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과 흑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6
스탕달 지음, 이동렬 옮김 / 민음사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권에서 수도원에서의 수도 생활과 부르주아 집안에서 가정교사 생활을 하면서 주인공 쥘리엥 소렐의 경험들과 복잡한 심리묘사 그리고 당시 사회상을 보여주며 이야기를 이끌었다면, 하권에서는 여러 사정으로 인해서 부르주아 집안을 떠나 귀족 집안으로 자리를 옮긴 이후의 내용으로 시작한다.

 

하권에서는 부르주아적 배금주의와는 조금 다른 형식과 체면 그리고 명예심으로 똘똘 뭉쳐있고 (나폴레옹과 자코뱅-산악파로 대표되는) 인민들에 대한 무한한 혐오감을 갖고 있는 사회를 경험하는데, 주인공 소렐은 자신의 뛰어난 능력으로 귀족에게 인정을 받지만(그리고 본인도 자신의 능력을 인정해주는 귀족에게 혐오감과 함께 호감도 갖는다) 또한 나폴레옹을 우상시하는 자신의 신념과 충돌하는 귀족사회에 대해서 근본적으로 적의를 갖고 생활하게 된다.

 

작품은 귀족사회에 대한 묘사와 함께 정치적으로 극히 보수적인(혹은 극우적인) 귀족사회의 정치적 발언들과 나폴레옹과 자코뱅의 시각을 많이 갖고 있는 소렐의 독백은 소렐 개인의 심리의 흐름과 함께 당시 귀족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하지만 소렐은 귀족들에게 부정적인 시각만이 있던 것은 아니다. 몇몇 인물들이 보여주는 일종의 고고한 모습에 대해서는 우호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소렐이 인민들에게 호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도 아니다.

그는 귀족사회에 대한 혐오감과 함께 인민들에 대한 시각도 매우 냉소적이다.

 

하지만 소렐은 특별히 대단한 인물로 묘사되지는 않는다.

그는 기회주의적이면서도 때로는 어리숙하거나 공명심에 불타기도 하는 등 뛰어난 사람이기는 하지만 단점도 많이 있는 사람으로 묘사되기 때문에 그리고 그의 몇몇 행동들에서는 치기어린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면서(혹은 감수성이 예민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면서) 이질적인 것들이 동시에 존재하는 복합적인 캐릭터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그의 모습에서 어쩌면 짜증나는 부분도 발견할 수 있을텐데 확연한 성격이거나 보다 긍정 혹은 부정적인 면이 뚜렷한 캐릭터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소렐의 모습을 통해서 밀려오는 짜증을 견디기 힘들 수 있겠지만, 사람들이 누구나 갖고 있을 이면적인 모습과 이질적인 부분이 서로 교차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이해하고 혹은 살아가며 경험하게 되는 사람들은 보다 문학적인 주인공은 아닐지라도 현실적인 느낌은 들 수 있을 것 같다.

 

형식적이고 나태함과 진부함 그리고 부르주아 / 귀족계급 특유의 지루함에 대한 냉소(통틀어 권태롭다고 말할 수 있다)와 인민들에게도 곱지 않은 시선을 갖고 있었던(그리고 나폴레옹과 같은 위대한 인물들에 대한 영웅숭배적 긍정적 시각이라는 점에서) 니체가 왜 스탕달의 작품에 대해서 호의적이었는지 이제는 느낄 수 있을 것 같지만... 설명하라면 참 힘들게 설명해야 할 것 같다.

그리고 듣는 사람도 별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지 않다.

 

후반부에 있는 정치적 음모가 어째서 삽입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마도 귀족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읽혀질 수 있고 소렐의 다양한 집단을 이동하며 그 집단의 이면의 모습들을 보여주기 위한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기도 하겠지만... 과연 이런 이해가 적절한지는 모르겠다.

 

당시의 시대상과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의 영광과 몰락에 대한 적절한 지식이 부족한 나로서는 그때의 시대상이 부분적으로만 이해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만 느끼게 된다고 말할 수 밖에 없다. 아마도 프랑스 역사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알고 있는 사람들은 작품을 보다 즐길 수 있을 것 같다.

 

마지막으로 소렐이 사형선고를 받고 지하에서 이뤄지는 대화들과 심경의 변화들은 카뮈의 ‘이방인’과 비교하며 읽어간다면 꽤 흥미로울 것 같기도 하지만 ‘이방인’을 읽은지 너무 오래 되어서 아쉽게도 그렇게 비교하기는 힘들 것 같다. 다만, ‘적과 흑’에서는 소렐의 내면세계와 함께 다른 인물들과의 대화들도 꽤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지만 ‘이방인’은 뫼르소 개인의 심경의 변화만이 보다 중요하게 다뤄졌다는 부분적인 생각을 갖게 될 뿐이었다.

 

스탕달의 정치적 혹은 작품의 흐름에서의 개입과 함께 자신의 평가를 언급하는 등 작품의 스타일에서도 약간은 독특한 분위기를 풍겼다.

해설가의 말처럼 낭만주의와 리얼리즘이 잘 혼합된 느낌이랄까?

통찰력이라는 것이 이런 것이라는 것을 말해주는 것 같기도 하고.

 

또한 각장에 소제목이 있었는데 후반부 마지막 네장은 소제목이 없었는데 왜 그렇게 했는지 모르겠다. 서울대학교출판부에서 출간된 적과 흑에서만 그런 것인지 다른 책들도 그런지는 모르겠다.

 

조금은 예상보다 흥미롭지 않았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보다 작품의 매력이 높아졌기 때문에...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 가서는 깊은 감동을(그리 아름다운 결론은 아니지만) 느낄 수 있었다.

 

이래서 고전이 고전으로 불리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