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보엠
앙리 뮈르제 지음, 이승재 옮김 / 문학세계사 / 2003년 12월
평점 :
품절


최근에는 오페라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명 작품들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 같은데... 무식한게 자랑이 아니고, 경험이 별로 없다는 것도 자랑이 아니기 때문에 오페라와 연극에 대해서 문외한인 내가 라보엠을 읽는 다는 것은 썩 어울리지는 않는 것 같다.

 

오페라 라보엠에 대해서 전혀 모르기 때문에 원작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모르기 때문에 적절한 비교는 힘들 것 같다.

오페라 라보엠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한번은 읽어 보고 싶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는 하지만...

 

하지만 그것을 떠나서도 소설 라보엠은 꽤 흥미로운 작품이다.

최근에 자유분방한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로도 자주 쓰이는 ‘보헤미안’에 대해서 그들이 어떤 생각과 삶의 방식을 갖고 있었는지 가장 적절하게 설명해주고 있는 작품으로 볼 수 있기도 하기 때문이다(원제가 ‘보헤미안의 생활정경’인 이유는 심심해서 그렇게 지은 것이 아니다).

 

지금은 멋스럽고 자유분방한 삶을 살아가는 젊은이들처럼 다가오는 보헤미안들이 원래를 얼마나 (보는 이에 따라서) 구질구질하게 살아가고 별것도 아닌 것들이 젠체했는지에 대해서 말해주고 있기도 하다. 물론, 책에서 보여주는 것이 전부는 아니겠지만.

 

네명의 주요 캐릭터를 통해서 보헤미안의 삶과 그들의 예술에 대한 열정 그리고 사랑에 대해서 다양한 이야기로 꾸민 이 작품은 단편들로 이어졌기 때문에 크게 어려움 없이 읽어낼 수 있으며 (그다지 비극적인 느낌은 들지 않지만) 로돌프와 미미와의 슬픈 사랑도 작품의 말미를 장식하며 시종일관 유쾌하며 서글픔이 감도는 그들의 삶에 보다 다채로운 색채를 가미하게 만든다.

 

최근에 와서 다시금 관심을 갖게 되는 보헤미안들의 삶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사람들과 오페라 라보엠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꽤 괜찮은 작품이 될 것 같으며 사랑과 삶 그리고 예술에 대한 자유분방한 삶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도 괜찮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 되리라 생각한다.

 

그런 것들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나로서는...

그냥 그런 작품으로 다가오지만.

그래도 간간히 삶과 사랑에 대해 정곡을 찌르는 문장들은 잊을 수 없게 만든다.

 

참고 : 그럼에도 한국에서 자기가 보헤미안이라고 생각하면서 까불거리는 것들을 보면 한 대 쥐어박고 싶은 기분은 여전하다. 겉멋만 잔뜩 들어간 인간들로 보이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