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더리스 브루클린 밀리언셀러 클럽 72
조나단 레덤 지음, 조영학 옮김 / 황금가지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도시는 그의 죽음에 대한 실마리로 그득했다.

내가 직접 탐정이 되어 사건을 해결하지 말라는 법도 없지 않은가.

 

 

잠시 시간이 남게 되어서 별 수 없이 무료한 시간을 달래기 위해 들어가게 된 책방에서 이런 저런 책들을 펼쳐보다가 눈길을 끌어 구입하게 된 머더리스 브루클린은 언제나 애정을 갖고 있음을 말하게 되는 범죄소설 장르에 충실한 작품이면서, 성장소설의 특징도 일정부분 이끌어내고 있는 작품이다.

 

기본적으로는 범죄조직의 하수인 수준에서 머물고 있는 주인공 라이어넬이 갑작스럽게 살해를 당한 그(와 그와 함께하는 친구들)(마피아의 중간책인) 우두머리인 프랭크의 죽음에 관한 내용들을 밝혀내는 과정에 관한 이야기인데, 조금은 흔한 이야기이고 이미 이런 이야기들을 많이 접해왔기 때문에 식상한 기분도 들 수 있을 것 같지만 틱장애의 일종인 투렛 증후군이 있는 주인공 라이어넬의 독특한 독백과 대사가 인상적이며, 기억을 거슬러 올라가 어린 시절의 기억들과 고아원에서의 생활 그리고 그곳에서 자라나면서 겪었던 경험들을 하나씩 꺼내놓으면서 단순한 범죄소설이 아닌 흥미로운 성장소설의 모양새도 보여주고 있어서 흥미를 느끼게 만드는 것 같다.

 

그렇기 때문인지 과거의 기억들을 언급한 이후의 범인을 찾아내기 위한 과정은 특별한 인상을 남게 만들지는 않는 것 같다.

 

고아원에서 함께 생활하던 친구들과 프랭크의 죽음으로 인해서 조금씩 균열이 생겨가고, 그렇게 생겨나는 갈등과 다툼 속에서 라이어넬은 무언가 의문스러운 점들을 찾아내게 된다는 진행은 흥미를 끌기는 하지만 과거에 대한 기억만큼의 매력을 만들어내지는 못하게 되는 것 같다.

 

좌충우돌하며 결국 사건의 실마리를 찾게 되고 숨겨졌던 진실을 밝혀지는 과정에서의 긴장감과 모든 진실들을 알려주는 내용에서 느껴지는 여러 복잡한 감정들은 다행히 몰입을 하게 만들고 있기 때문에 중반 이후의 지루함이 더욱 아쉽게 느껴지는데, 거기에 더해서 투렛 증후군으로 인해서 도대체 무슨 생각을 이어가고 있는지 쉽게 이해되지 않던 라이어넬이 마지막에 가서 누구보다도 냉소적이면서도 씁쓸하고 허무한 기분 속에서 후일담을 얘기해주는 대목은 무척 인상적인 순간을 만들어내고 있다.

 

아마도 전체적으로는 이렇다 할 인상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이야기 자체가 촘촘히 구성된 작품이기 보다는 조금은 느슨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점 때문일 것 같다. 아울러 라이어넬의 투렛 증후군이 대사로서의 매력은 갖고 있을지는 몰라도 무언가 놀라움을 안겨주는 작품 속 장치로 활용되진 못하고 있다는 점도 꼽아야 할 것 같다.

 

간혹 멋진 순간들을 만들어내고 있고, 놀라움으로 가득한 문장들을 발견할 수 있기도 하지만 전체적인 모양새는 무언가 엉성한 기분을 갖게 만든다. 긴장감의 고조나 유지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고, 진실 찾기의 과정도 어쩐지 라이어넬 홀로 강박 속에서 이뤄지는 헛된 노력처럼 읽혀졌을 뿐이었다.

 

다행히 그 헛되다고 생각되던 노력이 사건 해결을 위한 가장 큰 실마리를 찾아내는 노력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그럼에도(그걸 알게 되었음에도) 그 지난한 과정이 매력적이진 못하게 느껴졌다.

 

프랭크의 아내에 대한 복잡한 심정을 솔직하게 언급하는 내용과 그녀에 대한 애정과 함께 결국 함께할 수 없음과 기억으로만 간직해야 함을 이해하려는 내용에서는 쉽게 설명할 수 없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의(사랑과 다른 여러 감정에 대한) 어떤 교훈을 얻게 되기도 하는 것 같다.

 

생각보다는 좋은 평가를 하게 만들지는 못하는 작품이었지만 나름대로 혹은 부분적으로는 인상적인 진행과 내용-문장을 담아내고 있기에 범죄소설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한번쯤 큰 기대 없이 즐길 수 읽을거리를 찾는 사람들에게(이것 저것 읽어볼 것들을 실컷 읽어본 사람들에게는) ‘머더리스 브루클린은 적당한 읽을거리가 될 것 된다.

 

 

 

 

참고 : 범죄소설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아마도 비정한 세상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감수성을 잃지 않으려는 사람이거나 도시를 떠나지 못함과 그 숙명과 운명을 어렴풋하게 알고 있는 정신적 떠돌이들일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