접하게 되기도 하면서 항상 김훈에게서 찾게 되었던 점들도 함께 겹쳐지고 있다는 점에서 무척 인상적인 작품으로 기억될 것 같다.

 

항상 그렇듯 김훈은 예민한 감각으로 우리들에게 살아가는 것에 대해서 그리고 살아남는 것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을 알려주고 있고, 단지 그것만은 아니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런 김훈의 입장과 생각에 많은 공감을 하거나 동의하진 않아도 존중하고 함께 그 생각을 고민하게 되는 것 같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김훈은 그 살아남고 살아감에 대해서 말하면서도 항상(은 아닐지라도) 그런 얘기를 하는 존재들이 남성-수컷이라는 점이라는 것이(중심에 놓여있다는 것이) 인상적이기도 하고 여러 가지로 다양한 논의를 끌어낼 수 있는 요소이기도 한 것 같다.

 

그런 남성-수컷들이 피곤으로 얼룩지고 항상 좌절하고 패배하게 된다는 점도 관심이 가지만 이런 우화에서조차 김훈은 어김없이 그만이 만들어낼 수 있는 비극과 낭패 그리고 절대적 패배를 숨겨놓고 있다는 점도 흥미로운 점일 것 같다.

 

그는 어떤 순간에서도 자기 자신을 잃지 않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인지 소품처럼 느껴지고 조금은 자신만의 방식을 억제하고 있는 ...’에서 좀 더 그만의 모습들을 더 찾게 되고 바라보게 되는 것 같다.

 

결론은 그에게 다시금 감탄하게 된다.

 

 

 

참고 : 작가들에게 개라는 동물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일까? 당장은 폴 오스터의 동행이 떠올려지기는 하지만 그건 읽기는 했어도 전혀 기억나지도 않고 단순히 몇몇 작가들의 글을 통해서 무언가를 비교하거나 판단하기에는 어려운 점들이 있기 때문에 그저 생각이 떠돌기만 하는 것 같다. 단순히 인간에게 가장 친밀한 동물이라는 식으로 가볍게 정리하기에는 조금은 아쉬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