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페르세폴리스 1 - 나의 어린 시절 이야기
마르잔 사트라피 지음, 김대중 옮김 / 새만화책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페르세폴리스 : http://blog.naver.com/ghost0221/60048222599
페르세폴리스 : http://blog.naver.com/ghost0221/60051797498
개인적으로 무척 오래 전 극장에서 접했던 영화 ‘페르세폴리스’는 각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작품이었다. 완성도나 여러 의미부여에 있어서 부족함이 없는 작품이기도 하지만 순전히 개인적인 이유로 인해서 여러 가지로 의미가 깊은 작품이었다.
어떤 의미인지는 굳이 꺼내고 싶지는 않지만... 여하튼 그렇다.
그런 작품이기 때문에 이 작품의 원작이 이어서 번역-출판되었다는 것을 이전부터 알고 있었으면서도 여러 이유로 인해서 보기를 망설이거나 미루기만 했었다. 어떤 의미에서는 읽는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도 조금은 있었다.
그것도 순전히 개인적인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결국 접해야 하는 작품은 접하기 마련이고, 이제 조금은 무덤덤함 속에서 읽어나가기는 했지만 영화와는 많이 다른 이야기 진행과 구성 덕분에 새로운 기분으로 마르잔 사트라피의 ‘페르세폴리스’ 1권을 읽게 되는 것 같다.
영화와는 아주 크게 다르다고 말하지는 못하겠지만 그림 소설인 ‘페르세폴리스’는 좀 더 이란의 역사적 흐름과 거대한 변화들이 이뤄졌던 바로 그 시절을 직접 지켜보고 경험했던 이야기들을 상세하게 다뤄내고 있어서 이란에 대한 궁금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수없이 뒤엎어지는 이란의 슬픈 역사를 한 개인의 시각으로 무척 흥미롭게 풀어내며 접하게 될 수 있을 것 같다.
거기에 더해서 ‘페르세폴리스’는 혼란의 중심에서 지켜보는 인물이 어린 소녀-여성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무척 특색 있게 진행시키고 있는데, 알다시피 이란이라는 무척 가부장적이고 지독할 정도로 남성중심의 사회에서 자신을 존중하며 소녀-여성으로 살아가기-살아남기 위해서 어떤 노력들과 가족들의 보호와 여러 교육 및 보듬기가 필요한지를 사실적이고 설득력 있게 담아내고 있다.
강압적이기 때문에 반대로 저항하고 어떻게든 자유로워지고 싶어지는 소녀-여성의 모습 속에서 우리가 과연 어떤 사회를 만들어내고 어떤 사람들이 되어야만 하는지를, 혹은 자신과 함께 타인도 존중하는 존재가 되기 위해서, 그런 존재가 되어야하고 그런 사회를 만들어내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를... 어떻게 견뎌내고 싸워나가야 하는지를... ‘페르세폴리스’는 설득력 있고 흥미롭게 담아내고 있다.
게다가, 자본주의에 대한 무척 의심스러운 시선으로 가득하고 민주주의에 대한 옹호로 가득한 시선을 담아내고 있기 때문에 여러모로 관심을 갖도록 완성시키고 있다.
아마도 언제까지나 ‘페르세폴리스’는 잊지 못할 작품이 될 것 같다.
그건 작품의 완성도도 완성도지만 그 완성이 개인적인 경험과 기억이 덧붙여지면서 더더욱 강렬함을 만들어내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